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속 수직이착륙기 개발동향과 스마트무인기 개발사업

        안오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6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4 No.1

        헬리콥터와 같은 전통적인 수직이착륙항공기는 이착륙시 활주로가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고속비행 및 고고도 성능에 있어서는 고정익기에 뒤떨어진다. 고효율의 엔진개발에 따라 고정익 항공기가 최대속도 및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한대 비해, 헬리콥터의 최대속도는 160 ~170 kts (300~315 ㎞/h) 수준으로 제한되어왔고 장거리 운항에서 필수적인 고고도 운항능력에 있어서도 4㎞ 이상의 고도에서 효율적인 비행을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반세기 동안 다양한 신개념 비행체 연구가 수행되었다. 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단에서는 항공선진국의 이러한 연구개발동향 및 그 결과를 종합하여 미래적 신개념 비행체 대안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 틸트로터 개념을 선정하여 상세설계를 종료한 상태이다. 이러한 경과에 대한 요약과 현재 활발히 진행중인 항공선진국의 미래형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발기종의 현황, 성능비교를 통해 고속, 고고도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발에 관한 세계적 추세와 본 사업의 연관성을 고찰해 보았다.

      • 글로벌 무인기 선도국 진입을 위한 연구전략 및 정책과제

        안오성,오경륜,홍승범,윤원근,주진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군용 무인기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민간 무인항공기의 성장성과 효용성에 주목하고, 택배, 항공촬영 등에 사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소형 드론의 활용분야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도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특별히 소형 드론 분야에 있어서 중국의 DJI, 미국의 3D 로보틱스, 프랑스의 Parrot 등이 세계 드론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드론의 시장 확대에 따른 드론 시장 생태계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반면 국내의 수준은 정체되어 있는 상황으로 혁신적인 타개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 무인항공기 산업의 시장선점과 시장 확보를 위해서는 시장 진입의 애로사항의 분석을 기반으로 한 가격 및 성능경쟁력 및 필수적인 핵심역량의 확보와 강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의 시장진입의 애로사항 및 해외 사례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무인기 선도국 진입을 위한 연구전략 및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Unmanned Aircraft System(UAS) have been mainly developed for military use but, various types of civil UAS have been using in diverse applications recently. The market for drones has skyrockted over the past few years, and company like DJI, parrot, and 3D Robotics are rapidly expanding.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echnical trends and presents the research & policy strategy for the global leader in the UAV industries.

      • 틸트로터 비행체 개발추세와 고속 VTOL기 개발경쟁

        안오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7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5 No.1

        2002년 프론티어사업의 일환으로서, 10년간 1200억의 예산으로 미래형 신개념비행체 기술개발사업을 시작한 스마트무인기사업은, 2002~2003년 수행한 개념연구를 통해 미래형 신개념 고속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념으로서 틸트로터 개념을 선정하고 이의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사업단에서는 우선, 항공 선진국에서 지난 반세기 동안 시행한 다양한 비행체 개념연구결과에 대해 자체적인 비교 분석 및 국제공동 연구를 근간으로하여, 당시 틸트로터에 필적하는 가능성을 보였던 스탑트로터(보잉사), 복합자이로콥터(카터콥터사) 개념이 아닌, 틸트로터 비행체의 기술개발을 결정하게 되었다. 각각의 비행체 개념이 갖는 위험성과 도전성, 그리고 소요기술, 설계특성, 개발 위험도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기초로 한 사업단의 체계적 의사결정은 주효했다. 스탑트로터개념은 비행시험의 잇단 실패와 지연/잠정 중단사태가 이어졌고, 복합자이로콥터 또한 잇단 비행사고로 2002년 기록한 148kts를 능가하는 고속성능 시현에 지금까지 실패함으로써, 실용화 가능한 고속수직이착륙기로서의 검증을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기술적 과제가 많이 남아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틸트로터 개념의 경우 V-22의 설계 수정형에 대한 성공적인 비행시험완료 및 인증획득으로 전면양산승인이 2005년 결정되어 458대가 (미해병대(360), 해군(48), 공군(50)) 납품될 예정이고, 2010년 인증획득을 목표로 민수용으로 개발중인 BA609의 순조로운 비행시험진행, 무인기로 개발된 Eagle Eye 기술시현기의 비행시험성공과 2003년 미 해양경찰청으로부터 Deep Water 프로그램의 장거리 순찰임무 주력기종 선정과 같이 군용, 상용, 무인용 고속 수직이착륙 시장의 전 방위적 진입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업계의 반응은 2가지 방향으로 나뉘고 있다. 하나는 유럽의 ERICA 프로그램과 같이 틸트로터 기술 개발을 서두르자고 주장하는 방향이고, 다른 하나는 시콜스키의 X2 프로그램과 같이 틸트로터와는 차별화된 독자적인 고속 수직이착륙 비행체 개념 개발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국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지난해까지 일구어낸 성공적인 스마트무인기 상세설계 종료 및 축소형 비행체 전환비행성공은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틸트로터 개발사를 통해, 신개념 비행체 개발의 어려움과 교훈을 알아보고, 세계에서 2번째로 틸트로터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스마트무인기 사업의 현황과 기술적 특징 및 의의의 정리, 그리고 틸트로터의 대안으로 진행중인 새로운 고속 VTOL 비행체 연구현황에 대한 소개 와 간단한 기술적 평가를 포함시켰다.

      • 무인항공기 산업 육성 정책

        안오성,오경륜,윤원근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전 세계적으로 군용 무인항공기의 성공적인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민간 무인항공기의 성장성과 효용성에 주목하고, 활용도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민간 무인항공기의 경우에도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가능하므로 향후 항공분야의 유망한 시장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유인항공기 위주의 항공교통체계와 무인항공기에 대한 통일된 국제기준의 부재로 인해 급격히 발전하는 무인항공기 시장을 국내 제도적, 법률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를 위한 다각적인 규제개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보다 선결적인 조건으로 국내 무인항공기 산업의 시장선점과 시장 확보를 위해서는 가격 및 성능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핵심역량의 확보와 강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무인항공기 산업육성을 위한 규제개선 과제 및 선결과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Unmanned Aircraft System(UAS) have been mainly developed for military use but, various types of civil UAS have been using in diverse applications recently. However, despite the growing demand of UAS, the international regulatory framework of UA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nd many regulations are required to be revised to promote the unmanned aircraft industr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motion policies of unmanned aircraft industry and presents the regulation improvement and prerequisite.

      • 항공산업의 특수성과 산업환경 고찰 : 1단계 (입문)

        안오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2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0 No.1

        항공산업은 개발기획 및 개발에 약10년,성공적인 시장성 확인에 최소10년 이상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장기 대형투자산업의 특성,세계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소수의 국가 초대형 기업으로의 시장집중현상이 가속화되는 특성.항공선진국가 기업의 10년 이상의 미래를 바라보는 과감한R&D 투자의 지속성. 그리고 기술의 빠른 변화 (항공전자 및 IT 기술, 저탄소 신형 추진 시스템, 배기가스 환경규제, 무인항공기 기술 발전, 유-무인 복합운용 개념의 작전개념 등장) 등으로 후발 항공산업 육성국들에게는 점점 더 진입 환경이 어려워지고있다. 항공 선진국에서는 시장의 기술수요 파악을 위해, 최소한 20년 이상을 예견하려는 노력이 일반화되어 있다. 메가트렌드급 사회변혁의 한가운데에서 항공학도의 의무는 이제, 담당 전문영역에서의 정진 뿐 아니라, 항공산업관련 거시적 변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의 필요가 커졌다. 기술과 산업 생태계의 열위를 극복하고 국가방위 전력의 핵심 산업이자 기계산업의 고도화를 견인할 산업으로서 항공 산업의 육성은 필연적 과제이다. 적합한 항공산업육성 전략과 정책적 아젠다 발굴을 위해서는 현재와 미래의 항공시장에서 주요한 Value Chain 요소와 변화 방향을 파악하고, 해당요소들의 효과적인 확보/유지/강화 전략에 관한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여, 매우 전략적이고 세부적인 장기적 항공산업육성 로드맵과 실행지침을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최종 목적을 위한 첫걸음으로서, 항공산업의 특수성과 산업 환경의 변화에 대한 초보적 고찰을 담고 있다. In this paper, the uniquenes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erospace industry have been investigated and discussed. This paper made an pilot effort in establishing the competitiveness evaluation model for the top 20 aerospace revenue countries. The national needs for the defense and technical independence has been put in first place as well as commercial quotients like profitability, market dominance, technical level, and so on. With this approach, those 20 aerospace countries could be sorted in 3 groups and ranked in 11 development stages. Korea's status is in 9th development stage. It turned out that this method gives a lot of insight on the policy options we can choose, pros and cons, and so on. More detailed and reliable evaluation model need to be developed as a follow on activity. Other top level features of aerospace business related with value chain shift, life cycle cost, electrification of aircraft, market trend also have been visited and discussed in brie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