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함께하기" 와 "자아" 사이에서: 한국 중산층의 사회화에 나타난 혼란과 모순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1

        본 논문은‘함께할 줄 아는 아동’과‘자아가 있는 아동’이라는 두 가지 사회화 목표가 한국 중산층 아동 사회화 과정에서 실천되면서 만들어 내는 모순되고 비일관적인 사회화의 장면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함께할 줄 모르는 아이들’에 관한 교사들의 담화에 주목하여, 비협력적이고 자기중심적이라고 평가되는 아동들의 행동이‘자아가 있는 아동’기르기라는 교사들의 명시적 사회화 목표와 가지는 관련성을 분석하고, ‘함께 할줄 아는 아동’과‘자아가 있는 아동’이라는 두 가지 사회화 목표가 사회화 현장에서 만들어 내는 다양한 긴장의 지점들을 살펴본다. 아동들의 자기중심성을 흔히 세대적 혹은 계급적 특성으로 해석하는 교사들과 달리, 논문은 이것이 새로운 양육 가치와 관습이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초래된 혼란스러운 사회화 환경과 밀접히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교사들이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불만족스러운 아동들의 사회성을 아동들의 시선에서 기술함으로써, 아동들이 만들어 내는 또래 관계의 협력성과 공동체성이‘자아가 있는 아동 기르기’라는 이데올로기로 인해 교사들에 의해 평가 절하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heterogeneities and contradictions embedded in Korean middle-class socialization practices with particular focus on discourses of children`s socialities deemed unsatisfactory by teachers. Unlike teachers who typically interpret children`s egocentric and uncooperative attitudes and behaviors as class or generational specific characteristics, I argue that they emerge largely from the contradictory and inconsistent socialization landscape wherein children are asked to abide by mutually contradictory values such as “being oneself” and “being communal;” furthermore, the children are even asked to develop superior models that negotiate a compromise between those inconsistencies and contradictions. The cases described in this article show how the ideology of fostering children`s selves constrains teachers` efforts to teach communal life and even leads to the undervaluing of the cooperativeness and the sense of community that children themselves express in their own culture-laden peer world.

      • KCI등재

        연구논문 : 감정적 여성, 이성적 남성: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또래 놀이에 나타난 젠더와 감정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0 韓國文化人類學 Vol.43 No.1

        기존의 감정 사회화 이론들은 젠더화된 사회화 관습에 주목함으로써 감정과 성차의 문화적 재생산에 부모 및 교사가 미치는 절대적인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 재생산의 장으로서의 아동세계와 또래문화에 주목하여 아동들의 적극적인 학습과 또래세계에의 창조적인 적용을 통해 감정과 젠더에 관한 미국 사회의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또래 역할 놀이(pretend play)에 표현된 감정과 젠더에 관한 문화적 지식을 미국 사회의 감정 규범 및 젠더 이데올로기와 관련하여 분석한다. 연구는 아동들이 여성이 남성보다 감정적이라는 문화적 믿음 그리고 특정 감정, 특히 여성과 남성의 화에 관한 미국 사회의 이중적 태도를 여성성, 남성성, 남녀의 위계, 남성과 여성의 영역 등 미국 사회의 젠더이데올로기와 연계하여 또래 역할 놀이의 주제로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둘째, 아동들이 역할 놀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어른세계의 감정과 젠더에 관한 문화적 지식을 수동적으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또래세계의 사회적 목표와 문화적 주제를 위해 적극적으로 차용, 재생산, 재구성함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아이들의 젠더와 감정에 관한 문화적 지식 및 이데올로기가 본질적이고 고정불변한 것이 아닌 사회적 맥락에 따라 끊임없이 새롭게 구성되고 변화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부모와 교사로 대표되는 사회화 담당 기관뿐만이 아닌 아동들, 특히 아동들이 적극적이고 창조적으로 만들어 내는 또래문화가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Previous research on gender and emotion tends to focus on the influence of adult socialization practices on children`s acquisition of emotion and gender ideology. In contrast, recent studies on children and socialization emphasize the role of children and peer culture in cultural reproduction. Following this recent trend, this paper examines how American middle-class children learn cultural ideology regarding gender and emotions, especially focusing on children`s pretend play. First, the analysis of children`s pretend play text illustrates how children actively use and reproduce adult ideologies of emotionality and gender to produce and construct their peer pretend play. It particularly illustrates that children do in fact have very sophisticated ideas about emotion and gender, including the beliefs that women are more emotional than men, and also that men`s anger is legitimate whereas women`s anger is dangerous. Second, the research shows that children do not passively imitate or adopt adult models of emotion and gender. Rather, they actively appropriate, reconstruct, and reformulate adult`s models to address the goals children pursue within their peer world such as alliance formation and exclusion, or the pursuit of authority and power. The contextual fluidity found in children`s expression of emotion and gender suggests that relations between gender and emotionality are not essential and static, but always conflicting, contested, and reformulated by children who significantly contribute as active participants.

      • KCI등재

        콧수염 좀 건네주세요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사회화 맥락 재해석과 변형-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1

        이 논문은 미국 중산층 아동들이 일상의 사회화 관습을 자신들의 또래 관계 형성과 사회 목표를 달성의 장으로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변형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사회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이 연구에 의하면, 미국 중서부의 한 도시에 위치한 킨더센터라는 프리 스쿨에서의 민족지적 현지조사는 아동들이 어른들의 언어사회화 목표를 수동적으로 학습하기보다는 또래 문화의 주요 사회목표인 권위의 획득과 협력적-배타적 사회관계 형성의 장으로 재해석, 재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창의적 변형은 교사들과의 끊임없는 협상을 수반하였으며, 아동들의 사회화 가치의 조롱과 비판은 교사들의 사회화 관습에 변화를 가져오기도 하였다.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는 사회화가 동일한 버전의 어른들을 재생산해내는 일방적이고 단선적인 과정이라기보다는 사회 변화와 새로운 지식의 생산에 능동적 역할을 하는 끊임없는 학습, 시험, 성장의 협상의 장임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American middle-class children participate in and engage with language socialization practices. Detailed ethnographic description of everyday social interactions in an American middle-class preschool shows that rather than passively internalizing adult socialization inputs, children actively reinterpret, transform, and challenge them to address concerns of their peer worlds such as the pursuit of authority and alliance formation and exclusion. The research critically extends previous studies on children and socialization by focusing on children`s active use and transformation of cultural resources, thereby shaping their own developmental experiences while at the same time contributing to the reproduction of social order and ideology. The findings of this article contend that unlike the traditional social science view of enculturation as a uni-directional process wherein adults reproduce faithful cultural versions of themselves, socialization is a process of constant negotiation of learning, testing, and growing that plays a dynamic role in knowledge development and processes of social change.

      • KCI등재

        놀이 중심 교육의 토착화와 딜레마: 한국 유아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1

        본 논문은 놀이 중심 교육이라는 서구 유아 교육 담론 및 제도가 한국 유아 교육현장에 토착화되는 과정, 특히 그 과정에 수반된 갈등, 혼란, 딜레마를 살펴본다. 논문의 기반이 되는 자료는 놀이 중심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한 유치원에서의 15개월간의 질적 연구를 통해 수집되었다. 교사들은 수입된 교육제도를 수동적으로 이식하기보다는 창의적 아동 기르기라는 사회화 목표에 맞게 재해석, 재구성하였으며, 동시에 놀이 중심 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창의성을 강조하는 등 창의성이라는 사회화 가치를 한국적 맥락에 맞게 토착화하였다. 또한 토착화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딜레마에 직면하여, 놀이 중심 교육의 이데올로기가 지닌 허구를 간파하고, 이에 대해 저항과 회피의 전략을 통해 대응하였다. 논문은 서구 유아 교육철학과 제도의 토착화 과정이 교사들의 일상적인 실천에 의해 매개됨을 보여줌으로써, 교육의 세계화에서 현지 교사의 행위성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 기존 교육인류학 연구 성과들을 뒷받침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Western play-centered curriculum is indigenized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conflicts, confusions, and dilemmas embedded in indigenizing processes. Based on ethnographic fieldwork conducted at a Korean preschool, the article shows that teachers, rather than passively adop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reinterpret and reconstruct it to address the education goal of cultivating children’s creativity, self-expression, and diversity. At the same time, in enacting an imported curriculum, teachers reconceptualized Western individual-based creativity as cooperative creativity to reflect local demands. Moreover, teachers penetrated the problems of play-centered ideology and confronted them with resistance and avoidance. The article, overall, articulates local teachers’ agency in the globalized educational landscape by showing how global imports become indiginized with the work of local teachers who make decisions on how to implement or resist imported educational ideas and practices.

      • KCI등재

        한국어 공손성의 언어사회화 관습 연구

        안준희(Ahn June hui) 한국사회언어학회 2016 사회언어학 Vol.24 No.1

        This paper examines language socialization practices regarding politeness in a Korean preschool. In particular, it analyzes linguistic and paralinguistic features of politeness that teachers emphasize in their everyday discourses with children, and examines the ways that children reproduce or reconstruct these features and other linguistic resources in their peer talk. The analysis of teacher-children discourses shows that teachers emphasize pragmatic features of politeness such as polite forms of request, politeness routines, soft voices, high pitch, and rising intonations while not correcting inappropriate and ungrammatical uses of honorifics. Moreover, the analysis of children's peer talk demonstrates that children strategically use various linguistic and paralinguistic features of politeness to address goals of their culture-laden peer worlds such as pursuit of power and authority, alliance formation, or evasion of adult control.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s to language socialization research, studies on Korean politeness, and research on peer talk.

      • KCI등재

        이야기 관습의 언어사회화: 한국과 미국 아동 사례의 비교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1

        본 논문은 한국과 미국의 유아원 교실에서 실천되는 이야기 관습에 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두 문화의 아동들이 노출된 언어적 환경의 특성과 서로 다른 이야기 관습에의 참여를 통해 아동들이 습득하는 문화적 의미와 가치들에 주목한다. 두 문화의 이야기 관습은 소재의 제약성, 교실 담화 질서의 습득에 대한 강조, 교사와 아동간 이야기의 비대칭성이라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띠고 있었다. 이러한 유사성은 이야기 관습이 교실담화로써 지니는 특성들로, 이는 두 문화의 이야기 관습이 공식 교육에 진입하는 전 단계인 유아원에서 교실의 말하기 유형을 학습하는 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두 문화의 이야기 관습은 이야기의 순환 구조, 말하기 순서 취하기, 교사의 권위라는 측면에서는 차이점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의 이야기 관습은 이야기의 공유, 협력적 발언의 중요성, 아동 행동의 평가자로서의 교사의 권위라는 특성, 미국의 이야기 관습은 개별 아동의 생각과 느낌의 표현에 대한 강조, 경쟁 담화의 허용, 규칙의 집행자로서의 교사의 권위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논문은 이야기 관습의 구조적, 내용적 차이로 인해 아동들이 습득하게 되는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분석하여, 기존 이분법적 사회화 논의에서 문화특수적 가치들로 간주된 사회화 가치들이 두 문화 모두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되고 있으며, 이 때 차이를 보이는 것은 다양한 가치들이 각 문화에서 지니는 구체적인 모습과 그 실천 방식에 있음을 논의한다. This article comparatively analyzes narrative practices enacted in the preschool classrooms of Korea and the U.S.A. Building on the view that narrative practices are crucial sites and means of early childhood socialization, I examine how children from two different cultural traditions are socialized into classroom discourses and culturally specific values and orientations through their everyday participation in narrative practic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narrative practices of the two cultural traditions share similarities as classroom discourses, including restrictions in subject, emphasis on classroom discourse rules, and asymmetrie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t the same time, the narrative practices of the two cultures have their own culturally specific features in terms of circulating structures of stories, turn.taking patterns, and teachers’ authority. The article, overall, discusses the heterogeneity and multiplicity of socialization themes and values enacted through narrative practices of the two cultures, thereby articulates the inherent dynamism of language socialization.

      • KCI등재

        그다지 개인주의적이지 않은 미국인들: 미국 중산층의 친사회적 아동 기르기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9 韓國文化人類學 Vol.42 No.1

        자아와 감정에 관한 기존의 인류학적 연구에서 미국적 자아 및 감정 개념은 비서구 사회의 관계적, 집합적, 맥락 중심적 자아 개념과 대비되는 독립성, 독창성, 비맥락성 등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중산층의 사회화 관습에 나타난 자아 및 감정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기존의 이분법적 자아와 감정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논문은 기존의 단일하고 일관된 서구의 자아와 감정 모델이 제시하는 것과 달리 미국 중산층의 사회화 과정에서 개인주의적 가치와 친사회적 가치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흔히 개인주의적 가치라고 간주되는 요소들도 친사회적 가치들의 제약 속에서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구체적으로는 친사회적 가치의 사회화와 감정과 자아 표현의 사회화라는 두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첫째, 교사들이 `우정`의 사회화를 통해 중산층 특유의 친사회적 가치들인 친절함, 공손함, 감정 이입 등을 교육하고 있으며, 둘째, 감정과 자아 표현의 사회화를 통해 사회적 적절함이라는 영역 내에서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음을 살펴본다. 또한 두 가지 사회화 영역에 담겨진 계층 특수적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흔히 개인의 취향이나 성향으로 여겨지는 사회성이나 감정 표현이 어떻게 유아원이라는 공간에서 사회화 과정을 통해 재생산되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Previous studies on self and emotion often draw on the bipolarized concept of the person wherein the American or Western self is characterized as predominantly autonomous, acontexual, and independent in contrast to the relational, collective, and context-dependent non-Western self. In this article I critically discuss the dichotomous model of the self and emotion by examining the notions of personhood reflected in American middle-class socialization practices. Through detailed descriptions of core domains of middle-class socialization practices such as friendship, empathy training, self-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I argue that the concept of the person imagined and practiced among middle-class caregivers is not so egocentric and individualistic as often believed, but instead is highly context-dependent and sociocentric. Comparing these middle-class socialization values with those of other social classes (such as working class toughness and assertiveness), I contend that these class-coded sentiments and values, which are often thought to be personal rather than class-learned attributes, are elements of the cultural capital that prepares children to fit into their own social class.

      • KCI등재

        연구논문 : "그러면 나는 너 사랑 안 할거야": 한국 중산층의 감정사회화와 아동의 행위성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2

        본 논문은 한국 중산층 아동들이 감정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지식을 학습·재생산·재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사랑’과 관련된 감정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사랑’이라는 감점을 둘러싼 문화재생산 및 사회화의 과정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아동과 아동이 만들어 내는 또래문화 및 또래담화의 역할에 주목한다. 논문은 ‘사랑’에 관한 교사들의 담화와 아동 또래담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아동들이 ‘사랑’이라는 감정과 관련된 다양하고, 파편화되고, 때로는 모순적인 사회문화적 지식들을 수동적으로 습득하기보다는 이를 또래세계의 사회문화적 목표를 위해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변형함을 보여 준다. 논문의 결과는 감정사회화가 감정에 관한 문화적 지식이 어른에게서 아동들에게 전해지는 단선적 과정이 아닌 아동과 그들의 문화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역동적 과정임을 드러낸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Korean middle-class children learn and acquire the local cultural meanings of emotions, especially culturally specified notions of "Iove,”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children``s own experiences. By analyzing discourses of love from children``s peer talk as well as talk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rgue that children do not passively adopt adult cultural inputs regarding emotions, but rather engage in the creative appropriation and strategic reinterpretation to construct their own culture-laden emotional world. My findings articulate the contribution children and their peer talk make to emotional socialization and the inherent dynamism of socialization.

      • KCI등재

        "우리는 같은 피부색을 가졌어, 그렇지?"

        안준희(June Hui Ahn)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8 비교문화연구 Vol.14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American middle-class children learn and reproduce various social categories such as race, ethnicity, language, and ag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children`s peer culture shows that children do not imitate or passively internalize social categories of the adult world, but actively appropriate, manipulate, and transform them to address concerns of their peer worlds such as alliance formation and exclusion and the pursuit of power and authority. Exposed to two potentially conflicting ideas about social categories, one that emphasizes the idealized world where everyone is equal, welcomed, and included, and the other that provides the idea of categorization, children selectively choose information on categorization, and actively reinterpret, reconstruct, and reformulate it in ways that are sensitive to the social contexts of their world. I contend that social categories become significant tools for social use through their significance in children`s social worlds as well as the meaning of them in the larger social world. The findings of this article reveal that socialization is not a unidirectional process wherein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adult worlds are passively transmitted from adults to children, but a constant negotiation of learning wherein childre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ctive participants. The perspective this article takes will force social science theories of learning to note the inherent dynamism involved in cultural learning and the contribution that children make to socialization and cultural reproduction.

      • KCI등재

        '노숙자'의 정체성과 적응 전략 : 인지인류학적 접근 An Ethnosemantic Approach

        안준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0 비교문화연구 Vol.6 No.2

        The study mainly deals with two culturally significant domains of this subculture: their self-defined identities and strategies for economic survival.Central to this study is to record the terms the homeless use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regarding these two domains, and then examine their taxonomical and semantic relations, thereby describe the world of homeless in its own terms, as it is conceived and experienced by themselves.In this context the main questions dealt with in this study are: (1) how do members of this group classify and define themselves? (2) what kinds of life styles or adaptive strategies do they have? The former questions is answered by examining the identity domain, and the latter is dealt with in analyzing domain regarding begging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y define their primary identity with the word 'kuji(beggar)'.Although they are often referred to as homeless by other members of Korean society, they seldom use this term among themselves.Rather, they considered themselves just as the beggar who maintain their livelihood by means of begging.The word 'kuji(beggar)'is found out to be a cover term which includes 10 kinds of beggars.In order to discover what it means to be a kuji, the word is defined both taxonomically and componentially.The results of semantic analysis to this domain show that, rather than the criteria of homelessness, their economic strategies, that is, how to maintain their livelihood is crucial component of their self-defined identity. Secondly, 'how to earn a livelihood', that is, their way of earning a livelihood is found out to be main cultural theme of homeless subculture.They use many strategies to meet basic requirements of living: they can beg, get money by fraud, go to welfare agencies to participate in public works, and often work as day-laborers.Semantic analysis to this domain displays specialized modes of action the homeless uses in each case to make a livelihood.Especially, componential analysis to begging practice reveals that their life styles based on mobility is the outcome of their effort to support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