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백련(白蓮)과 홍련(紅蓮)의 부위별 영양성분

        양호철(Ho-Cheol Yang),허남칠(Nam-Chil Heo),최경철(Kyeong-Cheol Choi),안양준(Yang-Jun Ahn)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1

        전남도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무안의 백련과 나주의 홍련을 대상으로 부위별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품종별로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두 품종 모두 무기영양성분 중 세포 내액의 산ㆍ알칼리평형에 가장 중요한 mineral인 potassium이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sodium, calcium, magnesium이 주요 무기영양성분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것은 뿌리에서의 철분 함유량이 무안의 백련에서 14.70㎎%, 나주 홍련에서 9.26㎎%로 다른 농산물에 비해 높게 나타나 철 결핍성 빈혈환자나 임신, 출산 등으로 철분의 균형을 잃게 될 수 있는 여성에게 연근이 좋은 영양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당 함유량은 부위 별로 큰 차이를 보여 뿌리의 경우 sucrose가 월등히 많은 반면 잎의 경우는 glucose와 fructos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종자의 경우 sucrose raffinose 및 stachyose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종자의 경우 oligosaccharide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된다. 구성아미노산 함유량 또한 부위별로 큰 차이를 보여 종자와 잎에서는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 연근의 경우 간 기능 회복과 숙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aspartic acid가 월등히 높은 함유량을 보여 각각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of different parts (roots, leaves, and seeds) of two lotus species (Nelumbo nucifera Gaertner), Muan’s white-flowered and Naju’s pink-flowered, are as follows; crude protein content in the seed was four times higher and the carbohydrate content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root and leaf. Comparing between the species,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white lotus was the higher than that of the pink lotus, but the carbohydrate content was comparatively lower. The potassium content of the minerals in all samples was much higher than those in others. Additionally, the iron content of the root was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leaf and seed. In both species, the major tree sugar in the root was sucrose; the main sugars in the leaf were fructose and glucose, and those in the seed were stachyose, raffinose, and sucrose. Among amino acids, glutamic acid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leaf and seed, while aspartic acid was the highest in the root.

      • KCI등재

        여수국가산단 및 주변지역 악취발생 원인조사

        송승리 ( Seung-ri Song ),오길영 ( Gil-young Oh ),서윤규 ( Yun-gyu Seo ),김계홍 ( Gye-hong Kim ),김현재 ( Hyun-jae Kim ),김인열 ( In-yeol Kim ),임항선 ( Hang-seon Lim ),안양준 ( Yang-jun An ),박귀환 ( Gwi-hwan Park ),박종수 ( Jong- 한국환경기술학회 2021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ause of the distribution of odor substances in the Ye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its surrounding areas. Sample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90 samples at dawn, daytime and night from a total of 15 points, 9 points in the management area, 2 points in the boundary area, and 4 points in the affected area. The analysis items include 5 meteorological factors, complex odor, 22 types of the designated odors and oth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t the MA3 (Fig. 1) point in the management area, the strict emission allowance standard for complex odors was exceeded three times, Ammonia, two types of sulfur compounds, two types of aldehydes, and six types of VOCs were detected, but they were within the standard. As a result of by calculating the odor contribution, the contribution of 74.9 % or more was found at the point where butyraldehyde was detect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odors at the Yeosu Industrial Complex, measures to reduce aldehydes with high odor contribution should be prioritized, and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investigate through real-time harmful atmospheric measurement vehicles. Based on the contents presented in this study, if the system and policies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odor occurrence survey of Ye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surrounding areas are supplemented, the odor environment of Ye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will be sufficiently improved.

      • 초음파 및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자율이동로봇의 확률지도 형성에 관한 연구

        안양준,진광식,윤태성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2 産技硏論文集 Vol.16 No.-

        For the navigation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in complex environment, the map building of the environment is needed using sensors. The ultrasonic sensor is low cost, easy to install and has high-speed information processing persormance. Environment recognition using ultrasonic sensors, however, has two major problems: the uncertainty information of sensor and false readings caused by specular reflection and multipath effect.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an map building method using Bayesian update model was proposed previously[5].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mproved method of probability map building that uses infrared sonsors and shift division Gaussian probability distribution with the existed Bayesian update model using ultrasonic sensors. The validity and the persormance of the improved map building method are examin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 with real mobile robot.

      • KCI등재

        엽삭액젓 숙성중의 성분변화

        정희종,안양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9 No.4

        지금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왔던 엽삭액젓을 김치제조에 이용하게 할 목적으로 엽삭액젓의 주요 성분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일반성분중 조지방과 조단백질은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장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분은 감소하고, 회분과 염도는 증가하였다. 2. pH는 발효 20일째 6.4를 나타낸 이후로 뼈국물을 넣은 후인 32일째에는 6.6으로 약간 증가하고, 발효 35일째에 6.5로 약간 감소한 이후에는 거의 일정한 pH를 보였다. 총 산도는 발효 20일째에 1,174.6㎎%를 보였고, 뼈국물을 넣은 후인 32일째에 674.2㎎%로 크게 감소 하였다가 발효 35일째에 922.7㎎%로 증가한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어류의 신선도의 척도라 할 수 있는 휘발성염기질소의 변화는 발효 20일째에 63.7㎎%에서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장기 숙성시킨 1년째에 224.8㎎%까지 증가하엿다. 4. 단백질의 분해산물로서의 아미노태질소의 변화는 발효 20일째 352.5㎎%를 보였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장기 숙성시킨 1년째에 851.7㎎%까지 증가하였다. 5. 지질의 산가의 변화는 발효초기인 20일째에 17.2를 보였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여 발효 70일째에 28.5를 나타내고 120일째에 38.6까지 증가한 후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6.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발효초기인 20일째에 포화지방산이 42.3%, 단일불포화지방산이 30.9%, 고도불포화지방산이 17.2%에서 숙성이 장기화됨에 따라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고도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여 숙성 1년째는 포화지방산은 46.2%, 단일불포화지방산은 28.3%, 고도불포화지방산은 14.7%를 나타내었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21% 이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oleic acid, palmitoleic acid, myristic acid, eicosapentaenoic acid(EPA) 순으로 이들이 엽삭액젓 지방산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7. 총 유리아미노산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서 발효초기인 20일째에 1158.2㎎%에서 장기 숙성시킨 1년째는 2651.5mg%까지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발효초기에는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valine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glutamic acid, lysine, phenylalanine의 양이 증가하여 장기 숙성시킨 1년째는 glutamic acid, lysine, phenylalanine, arginine, alanine가 주된 아미노산임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youbsak sauce to use as a source of the flavor and taste enhancement for kimchi preparation. The pH and total acidities of fermented youbsak sauce were not greatly changed during fermentation. The contents of volatile basic nitrogen and amino type nitrogen were gradually increased during one year fermentation, from 63.7 ㎎% to 224.8 ㎎% and from 352.5 ㎎% to 851.7 ㎎%, respectively. Acid value were increased until 120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it was slightly increased up to 44.3. In fatty acids composition, saturated fatty acids were slightly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but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gradually decreased. Palmi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and followed by oleic acid, palmitoleic acid, myrist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The major amino acids in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were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and valine, while fermentation progress, the amounts of glutamic acid, lysine, phenylalanine increased. Finally, glutamic acid, lysine, phenylalanine, arginine and alanine became the major amino acids after one year 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