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종교에 대한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향 - 배재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1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교의 종교교육이 지닌 특징과 한계를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배재대학교를 사례로 선택하여 그 구성과 운영의 변화를 탐구한다. 21세기 종교교육은 특정한 종교의 교육에서 종교 일반과 종교들에 대한 교육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종교전통을 이해하는 방식은 신앙과 문서 접근법에서 상황접근법으로 변하였다. 다문화종교교육에는 기독교 중심 교육, 일반종교 중심 교육, 특정종교 중심 교육, 다종교 중심 교육, 기독교가치 교육이 있다. 배재대학교의 종교교육은 채플참여와 교양교육으로 구성되는데, 채플참여는 종교의 교육이고 교양교육은 종교에 대한 교육이다. 특정한 종교의 교육에서 종교들에 대한 교육으로 변화하였다. <기독교정신과 아펜젤러인성>은 기독교가치에 대한 교육을 지향한다. 기독교대학교의 종교교양교육은 이웃종교에 대한 가용한 태도들을 다룬다. 배재대학교의 종교교육은 배타주의와 포괄주의의 단계를 지나서 다원적 다원주의의 입장을 추구한다. 공통기반보다는 차이를 중시하는 다원주의에 기반을 둔 종교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접근방식은 린드벡의 문화언어적 접근 모델에 가깝다. 배재대학교의 종교교양교육은 세 차례 교과서의 변화로 교육의 목적과 내용에 변화가 생겼다. <기독교의 본질>(1998)은 개종과 선교를 강조하는 종교의 교육을 추구하지만, <기독교와 현대사회>(2003)와 <기독교 다시 보기>(2014)는 기독교윤리와 기독교사회복지의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사회적 책임의 실천을 강조한다. 성경분석과 기초교리를 생활영성의 원리가 보강한다. 끝으로, 배재대학교의 사례를 토대로, 기독교대학교에서 가용한 종교에 대한 교양교육을 위한 현상학적 제안으로서 (1) 종교인과 종교적 세계관에 대한 공감적 이해, (2) 종교들에 대한 다문화 접근, (3) 제도 종교를 넘어서 영성으로의 확대를 제시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University, analyzing the change of structure and operation in the case of Pai Chai University. In the 21st century, the paradigm of religious education shifted from the education of particular religion to the education of general religion and religions. Among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religious traditions, situation is more important than faith and text. In mutlcultural education, there are Christian education, education of general religion, education of particular religion, education of religions, and education of Christian values. The religious education of Pai Chai University consists of chapel attendance and general education. Chapel attendance is the education of religion, and general education is the education about religion. <Christian spirit and Appenzeller personality> seeks for the educaion of Christian values. The general education of religion in Christian university examines the viable attitudes to neighboring religions. The religious education of Pai Chai University constructs pluralistic pluralism beyond the stages of exclusivism and inclusivism, emphasizing differences rather than common ground. This approach is close to Lindbeck's cultural-linguistic model. The changes of textbooks published in 1998, 2003, and 2014 influenced the aims and contents of education: from conversion and mission to Christian ethics,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life spirituality. In conclusion, based on the case of Pai Chai University, phenomenological suggestions for the viable general education about religion in Christian University are given: (1) empathetic understanding towards homo religiosus and religious worldview, (2) multicultural approaches to religion, and (3) the extension to spirituality beyond religion.

      • KCI등재

        다문화 종교교육을 위한 심리학적 모델 : 제임스 디티스의 종교심리학을 중심으로

        안신 韓國宗敎敎育學會 2008 宗敎敎育學硏究 Vol.27 No.-

        21세기 다종교·다문화를 직면하고 있는 현대 한국사회는 개별종교전통의 종교훈육을 넘어 다문화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다문화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가용한 하나의 심리학적 모델로서 제임스 디티스(James Dittes)의 종교심리학을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디티스는 종교심리학을 통하여 경험적 연구와 종교적 감수성을 조화시키려한 대표적인 미국 학자로서, 그의 추요관심은 ① 종교인의 편견과 신앙의 유형, ② 남성됨의 의미와 남성운동의 필요성, 그리고 ③ 프로이트의 종교성과 언술의 자서전적 성격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첫째로, 디티스는 종교가 자아와 타자 사이의 경계를 창조하는 역할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편견은 “아끼지 않는 신앙”의 유형보다는 “계약적 신앙”의 유형과 관련성이 있다. 이러한 특정한 종교전통을 훈육함으로써 생성된 편견을 제거하는 효과적 방법은 다문화 종교교육을 통하여 그러한 편견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둘째로, 남성운동을 기독교 공동체의 선교사명으로 간주하면서, 디티스는 지금까지 남성에게 강요되어 온 전통적인 이미지들을 극복하고,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다양한 이미지들의 생성 가능성을 수용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그에게 남성운동은 기존의 유행하는 고정관념을 넘어서 남성됨의 다른 측면들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셋째로, ,디티스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하나의 종교로 간주한다. 프로이트는 삶과 죽음에 관한 인간의 실존적 한계에 관련된 물음을 심각하게 물었다는 점에서 판단한다면, 그를 무신론자나 불가지론자로 보는 기존의 접근방식과는 달리, ‘종교적 인간’(homo religiosus)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모든 언술은 자서전이다.’는 프로이트의 전제를 수용하며, 디티스는 텍스트 안에 숨겨져 있는 초심리학을 해독하려고 했다. 그러므로 그에게 정신분석학은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종교교육적 통찰에도 불구하고, 디티스의 종교심리학은 다문화 종교교육의 모델로서 몇 가지 한계를 지닌다. 그 자신의 편견이 반영되는 이분법적인 해석이나 편견을 이해의 필수조건으로 수용하는 가다머의 입장 등은 그의 설득력을 약하게 하는 논거가 된다. 그러나 오늘날 다문화사회를 지향하는 한국의 시대적 맥락에서 살펴 볼 때, 디티스의 모델이 다양한 남성됨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James Dittes's psychology of religion in light of multi-cultural religious education. Emphasizing the continuities between the life and thought of human beings, Dittes attempts to find a balanced point between empirical studies and religious sensibility in psychological studies, especially on prejudice, gender, and religious utterance. First, Dittes argues that religion creates boundaries between kin and strangers. According to him, however, prejudice is associated with “contractual religion,” not with “prodigal relig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ejudice from religious instruction, religious people should transmit the need for prejudice through multi-cultural religious education. Second, regarding a men's movement as Christian community's mission, Dittes believes that the conventional images of man play a role in limiting the abundant possibilities to be ma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men's movement is about exploring the astounding variety of ways to express manhood beyond the prevailing stereotypes. Third, Dittes reads Freud's psychology as a religion in that he sought for religious quest, In this sense, Freud should not be neither an atheist nor an antagonist of religion. Accepting Freud's assumption that all utterance is autobiography, Dittes holds that we should read the message within the text, the metapsychology. Therefore, for him, Psychoanalysis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life. In conclusion, in spite of his insights, Dittes's psychology of religion as a model of multi-cultural religious education still has several limitations to be further developed in the study of religion and religious education. As Gadamer points out, Prejudice should not be the object to be overcome but part of understanding process. And Dittes's emphasis on manhood makes us reflect over a variety of ways to become a man in South Korea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 윤치호(1865~1945)의 한중일 인식과 기독교 이해 : 종교현상학적 해석

        안신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6 人文論叢 Vol.33 No.-

        본 논문은 좌옹 윤치호의 한중일(韓中日) 인식과 기독교 이해를 그의 일기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그는 사회진화론에 영향을 깊이 받았지만 그러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가지고 국가와 민족 및 인종의 특징과 가치를 일반화하지는 않았다.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가 되어 버린 조선은 더 이상 윤치호에게 국민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미래가 있는 나라가 아니었다. 그러한 나라를 파국으로 몰아넣은 조선인도 그에게는 사대주의와 당파성 때문에 주체성을 결여한 민족으로 간주되었다. 근대지식인으로서 그리고 기독교지도자로서 윤치호는 중국과 일본에 대한 양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중국은 조선을 오랫동안 억압한 나라로서, 그리고 일본은 근대화에 성공한 호전적인 나라로서 인식되었고 두 나라에서 유학을 했던 윤치호는 중국인과 일본인의 장단점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윤치호는 국가의 소생을 위한 유일한 방법이 기독교 정신함양과 실력양성에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의 세계관은 전반에서 후반으로 갈수록 점차 친일적인 경향을 갖게 되었다. This essay is intended to examine Yun Chi-ho's perception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hi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by analyzing his diaries. His diaries contain his reflections abou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His mother land, Korea had been colonized by Japanese colonialism. Criticizing Chinese oppression over the Korean dynasties, he also pointed out the Japanese discrimination against the Korean people. He attempted to find out a new way to solve social problems by encouraging Koreans to have modern knowledge and a new religion, Christian faith. But his pro-Japanese attitude during his latter days made his reputation much worse.

      • KCI등재후보
      •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Alcoholics Anonymous)에 나타난 치유와 영성

        안신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5 사회과학연구 Vol.37 No.1

        본 논문은 종교적 대안공동체의 세계관을 분석한다. 우리사회에 만연된 잘못된 음주문화의 피해자들의 단주모임, 정확히 표현하면 ‘술 권하는 사회’에서 술을 끊기 위하여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단주모임 ‘익명의 알코올중독자들’(Alcoholics Anonymous, 이후 A.A. 단주모임)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연구이다. 1935년에 사업가 빌(Bill W.)과 외과의사 밥(Dr. Bob)이 시작한 A.A. 단주모임은 독특한 영적 세계관을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대안공동체로서 활동해 왔다. 이 모임의 신념체계와 의례 및 공동체에 대한 공감적 이해를 통하여 A.A. 단주모임에 나타난 치유와 영성을 탐색할 것이다. 종교문화에서 술은 다양한 기능을 해 왔다. 유교의 제사에 사용되는 음식 중 술은 조상과 후손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기독교의 성찬식에 사용되는 포도주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나타내는 구원의 상징이다. 반면에 불교와 이슬람은 술을 금지한다. 예를 들어, 불자라면 누구나 따라야하는 오계(五戒)에는 “술을 삼가라”는 다섯 번째 계율이 있다. A.A. 단주모임은 영적인 깨달음을 통한 삶의 변화를 주장한다. Alcoholic Anonymous is the best selling book published in 1939 by two pioneering visionaries, Bill Wilson and Bob Smith with Henry Parkhurst. A.A. formed the community to promote a cure for alcoholism. They want to describe their cure and to promote its effectiveness through personal testimonies. The basic ideas of A.A. community is the following: (1) that we were alcoholic and could not manage our own lives, (2) that probably no human power could have relived our alcoholism, and (3) that God could and would if sought. They suggest twelve steps as guides to progress. A.A. community pays attention to spiritu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worldview of A.A., creator has entered into human hearts and lives in a way that is indeed miraculous. Each individual, in the personal stories, describes in his/her own language, and from his/her own point of view the way he/she established his/her relationship with God. They argue that they could find the solution in consciousness and conviction of the presence of God.

      • KCI등재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안신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9 대순사상논총 Vol.33 No.-

        대순사상의 인간관에 대한 연구는 크게 내부자와 외부자 그리고 종교학의 입장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은 엘리아데가 주창한 신인간주의의 관점에서 대순사상의 인간관을 분석한다. 대순사상의 인간관은 엘리아데의 종교적 인간의 주요 특징을 잘 구현하고 있다. 대순사상은 미로와 같은 인생의 중층성과 복잡성을 다루며, 그 중심에 증산의 인간관을 위치시킨다. 증산은 선천의 인간이 직면한 실존문제를 진단하고, 후천의 세계관 변혁을 위한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의 종교적 처방을 내린다. 동학혁명에 대한 새로운 종교적 대안으로서, 증산은 평화의 길을 제시하였다. 천지공사를 통하여, 선천의 상극관계를 후천의 조화관계로 변화시킨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대순사상의 우주론은 삼계 가운데 신인관계를 재정립하고, 구천상제의 인신화현을 통하여 권선징악의 윤리관과 인존사상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엘리아데의 신인간주의의 관점에서 대순사상의 인간관은 더 이상 해명이 필요 없는 종교적 인간관이다. There have been three trends in the study of the view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insider theology, outsider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terpret the view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Mircea Eliade’s New Humanism. We find similarities between Daesoon Thought and Eliade’s New Humanism. Daesoon Thought deals with the complexities of life as being labyrinth-like and puts Jeungsan’s view of humanity at the center of a Daesoon worldview. Jeungsan examines the existential problems which humans face in the Former World, and gives the religious remedies of Haewon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Boeunsangsaeng (the grateful reciprocation of favors for mutual beneficence) to transform humanity’s worldview for usage in the Later World. Jeungsan suggests a way of peace instead of the revolution of Donghak. Through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Jeungsan changes the mutual contention of the Former World into the mutual beneficence of the Later World. The cosmology of Daesoon Thought reco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in the three realms, and proposes a system of ethics that promotes virtue and reproves vices and human-centericism. In conclusion, the view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is an unapologetic view of homo-religiosus from within a new humanism.

      • KCI등재

        세계종교 교수법을 통한 다문화 종교교육 : 영국과 한국의 사례에 대한 비교 연구

        안신 韓國宗敎敎育學會 2009 宗敎敎育學硏究 Vol.30 No.-

        21세기 종교교육의 현장에서 종교학자가 세계에 나타나는 다양한 종교들을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교에서 교수하는 일은 쉬운 과정이 아니다. 인류의 오랜 문명과 현대의 종교다원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종교를 설명하는 것이 시급하고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나름대로 종교에 대한 해석의 틀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앙한 교수법들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영국과 한국의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대학교에서 세계종교를 교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가용한 종교교육의 대안들로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영국 대학교에서 강의되고 있는 세계종교의 경우, 에던버러대학교에서 강의되고 있는 세계종교강좌를 분석하였다. 특히 종교전문가의 공동강의와 튜터(강사)를 통한 강독수업으로 강의내용의 깊이와 이해의 폭을 넓히려는 시도를 병행하고 있다. 사용하는 강의교재를 선택할 때에도 우선적으로 영국종교학자가 집필한 저서를 고려함으로써 영국의 종교현상으로부터 고립된 세계종교에 대한 지식을 일반적 수준에서 제공하는 대신에, 세계종교와 영국종교를 동시에 연관시켜 강의하는 통합적이며 관계적 방식을 지향한다. 나아가 종교현상학적 태도와 종교인류학 혹은 종교사회학적방식을 가미함으로써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한 지역적 이해와 심층적 설명에 도달하려고 한다. 반면에, 한국에서 서울대, 서강대, 이화여대에서 강의되고 있는 세계종교의 경우, 기존에 나와 있는 세계종교에 관한 저서들이 교재로서 갖고 있는 내용과 방법 면에서의 한계가 있으며, 더불어 학기 단위로 충분한 일정을 확보할 수 없는 시간적 제약에 부딪혀 담당 교수가 단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의 종교상황과 수강생들의 관심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강의가 제공되고 있지만, 서구 중심적 시각의 전달과 일방적인 강의의 흐름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필자는 (1) 종교공동체에 대한 현장조사의 기회를 확대하고,(2) 종교공동체 대표(혹은 종교인)를 강의 초청하거나 인터뷰하며,(3) 미디어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현대문화에 나타난 종교적 변용을 검토하는 것도 좋은 자극제가 될 것이다. 나아가 (4) 축제에 참여하거나 박물관 혹은 특별전시회를 방문한 후에 감상문을 제출하는 과제도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나아가 (5) 학생이 종교를 만들거나 자신의 일대기를 종교적 관점에서 기술하는 과제는 제도적인 종교의 의미를 넘어 종교적 물음의 보편성을 확인하는 기회를 줄 것이다. This paper compares the British teaching system of world religions with the Korean one by analyzing their forms, contents, and texts in the University level of teaching world religions. Though the modern society asks its citizens to have broad knowledge and open attitude toward world religions, the organization and evaluation of teaching system is a difficult process within the academia of religious studies.. First, the British system (eg. University of Edinburgh) is mainly based on the team teaching of experts, one year rotation system, and its emphasis on discussion group. Second, the Korean system (eg. Seoul National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has main characteristics such as one lecturer system, one semester rotation, and its emphasis on lectures.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the author gives five suggestions: (1)visits to religious community, (2) special lectures of religious leaders, (3) active usage of media contents, (4) participation in religious festivals, (5) creative themes for report and test. Both religious texts and contexts transform the method and theory in teaching world religions.

      • 배재대학교의 교가의 기원과 의미에 관한 연구 : 프린스턴대학교 응원가와의 비교연구

        안신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8 人文論叢 Vol.35 No.-

        본 논문은 프린스턴대학교와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배재대학교 교가의 기원과 의미를 탐색한다. 기독교정신에 기초를 두고 있는 두 고등교육기관은 문장, 마스코트, 토론회 등에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배재학당의 설립자 아펜젤러 1세와 그의 아들 아펜젤러 2세의 비전과 경험을 살펴볼 때, 아펜젤러는 프린스턴대학교를 한국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을 발전시키기 위한 적용 가능한 현실적 모델로 삼았다. 프린스턴대학교의 응원가들은 배재대학교의 교가에 형식과 내용의 차원에서 큰 영향을 주었으며, 공동체의식과 연대감의 강화에 공헌하였다. 앞으로 프린스턴대학교를 넘어서 다른 영미대학교들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배재대학교의 비전과 나가야할 방향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origin and meaning of school song by doing a comparative study of Pai Chai University and Princeton University. Both institutes of higher education are based on Christian values, and there are similarities in arm, mascot, and debating society. The founder of Pai Chai University, Henry G. Appenzeller and his son H. Dodge Appenzeller regarded Princeton University as the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applicable into the Korean context.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the early twentieth centuries, the cheering songs of Princeton University have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Pai Chai University song to buil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o strengthen solidarity. In the further study,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universities in the USA and the UK will challenge us to find new directions of vision a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