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유아기 형제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개입 프로그램의 효과

        안라리 ( Ra Ri An ) 한국유아체육학회 2008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sibling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children such as sex, age, temperament and attachment, with that of their parent`s intervention, and the sibling conflic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sibling conflicts were related to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attachment more than sibling`s sex, age and age deference. Second, the parent intervention was related to the sibling conflicts. Third,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an effect on sibling conflicts.

      • KCI등재
      • KCI등재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안라리(An, Ra-Ri),박화윤(Park, Wha-Yun),신인영(Shin, In-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시에 위치한 2곳의 유치원에서 만 3, 4, 5세 유아 각 40명씩 총 120명과 그 아버지를 대 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아버지가 자아존중감이 높고 아버지의 애정적․자 율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부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자율적․애정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높고 아버지가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부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자율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father's self-esteem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 were 120 children and their father who w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vice in J city. Data analysed with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 father's self-esteem and affective․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 Second, the father's affective․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 has effect on the children's self-estee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 father's self-esteem and affective․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 Fourth, the father's affective․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 has effect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지향성 및 교직지향 이유의 관계

        마지순 ( Ji Sun Ma ),안라리 ( Ra Ri An ) 대한가정학회 2014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2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ment and child care teachers’ intention of teaching, the reason for teaching intent. The subjects were 181 child care teachers from Chungcheongnam-do and the city of Daejeo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ment and child care teachers’ intention of teaching and, the reason for teaching inten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decision making, professional growth, status, self-efficacy, autonomy, impact empowerment and child care teacher’ intention of teaching and, the reason for teaching intent. Second, child care teachers’ intention of teaching and the reason for teaching intent were affected by empowerment. Status and professional growth empowerment we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s for the child care teachers’ intention of teaching. The impact and self-efficacy empowerment we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s for enjoy working with children, impact and professional growth empowerment we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s for finding meaning in teaching, impact and status empowerment we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s for opportunities to face ongoing challenges, and achievement motive. Status empowerment we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for reasonable pay and working environment, stability and skill. Therefore, status and impact empowerment we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for the reason for teaching intent.

      • KCI등재

        만 5세 남녀유아의 자아개념과 리더쉽이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

        마지순 ( Ji Sun Ma ),안라리 ( Ra Ri An ) 대한가정학회 2011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9 No.8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five years old boys` and girls` self-concept and leadership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were 51 boys and 64 girls who were five years old in Jeonrabuk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boys,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concept of language, the parent relationship and an intimat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elf-concept of body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f conflict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the case of the girl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f concept of body, language, the parent relationship, friends` relationship and the general and intimate teacher-child self-concept. The self-concept of mathematics and conflictive teacher-child rel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sub variable of leadership and an intimate teacher-child relationship. However, prosocial leadership, directedness and a conflic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the case of the boys. Thir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affected by leadership more than the self concept, and prosocial leadership was highly related in boys and girl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협동학습에서의 갈등경험 의미 탐색

        마지순(Ji-sun Ma),안라리(Ra-ri 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출현하는 갈등경험과 갈등해결 경험은 어떠한 것이며, 이러 한 과정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바람직한 협동학습이 진행 될 수 있는 기초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W대학에 재학 중인 85명의 예비유아교사로 저널쓰기, 비형식적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에서 구성원 모임, 공정성,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과정에서 모임시간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반성적 사고, 동료 간의 정서적 지지, 타인 이해 하기, 함께 하는 시간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경험의 의미는 지각된 책임감의 형성, 타인 배려를 통한 자신의 성장, 호혜적 이타성 경험, 협동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성원이 함께 직접 만나 협동학습을 하는 시간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갈등해결을 위하여 교수자는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의 공정한 참여와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협동 학습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할 때 협동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onflict experience i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8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W universit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unstructured interviews and journal writings of the participant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experiences in cooperative activity are team meeting, fair participation and evaluation, and conflict of the personal relation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resolution experiences in cooperative activity are autonomy of the team meeting time, reflective thinking, sentimental support, recognition of others, and solving problems by the time spending together. Third, the meanings of conflict experience in cooperative activity are formation of felt responsibility, self-growth through consideration of others, reciprocity, and recognition of the meaning of cooper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 리더십의 관계

        마지순(Ma, Ji-Sun),안라리(An, Ra-Ri),강영식(Kang, Young-Si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리더십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과 대전광역 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교사리더십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과업주도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풍토조성효능감은 리더십 전체와 가장 높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교사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교수효능감, 부모참여효능감, 훈육효능감, 의사결정효능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s leadership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s are 215 teachers employed in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 Daejeon Metropolitan City. Questionnaires, which required self-reporting by teachers, are used to investigate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s leadership. The data a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eacher's self-efficac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leadership. Second, teacher's self-efficacy affect teacher's leadership.

      • KCI등재

        교사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마지순(Ma, Ji-Sun),안라리(An, Ra-Ri),강영식(Kang, Young-Si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와 교사리더십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간관계에 미치는 교사리더십의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남 도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15명에게 5점 척도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리더십과 조직 내 인간관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실시 하였고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리더십과 인간관계는 모든 하위 변인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리더십이 높게 나타날수록 조직 내 인간관계가 바람직하게 형성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리더십은 과업주도성, 공동체성, 목표지향성 순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s leadership on human relationships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215 teachers employed in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Questionnaires, which required self-reporting by teachers, were used to examine teacher's leadership and teacher's human relationship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human relation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eacher's leadership. Second, the teacher's task-oriented leadership, community spirit leadership, and aim of goal leadership affected the teacher's relationship.

      • KCI등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

        강영식(Kang, Young-Sik),마지순(Ma, Ji-Sun),안라리(Ahn, Ra-R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 및 거친 신체놀이가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는 대인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H어린이집 4, 5세 유아 73명이었다.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는 바깥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상황을 캠코더로 기록하고 분석하였으며, 대인문제해결력은 유아와 개별적인 면담을 통해 기록되고 유아들이 반응한 것은 분석범주에 의해 점수화 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안적 해결사고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해결방안과 결과예측 사고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거친 신체놀이의 잡기는 긍정적 해결방안의 예측변인이었으며, 부정적 해결방안은 팔 휘두르기, 넘어지기는 정적영향력이 있는 반면 도망가기는 부적영향력이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과예측 사고의 예측변인은 거친 신체놀이 중 팔 휘두르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거친 신체놀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o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73 boys and girls who were 4, 5 years old in Chungchu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and alternative solutions thought negatively and consequential thought. Second, the alternative solutions thought positively was affected by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what the “pretending to catch”. The alternative solutions of thought negatively was affected by the “pretending to collapse”, “pretending to running”, “pretending to swing an arm. The consequential thought was affected by the pretending to brandish a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