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경험 빈도와 정서조절 방향에 나타난 한국 노인의 정서최적화 특징

        안미소(An Mi So),김혜리(Ghim Hei Rhee)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1

        나이가 들면서 남은 인생이 제한적임을 느끼게 됨에 따라 부정정서 경험을 최소화하고 긍정정서 경험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서조절하게 된다는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을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긍정적인 정서의 부정적 측면과 부정적인 정서의 긍정적 측면이 존재함을 인정하는 동양의 변증법적 정서개념에서는 부정정서를 최소화하고 긍정정서를 극대화할 필요성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변증법적 정서개념에 기초한 동양문화권의 한국 노인은 긍정정서를 극대화하고 부정정서를 최소화하기보다는 각성을 줄여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정서 조절할 가능성이 있다. 166명의 청년, 중년, 노인을 대상으로 PANAS 척도를 사용하여 각성수준이 다양한 긍정, 부정 정서경험의 빈도를 평가하였으며, 정서경험 상황에서 정서를 약화/순응/극대화 하는 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노인이 청년보다 부정정서 뿐만 아니라 긍정정서도 덜 빈번하게 경험하였다. 또 정서문항을 각성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청년들은 고각성 정서를 저각성 정서보다 더 자주 경험하였으나, 노인들은 고각성 정서를 덜 경험하였다. 또 노인은 청년보다 부정정서를 약화시킨다는 반응과 긍정정서를 약화시킨다는 반응을 더 많이 하였다. 이에 반해 긍정정서를 극대화한다는 반응은 청년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노인은 각성수준이 높은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모두 약화시켜서 정서적 안정을 유지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SST) with Korean adults. According to SST, perceiving their life as limited, people are motivated to enhance their mood by regulating their mood in such a way to maximize the positive emotions and weaken the negative ones. Being founded on the dialectical constructs which assume the positive and negative sides of emotional experience coexist, Korean adults were supposed to be less motivated to maximize positive emotions and weaken negative emotions. Thus the elderly koreans might regulate emotions not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positive emotions and weakening the negative ones, but in the direction of not being highly aroused. 166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were asked to rate the frequencies of 31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ey had experienced during the last month. In addition, they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y weaken / adapt / maximize their emotions after experiencing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The elderly experienced less positive emotions as well as negative emotions than youth. Youth experienced emotions of high arousal more often than those of low arousal, but the elderly experienced emotions of high arousal less often. The responses of weakening their negative emotions and their positive emotions were largest in the elderly group.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of maximizing their positive emotions were largest in the youth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maintains emotional stability by weaken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high arousal.

      • KCI등재

        남은 시간 인식이 회상기억에 미치는 영향

        안미소(An, Mi So),김혜리(Ghim, Hei-Rhee)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1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이 자신의 미래가 길다고 인식하면 미래지향적인 삶의 목표를 가지나, 짧다고 인식하게 되면 삶의 목표가 현재의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것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나이가 들어 남은 인생기간이 짧다고 인식하게 되면, 현재의 정서 상태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부정적인 자극보다 긍정적인 자극에 더 주의하고 더 잘 기억하게 되는데, 이를 긍정성 효과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의 주장과 같이 긍정성 효과는 남은 인생기간이 짧다고 인식하여 나타나는 현상인지를 연구하였다. 참가자에게 시간이 확장되거나 제한되는 가상의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 어떤 일을 할 것인 지, 누구와 시간을 보내고 싶은지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누도록 하여 가상의 상황에 몰입하도록 하였다. 그 후 긍정, 부정, 중립적인 정서 사진들을 제시하고 10분 후에 회상시켰다. 75명의 대학생과 65명의 노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남은 인생기간을 조작하지 않는 통제조건에서 노인은 부정사진 보다 긍정사진을 더 많이 회상하는 긍정성 편향을 보였으며, 청년은 반대로 부정사진에 대한 편향을 보였다. 시간확장조건의 노인은 통제조건의 노인에 비해 긍정사진을 덜 회상하였고 부정사진은 더 많이 회상하였다. 이에 반해 시간제한 조건의 청년은 통제조건의 청년에 비해 부정사진을 덜 회상하였다. 이는 노인도 남은 인생기간을 길게 인식하면 긍정 회상이 감소하고 부정 회상은 증가하여 긍정성 편향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청년의 경우 남은 시간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부정 회상이 감소하는 긍정성 편향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는데, 이러한 반응은 노인이 보이는 반응과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성 편향은 남은 시간을 제한적으로 인식할 때 나타나는 현상임을 보여준다. According to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if people perceive their time left in life as expanded, they have a future-oriented goal of life, but if perceive as limited the goal of life is changed into the pursuit of present emotional satisfaction. Thus, if we perceive our time left as getting limited as we get older, we pay more attention to the positive stimuli than the negative ones and remember more the positive stimuli in order to maintain the current emotional state as positive. This is known as the positivity effe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positivity effect is caused by a limited future time perspective.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scenarios for hypothetical situations in which the future time was expanded or limited, and were encouraged to immerse in the virtual situation by talking about what they would like to do and whom they wanted to spend time with. Then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48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pictures and were asked to recall after 10 minutes delay. 75 university students and 65 elderly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control condition where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not manipulated, the elderly showed the positivity effect but the youth showed the bias toward negative pictures. The elderly in the expanded time condition recalled positive pictures less and negative pictures more than the elderly in the control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youth in the limited time condition recalled less the negative pictures than the youth in the control condi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derly did not show the positive bias whe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expanded, and that the youth showed the positive bias whe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limit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ity effect is related with the limited future time perspective.

      • 연구원_2015 연구과제 1 - 기계설비건설업 동향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이영준,김미리,안미소,Lee, Yeong-Jun,Kim, Mi-Ri,An, Mi-So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2016 기계설비 Vol.307 No.-

        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원장 이언구)은 지난해 4월 연구심의위원회에서 선정된 ${\triangle}$기계설비건설업 동향분석 ${\triangle}$기계설비건설업체의 부도예측 모형 연구 ${\triangle}$기계설비건설공사 시공상세도면 작성비 산정기준 연구 ${\triangle}$플랜트 건설 현장 외국인력 고용 개선방안 ${\triangle}$녹색기술 기준에 근거한 연구과제 도출을 위한 기초연구 ${\triangle}$대용량 지열설비 이용을 위한 지중열교환기 용량 설계 툴 개발 ${\triangle}$기계설비배관 및 장비 단열 기준 연구 등의 기본과제와 외부기관과 공동으로 수행한 ${\triangle}$플랜트 건설현장 외국인력 고용 개선방안 ${\triangle}$기계설비건설업 관련법류 개선방안 연구를 추진했다. 본지는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보고서를 연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