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신념과 교육목표 비교연구

        심숙영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4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 198명과 재직중인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와 교사의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육목표에 대해 비교ㆍ분석하였다. 또한 교육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유아교육 신념과 교육목표, 교육배경(학력, 전공, 교수경험)에 따른 교사의 유아교육 신념과 교육목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머니들은 기본학습위주의 교육을 선호하는 반면에, 교사들은 아동중심 교육을 더 지향하고 있었다. 유아교육의 교육목표에서도 어머니들은 기본학습 기술이 아동들에게 우선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에, 교사들은 아동들이 사회성 기술을 먼저 익혀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라 그리고 교사의 교육배경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높은 어머니일수록 그리고 전공을 유아교육이나 아동학을 하고 학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아동중심 교육을 더 지향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교사의 이러한 견해 차이를 유아교육 현장에서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수적극성과유아의 부적응 행동의 관계분석

        심숙영,안라영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1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music teaching efficacy, music teaching intention, and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and analyzed the variables that effect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For the present study, there was a sample of 194 teachers and 388 children they worked with at early childhood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 that music teaching efficacy is associated with music teaching intention, which then exerts influence on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Furthermore, teachers' music teaching intention media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Our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s i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music teaching intention may lead to decreases in children's maladjusted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수적극성과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이러한 변인들이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94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388명(남아 194명, 여아 194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수적극성과 유아의 내재적·외현적 부적응 행동 간에는 구조적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높고 음악교수적극성이 높을수록, 이는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이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에 대한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의 영향력이 음악교수적극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음악교수역량으로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 바,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예방하거나 낮추기 위해서는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교수적극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유아 사회정서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2 아동과 권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Infants and Toddlers Social-Emotional Behavior Assessment (ITSEBA).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sample and survey sample from children between 12 and 36 months were presented. Conten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high-order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supported the hypothesized social-emotional competence (social relations, social-emotionality) and problem behaviors (internalizing behaviors, externalizing behaviors, and dysregulation) as well as 11 individual scales consisting of 59 items that comprise the ITSEBA). Subgroup analyses were performed to find the expected mean level differences across both child sex and 12-month age bands.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생후 12~36개월 영유아의 사회정서행동 측정척도(교사용)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먼저 관련 문헌과 국내외에서 개발된 영유아 사회정서행동 측정도구들의 분석하여 12개요인, 75문항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영유아 사회정서행동 요인들을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0명의 영유아들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271명의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 탐색적요인분석, 위계요인분석 실시를 통해 11개요인 59문항이 추출되었으며,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본 척도의 11개요인은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문제행동으로 나누어졌고, 다시 사회정서적 유능성은 2개의 하위요인, 사회적관계(친사회적행동, 사회적행동)와 사회정서성(주의집중, 자아인식, 정서조절)으로, 문제행동은 3개의 하위요인, 내면적 문제행동(격리불안, 우울위축), 외현적 문제행동(반항성, 또래공격성), 식사수면문제행동(수면문제, 식사문제)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 KCI등재

        아동의 조망수용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인쇄그림 평가척도와 멀티미디어 평가척도 비교

        심숙영,유평준 한국아동권리학회 2008 아동과 권리 Vol.12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nd prosocial behaviors of the understanding and inferences about other's thought, emotions and intention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m between a picture measurement and a multimedia measurement. Children were assessed a social intelligence to evaluate their equivalent social competences and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It was compared of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nd prosocial behaviors between the picture measurement and multimedia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better understand the other's emotional state or condition(perspective-taking abilities) when assessing with the multimedia measurement. Also,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show interpersonal relation, and adaptation in kindergarten(prosocial behaviors), presenting the multimedia measur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w media technology can be vairous possibilites of appli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s well as challenging and demanding evidences of Piaget theorie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사람의 생각, 감정, 의도, 관점에 대해 추론하고 이해하는 아동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이 인쇄그림 평가척도와 멀티미디어 평가척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에게 사회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인쇄그림 평가척도를 실시하였고 멀티미디어 평가척도는 실험집단에 실시하여 척도 유형에 따라 조망수용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망수용 능력에서 멀티미디어 척도로 상황을 제시했을때 아동들은 자기중심성에서 탈피하여 제 삼자의 입장을 보다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에서도 멀티미디어 척도로 제시했을때 아동들은 대인관계 형성능력, 유치원 적응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아동교육현장에서의 미디어테크놀로지 적용 가능성을 확장시켜줄 뿐만 아니라 피아제 이론의 근본적 주장에 도전하는 증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KCI등재

        저소득층 어머니 양육행동을 통한 어머니 특성변인, 유아 특성변인과 유아의 사회정서행동간의 관련성 분석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2 아동과 권리 Vol.16 No.1

        The relation between mother parenting and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has been established with influenced mother characteristics and child characteristics. This study A model in this study is presented regarding association and path between mother parenti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nd mother and child characteristics in low-income famil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ftrustatistical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communicationmplequencies of child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mothers' e between level were morts skely to directly influence on mother parenting; the relationship was in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mediated by mother parenting. However, children's age and gender were more likely to negatively and directly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Thu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supported by the partially mediated model. Implications for future parenting research related to low-income familie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어머니와 유아를 대상으로 어머니 특성변인, 유아 특성변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고, 나아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어머니와 유아 특성변인과 유아의 사회정서행동에 매개하는지, 매개한다면 어떠한 경로로 통해 이루어지는 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저소득층 가정의 만 4-5세 유아와 어머니 287쌍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에 대한 의논빈도수가 많을수록,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이는 다시 유아의 사회정서행동인 부정적인 또래놀이행동, 부정적인 학습행동, 문제행동이 적제 나타나는 것으로 이어졌다. 또한 유아의 연령이 어릴수록, 남아일수록 유아의 사회정서행동인 문제행동, 부정적 학습행동, 부정적 또래놀이행동이 더 자주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어머니 특성변인, 유아 특성변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관련성은 유아의 사회정서행동으로 이어져서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지원해준다면, 어머니의 양육행동으로 인한 부정적인 사회정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동중심 교수방법과 기본 학습중심 교수방법에 대한 유아 교사의 신념

        심숙영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6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 115명과 어린이집 교사 95명, 총 210명의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피아제(아동중심 접근방법)와 학습이론(기본학습중심 접근방법)에 근거한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방법과 견해에 대한 교사들의 신념을 조사하였다. 교수방법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을 조사하기 위해서 Stipek(1992)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동중심과 기본학습중심 접근방법 관련 변인들 중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정책, 교사의 신념과 교육목적, 프로그램의 형태, 교사의 배경 등이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자신들의 신념대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없다고 보고한 교사일수록 자신들의 프로그램이 기본학습중심 접근방법에 치중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 KCI등재

        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숙영,문시연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고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및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6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59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이 높았으며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은 직접적으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영향을 주고 그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계발시키기 위해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과 더불어 예술 활동 시 유아의 창의적인 표현을 격려하고 예술과정에 동기를 부여하는 등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부부간의 양육태도 차이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놀이행동 분석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4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ir spouses' parenting style, second, correspondence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and finally, the effect of the differences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on children's social confidence and play behaviors. One hundred seventy six parents of 88 preschool children independently completed the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 and teachers evalu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lay behaviors during free play. Results showed that fathers perceived their spouses to be more authoritative, whereas mothers only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authoritative than fathers. Second, results revealed only modest similarity in parenting styles used by two parents in the same home.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lay behaviors. The higher the differences, the more the negative influences were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lay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의 양육태도에 대한 부부간 인식, 부부간의 양육태도 일치도, 그리고 부부간의 양육태도 차이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또래 놀이행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만 4, 5세 아동과 어머니, 아버지 각각 88명의 세 쌍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부간의 양육태도는 설문지로,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놀이행동은 교사의 평가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남편은 본인보다 아내가 더 권위있는 태도를 보이며, 아내는 배우자 남편보다 본인이 더 권위있는 태도를 보인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부부간의 양육태도 일치도에서는 아버지 스스로 권위있는 양육태도, 권위적 양육태도, 허용적 양육태도를 보인다고 인식할수록 어머니도 배우자(아버지)에 대해 유사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부간의 양육태도 차이에 따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놀이행동에서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부부간의 차이도가 높을수록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양부모의 양육스타일을 이해하고, 부부간에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그리고 부부간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역량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유아의 낮은 자기역량지각과 또래 유능성, 놀이행동, 부정적인 사회적 행동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0 아동과 권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아역량지각을 두 집단, 낮은 자기역량집단과 일반적인 자기역량지각 집단으로 나누어 또래유능성(또래사교성, 또래친사회성, 또래주도성), 또래놀이행동(사회적놀이, 비사회적놀이, 거친놀이, 단독수동놀이, 단독적극놀이), 부정적 사회적행동(공격성, 우울위축, 주위산만)을 포괄적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5곳의 만 5세반에 다니는 원아 123명(남아 60명, 여아 60명)이 참여하였다. 각 척도는 자기역량지각, 또래유능성, 또래 놀이행동, 비사회적 행동 등의 교사평정척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기역량지각과 또래 유능성, 놀이행동, 부정적 사회적 행동과의 관련성을 상관관계로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기역량지각은 또래 유능성(또래사교성, 또래주도성), 놀이행동(비놀이, 단독수동놀이, 사회적 놀이, 거친놀이), 부정적 사회적 행동(우울위축)과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자기역량지각 집단에 따른 유아의 또래 유능성, 놀이행동, 부정적 사회적 행동을 MANOVA로 분석한 결과, 자기역량지각이 낮은 유아들은 자기역량지각이 일반적인 유아들 보다 또래사교성, 또래주도성, 사회적 놀이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 반면 비놀이, 단독수동놀이, 단독적극놀이, 우울위축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자기역량지각과 관련하여 또래관계나 부정적인 사회행동을 아동중기나 청소년기의 자기역량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의 결과 들을 지원하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어린 연령의 유아, 만 5세 유아들에게서도 낮은 자기역량지각은 또래관계, 놀이행동, 부정적인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It is developmentally normative for preschoolers (aged five years) to have self- perceptions that are typically positive and even over-inflated. However, because not all children have positive self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especially low self-perceptions and teacher ratings of peer competence, play behaviors, negative social behaviors. Participants included in 123 children (60 males, 63 females) attending early childhood programs in Seoul and Kyungi.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children in early childhood who have lower self-perceptions of their abilities than their peers tended to engage in more reticence, solitary-passive play, solitary-active play, and social withdrawal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