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선의 파랑중 저항 증가에 관한 연구

        안병길(Byung-Kil Ahn),이상민(Sang-Min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4 No.10

        선박이 파랑중을 항행할 경우에는 정수중에 비하여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예부선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예선의 예인마력과 예인삭의 절단하중 등을 산정할 때에 부선의 정수중 저항값 및 파랑중 저항값을 정확히 추정해야 안전한 예항업무를 이행할 수 있다. 현재 정부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에 의하면 부선의 전저항 산정시 마찰저항, 조파저항, 공기저항은 선체의 형상 및 예선의 속력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지만 부가저항은 유의파고에 따라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랑중 부가저항 추정을 위해 수치계산을 실시하여 wigley 선형에 대한 기존의 실험 데이터와 상호 비교함으로서 본 계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수치계산법을 토대로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두개의 부선 모델을 대상으로 계산을 실행한 결과 부선의 부가저항은 파도와의 만남각에 따라 약 0.3∼1.1톤, 예인속력에 따라 약 0.4∼1.2톤, 선수형상에 따라 약 0.5∼1.1톤으로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It is necessary to estimate more accurately the resistance of barge in still water and waves to compute the break load of towline and towing power for safety towing performance. The method proposed by government has calculated the total resistance of barge which is composed of frictional resistance, wave making resistance and air resistance considering the shape of hull and towing speed. However, the added resistance is equally applied with the significant wave height regardless of the type of vessels. In this study, we have carried out the numerical calculation to estimate the added resistance of wigley model in waves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 data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method. Then the computation was executed for the barge varying shape of the bow. As a result, added resistance of barge was differently occurred i.e. 0.3∼1.1 ton according to encounter angle, 0.4∼1.2 ton according to towing speed and 0.5∼1.1 ton according to shape of bow.

      • KCI등재후보

        휴대용 GPS를 이용한 부선의 안전예항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이상민,안병길,Lee, Sang-Min,Ahn, Byung-Kil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4 No.4

        피예선인 부선으로 인하여 예선 자체의 조종성능에 제한을 받고, 이러한 예부선은 바람, 파도, 조류 등과 같은 외력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여 예부선 운항의 안정성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고 있다. 예선의 선장, VTS 및 육상의 운항부서 등에서는 부선과 같은 피예선의 실해역에서의 침로, 속도,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해난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저렴하고 이동이 용이한 휴대용 GPS를 이용한 부선의 안전예항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기초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실선에서의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안전 예항에 필요한 여러 항해 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ug boat is restricted in her maneuvering ability due to the towed barge, and tug-barge has been strongly affected by the external forces, i.e. the wind, wave, currents, and so 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t the safety of tug-barge oper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captain of tug boat, VTS and operation department to develope the system which can keep observing the course, speed and position of the towed barge in actual sea and prevent the marine accidents in advance.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basic method to develope the safety towing system for barge using portable GPS which was easily movable and relatively inexpensive. Then we conducted the test on the real barge. As a result, we could obtain diverse navigation data to make a safety towing work. It was noted that these data could be used for carious purposes.

      • KCI등재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조기 재건술과 지연 재건술을 시행한 군의 임상적 결과 및 이차 관절경 소견의 비교

        이수원(Soo Won Lee),김성환(Sung Hwan Kim),이용식(Yong Sik Lee),안병길(Byung Kil Ahn),백사무엘(Samuel Baek),정재훈(Chae Hoon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4

        목적: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조기 및 지연 재건술 간의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 소견을 후향적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3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24개월 이상 추시 관찰 가능하였던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 중 수상 후 1주 이내에 경경골식 재건술을 시행한 조기 재건군 21예와 3주에서 6주 사이에 시행한 지연 재건군 15예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결과, 이차 관절경 소견 및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Lysholm,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Tegner 점수는 양 군 간 차이가 없었다(p=0.173, p=0.154, p=0.109). 신전 및 굴곡 제한, Lachman, pivot shift 검사 등도 양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08, p=0.680, p=0.377, p=0.894). 이차 관절경 소견(파열의 유무 및 정도, 이식건의 긴장도, 활액막 형성 정도)도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 며(p=0.936, p=0.944, p=0.789),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 소견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론: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조기 및 지연 재건군 모두 만족할만한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 소견을 얻었다. 따라서 수 상 후 1주 이내의 조기 재건술도 치료 방법의 하나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omparison of clinical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between early and delayed reconstruction of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ix patients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between March 2008 and October 201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those in the early reconstruction group underwent surgery before one week, and those in the delayed reconstruction group underwent surgery after three weeks, before six weeks. We checked clinical results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and analyzed correlation of clinical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Results: At the final follow up, the Lysholm,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and Tegner scor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173, p=0.154, p=0.109). No difference for the range of motion (p=0.808, p=0.680), Lachman test (p=0.377), and pivot shift test (p=0.894)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the results of second look arthroscopy,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aft continuity (p=0.936), tension (p=0.944) and synovial coverage (p=0.789). No statistical clinical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linical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p>0.05). Conclusion: We obtained satisfactory clinical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in both the early and delayed ACL reconstruction groups. Therefore, early reconstruction of ACL performed before one week could be a treatment options for acute ACL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