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신념과 교육목표 비교연구

        심숙영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4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 198명과 재직중인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와 교사의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육목표에 대해 비교ㆍ분석하였다. 또한 교육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유아교육 신념과 교육목표, 교육배경(학력, 전공, 교수경험)에 따른 교사의 유아교육 신념과 교육목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머니들은 기본학습위주의 교육을 선호하는 반면에, 교사들은 아동중심 교육을 더 지향하고 있었다. 유아교육의 교육목표에서도 어머니들은 기본학습 기술이 아동들에게 우선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에, 교사들은 아동들이 사회성 기술을 먼저 익혀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라 그리고 교사의 교육배경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높은 어머니일수록 그리고 전공을 유아교육이나 아동학을 하고 학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아동중심 교육을 더 지향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교사의 이러한 견해 차이를 유아교육 현장에서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중심 교수방법과 기본 학습중심 교수방법에 대한 유아 교사의 신념

        심숙영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6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 115명과 어린이집 교사 95명, 총 210명의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피아제(아동중심 접근방법)와 학습이론(기본학습중심 접근방법)에 근거한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방법과 견해에 대한 교사들의 신념을 조사하였다. 교수방법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을 조사하기 위해서 Stipek(1992)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동중심과 기본학습중심 접근방법 관련 변인들 중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정책, 교사의 신념과 교육목적, 프로그램의 형태, 교사의 배경 등이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자신들의 신념대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없다고 보고한 교사일수록 자신들의 프로그램이 기본학습중심 접근방법에 치중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 KCI등재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정서행동에 미치는 효과

        심숙영,오정윤 한국아동권리학회 2015 아동과 권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improving two-year-o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emotional behavior.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Mayer and Salovey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and integrated to the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58 two-year-olds(28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subjects in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a high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post-test. Also,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ir social-emotional competence whereas a decrease in problematic behavior was observed rather than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 that an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provides an appropriat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needed to improv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pport their social- emotional competence. 본 연구에서는 만 2세 영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어린이집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사회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Mayer와 Salovey의 정서지능 모형에 기초로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에 통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만 2세 영유아 58명이 연구대상(실험집단 28명, 비교집단 30명)으로 참여하였다.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영유아가 비교집단의 영유아보다 정서지능 전체 점수와 정서조절, 정서의 이용, 타인의 정서 인식 및 배려,또래와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은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 영유아의 사회정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영유아가 사회정서적 유능성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인 반면 문제행동에서는 감소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정서행동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영유아 사회정서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2 아동과 권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Infants and Toddlers Social-Emotional Behavior Assessment (ITSEBA).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sample and survey sample from children between 12 and 36 months were presented. Conten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high-order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supported the hypothesized social-emotional competence (social relations, social-emotionality) and problem behaviors (internalizing behaviors, externalizing behaviors, and dysregulation) as well as 11 individual scales consisting of 59 items that comprise the ITSEBA). Subgroup analyses were performed to find the expected mean level differences across both child sex and 12-month age bands.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생후 12~36개월 영유아의 사회정서행동 측정척도(교사용)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먼저 관련 문헌과 국내외에서 개발된 영유아 사회정서행동 측정도구들의 분석하여 12개요인, 75문항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영유아 사회정서행동 요인들을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0명의 영유아들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271명의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 탐색적요인분석, 위계요인분석 실시를 통해 11개요인 59문항이 추출되었으며,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본 척도의 11개요인은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문제행동으로 나누어졌고, 다시 사회정서적 유능성은 2개의 하위요인, 사회적관계(친사회적행동, 사회적행동)와 사회정서성(주의집중, 자아인식, 정서조절)으로, 문제행동은 3개의 하위요인, 내면적 문제행동(격리불안, 우울위축), 외현적 문제행동(반항성, 또래공격성), 식사수면문제행동(수면문제, 식사문제)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 KCI등재

        부부간의 양육태도 차이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놀이행동 분석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4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ir spouses' parenting style, second, correspondence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and finally, the effect of the differences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on children's social confidence and play behaviors. One hundred seventy six parents of 88 preschool children independently completed the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 and teachers evalu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lay behaviors during free play. Results showed that fathers perceived their spouses to be more authoritative, whereas mothers only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authoritative than fathers. Second, results revealed only modest similarity in parenting styles used by two parents in the same home.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lay behaviors. The higher the differences, the more the negative influences were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lay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의 양육태도에 대한 부부간 인식, 부부간의 양육태도 일치도, 그리고 부부간의 양육태도 차이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또래 놀이행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만 4, 5세 아동과 어머니, 아버지 각각 88명의 세 쌍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부간의 양육태도는 설문지로,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놀이행동은 교사의 평가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남편은 본인보다 아내가 더 권위있는 태도를 보이며, 아내는 배우자 남편보다 본인이 더 권위있는 태도를 보인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부부간의 양육태도 일치도에서는 아버지 스스로 권위있는 양육태도, 권위적 양육태도, 허용적 양육태도를 보인다고 인식할수록 어머니도 배우자(아버지)에 대해 유사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부간의 양육태도 차이에 따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놀이행동에서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부부간의 차이도가 높을수록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양부모의 양육스타일을 이해하고, 부부간에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그리고 부부간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역량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유아의 낮은 자기역량지각과 또래 유능성, 놀이행동, 부정적인 사회적 행동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0 아동과 권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아역량지각을 두 집단, 낮은 자기역량집단과 일반적인 자기역량지각 집단으로 나누어 또래유능성(또래사교성, 또래친사회성, 또래주도성), 또래놀이행동(사회적놀이, 비사회적놀이, 거친놀이, 단독수동놀이, 단독적극놀이), 부정적 사회적행동(공격성, 우울위축, 주위산만)을 포괄적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5곳의 만 5세반에 다니는 원아 123명(남아 60명, 여아 60명)이 참여하였다. 각 척도는 자기역량지각, 또래유능성, 또래 놀이행동, 비사회적 행동 등의 교사평정척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기역량지각과 또래 유능성, 놀이행동, 부정적 사회적 행동과의 관련성을 상관관계로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기역량지각은 또래 유능성(또래사교성, 또래주도성), 놀이행동(비놀이, 단독수동놀이, 사회적 놀이, 거친놀이), 부정적 사회적 행동(우울위축)과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자기역량지각 집단에 따른 유아의 또래 유능성, 놀이행동, 부정적 사회적 행동을 MANOVA로 분석한 결과, 자기역량지각이 낮은 유아들은 자기역량지각이 일반적인 유아들 보다 또래사교성, 또래주도성, 사회적 놀이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 반면 비놀이, 단독수동놀이, 단독적극놀이, 우울위축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자기역량지각과 관련하여 또래관계나 부정적인 사회행동을 아동중기나 청소년기의 자기역량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의 결과 들을 지원하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어린 연령의 유아, 만 5세 유아들에게서도 낮은 자기역량지각은 또래관계, 놀이행동, 부정적인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It is developmentally normative for preschoolers (aged five years) to have self- perceptions that are typically positive and even over-inflated. However, because not all children have positive self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especially low self-perceptions and teacher ratings of peer competence, play behaviors, negative social behaviors. Participants included in 123 children (60 males, 63 females) attending early childhood programs in Seoul and Kyungi.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children in early childhood who have lower self-perceptions of their abilities than their peers tended to engage in more reticence, solitary-passive play, solitary-active play, and social withdrawal behaviors.

      • KCI등재

        아동놀이와 뉴미디어 게임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09 아동과 권리 Vol.13 No.1

        Children's play has changed in recent years and this is often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electronic and digital media. The changes in society do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children's lives and they affect children's play in fundamental areas, which are also of significance to their use of media.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onnections between the changes in children's play and the use of new media game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games in terms of children's play and based on the play theories. Second, it figured out the trend and demographics of new media games. Third, the features of new media games were explained why children are play in terms of their graphics and realism, their levels or graded challenges, the ways of encouraging interaction. Taken together, these features would explain a good deal about why children found new media games so appealing. Fourth, new media games are progressively being developed and marketed with younger children, so this paper explained new media games for children in different stages in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view, we needed to understand its effects on 정보통신기술이 빠르게 발달함에 따라서 현대사회의 아동의 놀이도 바뀌고 있다. 놀이터나 길거리에서 다양한 연령대가 함께 놀던 놀이는 사라지고 아동들은 언제 어디서나 혼자서 놀 수 있는 놀잇감 위주로 놀며, 바로 그 놀잇감이 뉴미디어 게임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가장 많이 즐겨하는 뉴미디어 게임을 아동놀이 관점에서 특성을 알아보았고, 아동놀이 이론에 근거하여 뉴미디어 게임을 살펴보았으며, 아동놀이에서의 뉴미디어 게임 동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아동들이 뉴미디어 게임에 몰입하게 되는 뉴미디어 게임 특성을 그래픽과 현실감, 도전수준 및 단계, 상호작용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아동발달단계를 영유아기, 취학전기, 학령기, 청소년기 등으로 나누어, 그에 따른 아동발달특성과 뉴미디어 게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 사회의 아동놀이로서의 뉴미디어 게임에 대해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수적극성과유아의 부적응 행동의 관계분석

        심숙영,안라영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1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music teaching efficacy, music teaching intention, and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and analyzed the variables that effect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For the present study, there was a sample of 194 teachers and 388 children they worked with at early childhood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 that music teaching efficacy is associated with music teaching intention, which then exerts influence on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Furthermore, teachers' music teaching intention media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Our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s i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music teaching intention may lead to decreases in children's maladjusted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수적극성과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이러한 변인들이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94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388명(남아 194명, 여아 194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수적극성과 유아의 내재적·외현적 부적응 행동 간에는 구조적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높고 음악교수적극성이 높을수록, 이는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이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에 대한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의 영향력이 음악교수적극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음악교수역량으로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 바,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예방하거나 낮추기 위해서는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교수적극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만5세 아동의 로봇에 대한 물활론적 사고와 지각적 인식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0 아동과 권리 Vol.14 No.4

        Children's animism and perception of robot are an important unexplored area with robotics research considering that many robots 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children. To examine children's animism and perception on robots, 71 children evaluated different robot images by interviewing and completing a questionnaire, which enquired about feeling and thought of robot, and perception of robot appearances and motion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preferred robot appearance and locomotion, such as the robot of animated animals or cars and robot having wheels. Second, children believed robot alive and expected different roles (e.g., dinosaur robot, smile robot, princess robot, friend robot).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design implications for robots and the use of robots in education contexts.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로봇에 대한 아동의 기본적인 생각과 물활론적인 사고를 분석하였으며, 지각적인 측면에서 로봇 외형(사람 대 애니메이트)에 대한 선호도, 로봇의 움직임 등에 대한 아동의 지각적 인식을 분석하였다. 로봇에 대한 아동의 물활론적인 사고와 지각적인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만 5세 아동 71명에게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인 측면에서 아동들은 로봇에 대해 다양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다양한 역할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공룡로봇, 미소로봇, 공주로봇, 친구로봇), 모든 아동들은 로봇이 살아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물활론적 사고를 보였다. 지각적인 측면에서 아동들은 동물로봇이나 자동차 모양을 로봇을 선호하였으며, 굴러가는 바퀴모양의 로봇 움직임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로봇에 대한 아동의 지각적, 심리적 인식이 성인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로봇개발자나 연구자들은 로봇의 외현상(얼굴표정, 얼굴표현, 음성), 기능상의 특정한 특징뿐만 아니라 아동의 지각적, 심리적 발달특성에 맞추어서 로봇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일반 동화와 인터넷 동화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의 인식 비교

        심숙영,차은경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05 兒童硏究 Vol.18 No.1

        A purpose of this study is going to watch a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parents have on a language, a society, emotion, a creative thinking development according to children's story delivery media. The study object is parents of parents of the infant who uses mainly a general children's story and the infant who use mainly Internet children's story. And be going to look into difference of recognition about as influence to reach to a development of an infant according to an intervention degree of parents. This study results, as for the parents who use mainly a general children's story, 'speaking' and 'analogy anger' have the recognition that affected a development. And the parents who were utilized mainly listened to Internet children's story 'social phenomenon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 and 'originality' have the recognition that affected a development. Also, generally dirt to select Internet children's story aggressive intervention of parents has the recognition that played an influence in a development of an inf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