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성 해자 식물유체로 본 경관 복원 연구

        안소현(Sohyeon Ahn) 한국상고사학회 2019 한국상고사학보 Vol.105 No.105

        월성 해자 출토 씨·열매류, 화분분석을 통해 AD 5~6세기대 월성과 그 주변지역의 식생경관을 복원하고, 고대인들은 식물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해자와 북측 주변지역의 식생경관을 구성하는 식물군의 생육장소를 논의할 수 있었고, 구체적인 추정 복원도로 표현하였다. 해자에 자랐던 가시연꽃을 비롯한 다양한 수생식물군락, 호안 목제 구조물, 그리고 목제 구조물 바깥쪽의 해자 수역에 맞닿은곳은 습생식물대로 이루어진 공간이 존재했을 것이다. 보다 북측으로는 인간활동의 영향으로 형성된 터주식물군 중심의 초지가 펼쳐지고, 그 배후에는 월성 북쪽을 흐르는 발천 주변으로 느티나무·느릅나무류가 주된 하안림(河岸林)이 분포하는 공간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신라왕경의 광역 식생경관의 변화양상과 고대인의 식물이용상에 대해 논의하고, 이것에 관련된 구체적인 복원그림 작성을 위해 앞으로 밝혀야 할 중요한 과제들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생육장소를 구체화시킨 식생경관 복원도 작성의 시도는 향후 월성을 포함한 신라왕경경관을 밝히기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From the analysis of fruit, seed, and pollen remains excavated from the moats of Wolseong Palace site, Gyeongju, its nearby vegetation landscape in 5-6th century A.D. has been reconstructed and it tells about how people at the time utilized plants. An archaeobotanical reconstruction drawing is created based on the growing sites for the plants that constituted the vegetation landscape of the moat and its neighborhood areas in the north. It is inferred that various hydrophyte communities including Euryale ferox populated the moat whereas the places in which the exteriors of wooden revetment structures adjoined the waters consisted mostly of hygrophyte zones. Northwards from the palace, a ruderal plant dominant grassland created by human activities seems to exist in the past, and the space beyond this grassland and around Balcheon river running across the north side of Wolseong Palace is assumed to be populated by riparian forests dominated with Zelkova-Ulmus at the time. From this reconstruction, some important issues are raised for the further research on the changes in the regional vegetation landscape in Royal capital of Silla and people’s plant utilization, and for the more detailed archaeobotanical reconstruction drawing as the cornerstone of the study on the Royal capital’s vegetation landscape, including Wolseong Palace.

      • KCI우수등재

        화분분석으로 본 신라 왕경 식생사와 문화경관

        안소현(Ahn Sohyeon) 한국고고학회 2020 한국고고학보 Vol.0 No.117

        In order to reconstruct the landscape of an ancient capital city and its living landscape as close as possible to how it may have actually bee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ts green space (by identifying how the vegetation within the landscape looked like, where it was located, and what it meant to the ancient people who lived there),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aspects of its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This research reveals the vegetation change that took place at five archaeological sites in Gyeongju during the time from the Three Kingdoms to the Unified Silla Period, with a focus on the places where vegetation grew, by examining the findings of various plant remains, with focus on pollen analy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ultural meaning of the vegetation which formed part of the landscape of the ancient capital city of Silla is as follows. During the period from the fifth to the sixth century AD, a riparian forest dominated by Zelkova-Ulmus was distributed along the banks of the Nam-cheon and Buk-cheon River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expansion and decline of this forest may have resulted from certain human activities. Evidence fro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extinction of the wetland vegetation in the central area of the Gyeongju Basin in the late sixth century may have been due to the development of lowland areas for land required by the capital city.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areas peripheral to settlements within the Gyeongju Basin appear to have witnessed a relative decrease in forest lands,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city development and an increase in its population; this is evidenced by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grassland. Meanwhile, in mountainous areas, the Quercus-Pinus climax forest declined while secondary pine forests increased. In addition, this research discovered the presence of ancient exotic plants that had been imported through the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newly cultivated plants which began to appear and become diversifi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empirical data of this research, which was produced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landscaping plants of the time, can provide a better resource based on which the variety of the plant culture of the capital city of Silla may be assumed. 실체에 가까운 고대 도성의 경관 및 생활경관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토목·건축물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녹지 공간 즉 경관 구성요소로서의 식생이 어떠한 모습으로 어디에 위치했는지 밝히고 논의하는 일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경주지역 유적 5곳의 화분분석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식물자료를 통해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식생 변천사를 생육장소에 주목하여 밝히고, 이러한 녹지는 고대인에 있어 어떠한 공간이었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검토 결과, 신라 왕경 구성요소로서의 식생과 그 문화경관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AD 5~6세기대 남천 및 북천의 하천변에는 느티나무·느릅나무류가 주된 하안림이 분포하였고, 이러한 숲의 확대 및 쇠퇴는 인위적 영향에 의한 것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신라 왕경 내 대지 조성을 위한 6세기 후반 무렵 저지대개발로 인해 경주분지 중앙부 북천과 남천 사이의 습지식생이 쇠퇴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통일신라시대로 이행되면서 경주분지 내 생활공간 주변은 왕경 개발 범위의 확대 및 인구증가로 인해 초지 면적이 증대하고 상대적으로 숲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한편, 산지에서는 참나무류 중심의 극상림이 쇠퇴하고 소나무 이차림이증가하였다. 또한 대외 교역의 산물로서 외래식물의 존재가 밝혀졌으며, 특히 통일신라시대에 접어들어 새로운 재배식물이 출현하고 한층 다양화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고대 조경식물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가 확보되어, 신라 왕경에서 향유된 다양한 식물문화를 짐작할 수 있다.

      • KCI등재

        삼국시대 식물질 축성재료에 대한 검토 - 경주 월성과 함안 성산산성을 중심으로

        안소현(Ahn, Sohyeon) 한국고고학회 2022 한국고고학보 Vol.- No.122

        월성 서성벽과 성산산성 동성벽의 식물유체 출토양상을 통해 삼국시대 성벽 축조에 관련된 식물질 재료의 구체적인 종류를 밝히고, 그 성격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지역의 성벽 기저부에 포함된 식물유기체 구성물의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월성 서성벽의 기저부를 이루는 구성물은 곡물 껍질, 볏짚, 목재 가공 잔사, 목탄, 각종 종실류 등의 식물질 폐기물이 주를 이루고, 토기편, 동물뼈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물의 조합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활동으로 발생한 부산물로 보이며, 성산산성 동성벽의 기저부 조성 공정에 해당하는 부엽층의 구성물도 같은 맥락으로 추정하였다. 월성 서성벽 체성부에서는 농작부산물인 볏짚을 주재료로 하는 벼과식물의 줄기와 잎을 성토층 사이에 반복적으로 깔아 흙벽을 쌓아 올린 축조기법을 확인하였다. 볏짚은 높은 규산질을 함유하여 흡수 및 발수, 경도 면에서 우수한 재료로서 성벽 안정성에 기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부엽공법은 성토구조물의 견고한 축조를 위해 식물을 보강재로 이용하는 공법을 포괄적으로 이르는 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이번 검토 결과로 밝혀진 성벽 축조에 관련된 식물유기체의 성격으로 본다면 생활에서 발생한 잡다한 식물 잔해를 대량으로 메워 기저부를 조성한 일종의 ‘매립 공정’과 나뭇가지 및 초본류의 정선된 재료를 성토층 사이에 까는 ‘부설 공정’으로 유형 구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성벽 기저부의 식물 포함양상이 성벽 축조에 앞서 행해진 의례를 의미하는 것일 가능성에 대한 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사원과 성 등의 고대 공공건축물의 기저부에서 발견되는 기초매납물(foundation deposits) 사례를 살펴보면, 이는 종종 재화와 음식물을 포함한 다수의 품목으로 구성된 대규모 제물의 흔적으로 추정되며, 쓰레기와 명확하게 구분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월성과 성산산성의 사례와 같이 성벽의 문지 아래에서 발견되는 유물 및 동식물유체가 다량 혼재된 구성물의 조합은 폐기물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 일부는 의례의 결과물일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materials used in ancient rampart construction techniqu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is, it analyzes the plant remains excavated from the west rampart of Wolseong and the east rampart of Seongsan Sanseo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some common characteristics of plant materials found in the base of the ramparts at both sites. In the case of Wolseong, plant wastes such as husk, rice straw, wood processing residues, charcoal, and various seeds and fruits form the majority of materials alongside some pottery fragments and animal bones. It is assumed that these materials, also found in the base of Seongsan Sanseong s east ramparts, were the by-products of various daily activities. For the technique of stacking up the main body of Wolseong s west rampart, crop by-products, such as rice straws and other Poaceae stems and leaves, were used. Rice straws are presumed to have contributed to the stability of the earthen walls due to their high concentration of silica, which made them excellent construction material with high water absorptivity and hardness. The “leaf mat method” has been used as a broad term referring to the use of plant materials for reinforcing earthen structur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wo distinctive processes which fall under this broad term should be distinguished. One is the “filling process” in which a large amount of miscellaneous plant debris from daily lives are stacked up. Another is the “laying process” in which selected substances, such as branches and herbaceous materials, are placed in between soil layers. In relation to the preceding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despite the rubbish-like appearance of the artifacts and ecofacts discovered from the doorway of the rampart, they may have been the remains of a foundation rit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