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천 천전리유적의 “반구상경작유구” 재고

        심재연(Sim, Jaeyoaun)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춘천 천전리유적 조사 결과, “구상경작유구(溝狀耕作遺構)”, “반구상경작유구(半球狀耕作遺構)”, “소혈수혈군”으로 명명된 경작유구가 보고된 바 있다. 이번 글에서는 “반구상경작유구”의 진위(眞僞)에 대하여 재검토를 하였다. “반구상경작유구”와 유사한 현상이 초원지역 중에 인간의 간섭이 없는 하천변에서 확인되는 것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일본 열도에서 확인되는 「うね田」와 일제강점기에 관찰·보고된 평안북도 철산군 일원의 두둑재배법·휴립재배법(畦立栽培法)을 재검토한 결과, 춘천 천전리유적 “반구상경작유구”와는 평면 형태와 농법이 다른 것임을 확인하였다. 초원지역 하천변에서 확인되는 현상과 민족지 자료를 종합한 결과, 춘천 천전리유적에서 확인된 “반구상경작유구”는 경작 행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향후, 경작유구의 진위는 다양한 고고학적 조사 방법과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교차검증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o-called‘ hemispherical cultivation features’ that were identified at the site of Cheonjeon-ri in Chuncheon. Such‘ hemispheric cultivation features’ were confirmed to be similar in nature to the phenomena found distributed in grassland areas which are found nearby rivers in the absence of human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re-examination of the‘ うね田’ identified on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 duduk cultivation method and resting cultivation method of Cheolsan-gun, in Pyonganbuk-do Province (observation and reports of which had been mad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that the ‘hemispheric cultivation features’ of Cheonjeon-ri were different in terms of cross-section and planar form.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phenomena and ethnographic data identified in prairie river contexts, it was suggested that the‘ hemispheric cultivation features’ of Cheonjeon-ri could not be regarded as the remains of farming. It was also proposed that, in the future, the cross-validation of the authenticity of ‘cultivation features’ should take place by adopting variou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methods and natural scientific analysis.

      • KCI등재

        강원지역 청동유물의 출토 맥락 검토

        심재연(Sim, Jaeyoaun) 중부고고학회 2020 고고학 Vol.19 No.2

        강원지역 청동기시대 유적 조사 사례의 증가로 그 필요성이 대두되어 기존 발견매장문화재신고품, 기증품의 출토 맥락에 대한 재검토를 진행한 결과, 맥락적으로 출토지를 인정할 수 있는 사례와 없는 사례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발굴품 중 유물의 용도를 재해석하기도 하였다. 이에, 청동제 유물의 조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무비판적으로 인용되었던 발견매장문화재신고된 유물의 출토 맥락을 검토하는 작업의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강원지역 발견매장문화재신고품에 대한 재검토가 청동기시대 유물만이 아니라 모든 시대와 지역, 모든 유물이 해당한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Bronze Age sites discovered in the Gangwon region has illuminated the need to re-examine the contexts in which bronze artifacts reported by the public or donated to museums had originally been found. A re-examination has revealed cases in which the believed-to-be discovery contexts were in fact wrong. A re-examination of the function of bronze artifacts was also attempted. This attempt has demonstrated that a critical re-evaluation of the finds contexts of artifacts not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 is needed. In addition. it may be argued that such a re-evaluation is required for all artifacts reported by the public or donated to museums, regardless of type, period, or region.

      • KCI등재

        ‘원삼국시대’ 한강유역의 제문제

        심재연(Sim Jaeyoaun)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7

        이 글은 ‘원삼국시대’ 한강유역에서 보이는 토기와 철ㆍ철기의 생산에 대한 재검토이다. 토기는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낙랑계토기를 검토하였다. 경질무문토기의 출현은 외부 기원설과는 달리 청동기시대 환동해선사문화권역 안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 속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았다. 타날문토기의 출현은 원주 반곡동유적 출토품 통하여 낙랑군 설치 이전인 전국계에 토기가 국지적으로 출현 또는 반입되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낙랑군 설치 이후 한강유역에 출현하는 낙랑계 토기의 제작 집단은 유이민일 가능성을 재확인하였다. 경질무문토기 제작 전통은 신라가 한강유역에 진출한 다음에도 북한강유역에서는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철기는 한강유역에 분포하는 마을에서 철을 생산하는 제련유구가 확인되지 않는 상황에서 철기의 형식학적 분류를 통하여 외부로 부터의 반입을 이야기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적어도 철 생산 유적의 확인과 철기의 금속공학적 분석이 병행되어야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철기 생산 유적은 한강 상류지역에서 주로 확인되고 완제품과 철소재를 생산하던 거점 마을은 가평 대성리유적, 춘천 우두동유적, 연천 삼곶리유적으로 보았다. 그리고 거점 마을에서 유통된 완제품과 철소재는 하위마을에서 간단한 철기를 제작하거나 수리를 한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단야구나 소구경송풍관만 동반되는 주거는 단야 장인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보았다.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원삼국시대’ 철 생산은 변진한(弁辰韓)지역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지만 평택 가곡리유적이 확인되어 지금의 경기 남서부지역일 가능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한편, 이조돌대철부의 형식 분류는 인부의 가공으로 인한 변별의 어려움과 중앙의 엄격한 통제 속에서 철부가 생산되었음을 증명하지 않는 한 동아시아 지역의 철부를 일관되게 분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has reviewed the production of potteries and iron ware in the Han River basin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hen it comes to reviewing potteries, the study has covered hard-plain pottery, Tanalmun (paddled/beaten pattern) pottery and lelang style pottery. The advent of hard-plain pottery is considered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interactions within the Korean East Sea Prehistoric Cultural District of the Bronze Age, unlike the external theories of origin. The appearance of Tanalmun(paddled/beaten pattern) potteries is considered to have been locally discovered or brought in before the installation of Lelang Commandery based on the fact that they were excavated at Bangok-dong remains in Wonju-si. The discovery of Lelang potteries in the Han River basin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Lelang Commandery reaf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y were made by wandering people. In addition, the tradition of making hard-plain potteries has confirmed that they existed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even until Silla expanded its presence to the Han River basin. The investigation has been made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iron ware brought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orm-based classification under the circumstance where blacksmithing tools designed to produce iron are not found in the villages scattered around the Han River basin. To say the least, discovery of iron production remains combined with metal engineering analysis will be required to be able to obtain meaningful results. Iron ware production remains have been discovered mainly in the upper region of the Han River and key villages that produced ironware and complete products include Gapyeong Daeseongri Historic Site, Chuncheon Udu-dong Historic Site, and Yeoncheon Samgot-ri Historic Site. The complete products and iron materials distributed in those key villages indicate that simple ironware were manufactured or repaired in subsidiary villages. In addition, the dwelling houses accompanied by blacksmithing tools and small caliber tuyeres only are considered to have been occupied by blacksmiths. Byeonhan(弁韓) and Jinhan(辰韓) have been customarily seen as the iron production area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but the discovery of Pyeongtaek Jinwi Remains led to a possibility that the southwestern region of Gyeonggi might be one of those iron production sites. Meanwhile, the form-based classification of the Cast Iron Ax with Double Protruding Bands may not be able to set classification of iron axes in the East Asian region in a consistent manner unless the difficulty of discrimination caused by the manual processing by workers and the production of iron axes under the rigorous central control are proven.

      • KCI등재

        우수주 설치 후, 춘천지역의 경관 변화 연구

        심재연 ( Sim Jaeyoaun ),차순철 ( Cha Soonchul ) 중부고고학회 2024 고고학 Vol.23 No.1

        신라 진흥왕대에 신라의 영역 안에 편입된 춘천지역은 중앙정부의 행정 제도의 변화에 따라 우수주, 수약주, 삭주, 광해주, 춘주로 변화하였지만, 지방행정 중심 지역의 기능을 지속해서 유지하였다. 즉, 춘천지역은 8세기 이후 당시 주치가 설치되면서 신라왕경과 대비되는 지방도시가 만들어졌으며, 이후 고려시대까지 방리가 유지되면서 관청, 사찰 그리고 생활유적과 생산유적이 위치하며, 외곽지역에는 경작지와 분묘가 확인된다. 이러한 모습은 신라왕경의 공간배치와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점에서 당시 지방도시의 경관을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춘천의 방리 공간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조사된 자료들에 대한 종합적인 집성과 검토, 비교가 필요하며, 도시 외곽에 대한 조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The Chuncheon region, which was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of S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of Silla, changed its nam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centr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system, but continued to function as a local administrative center. In other words, in the Chuncheon area, a local city was created in contrast to the royal capital of Silla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ncial capital at the time after the 8th century. Afterwards, as the banri was maintained until the Goryeo Dynasty, government offices, temples, and relics of living and production were located, and farmland and production sites were located in the outskirts. The grave is confirmed. Since this appearance shows the same spatial arrangement as the Royal Capitals in Silla,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landscape of the local city at the time. In order to restore the Bang-ri system of Chuncheon at the time, a comprehensive compilation, review, and comparison of the materials surveyed to date are necessary, and the survey needs to be expanded to the outskirts of the city.

      • KCI등재

        북한강 중상류지역 청동기·철기시대 유적의 연륜연대분석

        박원규(Park Won-Kyu),김요정(Kim Yojung),심재연(Sim Jaeyoaun)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7 No.-

        북한강 중상류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철기시대 주거지의 연대 편년에 있어 특정시기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탄화목을 중심으로 연륜연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가설하에 연륜연대를 비교하여 보았다. 비교 유적으로는 춘천 신매리 54-4번지 유적, 화천 용암리 유적, 춘천 우두동 유적, 철원 와수리 유적의 시료들에서 작성된 개체연대기들에 대한 상호간 비료를 실시한 결과 유적 내 시료 간에만 일치하고 유적 간의 일치는 보여주지 않았다. 춘천 신매리 유적은 3·8호 주거지의 연륜패턴이 일치하였으며 시대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화천 용암리 유적은 19·73·84·115호 주거지의 연륜패턴이 같게 나타나고 있다. 즉 동 시대임을 나타내고 있어 보고자의 견해와는 다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철원 와수리 유적은 26호 주거지내의 시료끼리만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유적 내의 주거지 사이에는 유의성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유적 간 상대연대를 알아내는 것에는 실패하였다. 시료에 존재하는 연륜의 수가 적어 연대기를 비교할 만한 기간이 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요인이었다. 또한 연륜연대분석의 중요한 부분은 변재를 포함하는 수피부로서, 벌채연도를 알아내어 그 유적의 형성연대를 알아내는 것인데 수피부는 대부분 소실되고 수부분이 주로 남아있어 충족된 조건이 아니었다. 경험이 많지 않은 탄화목의 연륜연대분석을 통해 탄화목이 수종분석은 물론 연륜연대분석의 대상으로 가치가 높음을 보여준 조사였다. 유적지에서 출토된 숯의 상대연대분석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앞으로 우리나라 연륜 연대의 지평을 여는데 기여를 할 것이다. Radiocarbon dates of the Bronze and Iron Age sites in the upper and middle streams of the Bukhan-river are concentrated in specific periods.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o test these radiocarbon dates using dendrochronology or tree-ring dating of the carbonized wood samples excavated from these sites. Samples of Sinmaeri 54-4 relic (Chuncheon), Yong'amri relic (Hwacheon), Udoodong relic (Chuncheon) and Wasuri relic (Chulwon) in Kangwon province in the east-central Korea were taken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We could not obtain absolute dates from tree rings due to lack of master chronologies in the regions. Therefore, we tried to secure relative dates among sites by comparing the growth patterns. There were no matching found in tree-ring patterns among relics. However, cross-matching patterns were found within some relics. Patterns of the samples from two habitation sites (no.3 and no.8) in Sinmaeri relic were exactly matched. It was the same as the results of C14 dating had indicated. The cutting dates, ie. the years when the timbers were felled, could not be exactly estimated since the carbonized samples from this site lacked the bark. Therefore, it was impossible to know whether two sites, no.3 and no.8 in Sinmaeri possessed the same cutting years or not. Other sites shared the similar limitations.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relative dates of the coutmost rings of samples provide no proof to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site. Samples from four habitation sites (no.19, no.73, no.84, no.115) in Yong'amri showed the same growth patterns, indicating the contemporaneousness of these sites. The results disagree with the opinion of the excavators, who believe that these sites in Yong'amri belong to different time spans because of the different styles of the artifacts excavated. In the Wasuri relic, the samples showed same tree-ring patterns only within one habitation site (no.26). This study suggests high potentials of tree-ring dating for the charcoals or carbonized woods, the most common wood materials found in prehistoric sites, by providing relative dates among and within sites. Tree-ring data obtained in prehistoric sites can be used to build long absolute-chronolog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