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경섭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8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전략집중정도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였다.분석결과, 조직의 전략집중정도(SFO) 1원칙인 리더십만이 조직성과(능률성, 효과성)와 (+)로 가장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조직의 전략집중정도(SFO) 5원칙인 운영체계(전략통제)의 경우는 능률성을 종속변수로 할 경우에만 (+)의 방향성을 가지며 통계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할 때, 조직의 전략집중정도(SFO)원칙 가운데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본 연구는 조직의 전략집중정도와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첫 연구로서 지금까지 주로 이론적인 차원에서 논의되었던 조직의 전략집중정도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조직의 전략집중정도가 조직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安慶燮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敎育論叢 Vol.8 No.-
The current chemistry textbook of five Korean, two Japanese and a American using by senior high school curriculum have been surveyed to compare with the contents and appendices. Koreans chemistry textbooks (Ⅰ) and (Ⅱ) contain four units(29.5%) for chemical reaction and two units (21.8%) for regularity of physical worlds, five unit (19.9%) for carbon and high molecular compounds and a unit for thermochemistry respectively. Japanese chemistry textbooks (A) conaain three units (27%) for material properties and a unit for material constitution respectively. Chemistry textbooks (B) contain one unit (37.1%) for composition of material, and two units (27.8%) for material properties, atoms and molecules respectively. American chemistry textbook contains one unit (6.3%) for oxidation-reduction and electrochemistry and one unit(2.5%) for environmental chemistry respectively. The differencies among textbooks of three countries are that Korean do not contain environmental chemistry, energy-resource chemistry astro-chemistry and conception of normality but American and Japanese books.
중앙정부 조직개편에 따른 조직문화의 변화와 조직융합, 직무성과와의 관계 분석
안경섭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9 No.1
본 연구는 중앙정부 조직개편에 따른 조직문화의 변화가 조직융합과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행정안전부에 소속된 공무원을 중심으로 기존의 조직(행정자치부, 중앙인사위원회, 비상기획위원회, 정보통신부)에서 현재의 조직으로 개편됨에 따라서,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조직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이들은 직무성과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분석결과, 현재와 과거의 관계문화에 대한 차이가 클수록 통합조직에 대한 비전, 의사소통, 인사, 융합관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현재와 과거의 위계문화에 대한 차이가 클수록 통합조직에 대한 비전, 의사소통, 인사, 융합관리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재와 과거의 혁신문화에 대한 차이는 통합조직의 인사에 대한 수용성에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와 과거의 혁신문화에 대한 차이가 크다고 인식할수록 평균적으로 조직몰입도는 높게 나타난 반면에, 현재와 과거의 위계문화에 대한 차이가 크다고 인식할수록 평균적으로 조직몰입도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융합과 관련된 비전, 의사소통, 인사, 융합관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인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은 크게 나타났다.
정부부처 성과평가에 있어 BSC의 한계에 대한 연구 : 해양경찰청 사례를 중심으로
안경섭,유홍림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4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direc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through essential critics on Balanced Scorecard (BSC). For this, the Korea Coast Guard, that has been highly rated for establishment and exemplary implementation of BSC among the government department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for the survey, whether BSC is functioning at its best as the representative technique of performance evalu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problems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government departments, and illusions, etc. toward BSC, were carefully reviewed.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BSC revealed the following limitations: ① Incongruity between the whole items in performance evaluation and BSC ② Problems with establishment of causality in BSC ③ Limitation caused by quantific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④ Possibility of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for being a mere means for control and management. As improvement plan for these issues: First, the performance standards fitting into each organization should be figured out, and evaluation method and indicators accordingly need to be developed. Second, the internal performance indicators of BSC should be continuously managed in order to make it be in harmony with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organization concerned. Third, the managers have to remember that the purpose of performance evaluation is feedback, so then they should be able to assign the jobs reasonably to the members in their organization to have the members’ job ability improved further. Fourth, introduction and operating system of BSC should be built on the company-wide consensus. In this study, the illusions on BSC, which is one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being most generally used, was disproved through actual cases on the ground of merits and demerit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In addition, this research shall be meaningful methodologically as an exploratory study in the aspect of having carried out empirical analysis of the limitation of BSC by means of inductive reasoning on the basis of empirical data. 본 연구는 BSC(균형성과표)에 대한 본질적 비판을 통하여 정부부처 성과평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 중 BSC를 가장 모범적으로 구축·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해양경찰청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BSC가 성과평가의 대표 기법으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정부부처에 있어 성과평가의 문제점과 BSC에 대한 환상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균형성과표(BSC)는 (1) 전체 성과평가 항목-BSC와의 부조화, (2) 균형성과표(BSC)의 인과관계 설정의 문제점, (3) 성과지표의 계량화로 인한 한계, (4) 핵심성과지표(KPI)의 통제·관리 수단으로의 전락 가능성 등의 한계점을 지닐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각 조직에 맞는 성과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평가방법과 지표를 개발해야 하며, 둘째, BSC 내부 성과지표를 해당 조직의 특성에 맞게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야 한다. 셋째, 관리자는 성과평가의 목적은 환류에 있음을 기억하여 조직원들의 직무를 합리적으로 배정하고, 직무역량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BSC의 도입·운영을 위해서 전사적인 공감대 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성과관리 및 평가 제도가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토대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과평가 방법의 하나인 BSC에 대한 환상을 실제 사례를 통해 반증해 보이고 있다. 또한 방법론적으로는 실증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귀납적 추론을 통하여 BSC의 한계에 대해 실증분석을 했다는 시론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