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Fenton 산화 공정을 이용한 침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김석현,공성호,김용수,안웅헌,배성렬 한양대학교 에너지·환경기술연구소 1999 에너지·環境技術論文集 Vol.5 No.-

        Fenton 산화는 주로 염색폐수 등 난분해성 유기성분이 고농도로 함유된 산업폐수의 처리에 일부 이용되어 왔으나 매립지 침출수 처리에는 수도권매립지에 처음 적용된 공법으로서, 매립경과시간에 따라 수질의 변화를 나타내는 침출수의 특성에 대응한 적정운전조건의 정립이 필요하다. Fenton 산화공정을 이용한 침출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여 운전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Fenton 산화에 의한 현장 침출수 처리결과 반응 pH 3.5, 반응시간, 중화 pH6∼7, Fenton's reagent(FeSO₄ , H₂O₂)의 투입농도비(Fe₂+/H₂O₂)1.4∼1.6정도의 운전 조건에서 COD제거율은 58%(CODer)및 81%(CODmn)로 가장 좋은 처리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때 펜톤 시약중 과산화수소수 투입량에 따른 COD제거량은 CODmn의 경우 0.121∼0.135㎏-CODmn/㎏-H₂O₂,CODer은 0.247∼0.257㎏-CODer/㎏-H₂O₂정도로 나타냈다. Fenton산화후 발생되는 철염슬러지 량은 투입되는 FeSO₄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되며 철염 투입량 대 탈수케익 발생량(함수율 75% 기준)비는 약 1:2:1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Fenton산화과정에서 사용되는 약품(황산, 철염, 가성소다)들에 의해 처리수의 TDS 농도가 유입수에 비하여 약2배까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treatability study of on-site Fenton oxidation of Kimpo landfill leachate for removal of COD indicated that approximately 0.121∼0.135㎏ of CODmn and 0.247∼0.257㎏ of CODer were removed per ㎏ of H2O2. COD removal efficiencies were about 58% of CODer and 81% of CODmn.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COD removal were as follows: reaction pH equals 3.5, reaction time equals 2∼3hr, netralization pH equals 6.0∼7.0, concentration ratio of Fe₂+to H₂O₂equals 1.4∼1.6. The amount of sludge generated in Fenton oxidation was increased with ratio to dosage of Ferric Sulfate(FeSO₄). Ratio of sludge production to Ferric Sulfate dosage was found to be 1.2. TDS of effluent increased 2 times as compared to influent TDS because of using chemical(H₂SO₄, FeSO₄, NaOH so as) for Fenton oxi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