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판 상담조력기술척도의 타당화 연구

        신희천 ( Hee Cheon Shin ),한소영 ( So Young Ha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2 人間理解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Hill의 3단계 상담 모형에 따라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자의 조력기술(탐색기술, 통찰기술, 실행기술)을 측정하는 상담조력기술척도(Helping Skills Measure; HSM)를 한국 상담장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국내 타당화 하였다. 이를 위해 3회 이상 상담을 받은 내담자들과 이들을 상담하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해 구인 및 공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번안된 원척도 문항 중 문제를 보인 3문항이 삭제되었으며 두 차례에 걸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 연구(Hill & Kellems, 2002)에서 나타난 척도의 3요인이 확인되었다. 또한 관련 척도와의 상관분석에서 내담자 제공 자료뿐만 아니라상담자 제공 자료와도 적절한 상관을 보였으며, 두 가지 조력기술 하위척도 모두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치료적 관계를 통제하고 두 가지 조력기술이 상담성과에 유의한 예측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 연구의 이론적·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 방향을 논하였다. This study valida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Helping Skills Measure(HSM) which assesses the client`s perception of the counselors` three helping skills(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skills) based on three-stage helping skills model. Participants were clients who had more than 3 counseling sessions. Item analyses indicated three items were inadequate, thus, they were excluded from the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ith two independent samples yielded a 3-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and the subscales showed high reliability. The result from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ree helping skills predicted counseling outcome significantly after controll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한국판 단축형 자비적 사랑 척도의 타당화

        신희천 ( Hee Cheon Shin ),최태한 ( Tae Han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3 人間理解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Sprecher와 Fehr(2005)가 개발한 자비적 사랑 척도(Compassionate Love Scale)를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척도의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쳐 대학생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총 19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척도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원척도의 21문항에서 11문항으로 한국판 단축형 자비적 사랑 척도(CLS-K11)가 개발되었다. 교차타당화를 위한 연구 2에서는 총 19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나타난 단일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변별, 수렴 및 증분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11문항의 단축형(CLSK11)과 Hwang, Plante와 Lackey(2008)이 개발한 5문항을 번역한 한국판 단축형(CLS-K5) 그리고 21문항 원척도 모두에 대한 타당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원척도에서 나타난 단일 요인구조가 재확인되었으며, 관련 척도와의 상관분석에서도 높은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논의에서 연구의 이론적 및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Sprecher & Fehr`s Compassionate Love Scale.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and to examine correlates of compassionate love. Study 1 was accomplished by administering the original 21-item scale to university student participants (n=196) and subsequently selecting 11-items to comprise the Korean Brief Version of the Compassionate Love Scale. Validity of the Korean Brief Version of the Compassionate Love Scale (CLS-K11) was also supported. In study 2 (n=199), a one-factor structure was supported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discriminant, convergent & incremental validities of the CLSK11 scores were examined against the 5-item Santa Clara Brief Compassionate Scale developed by Hwang, Plante, & Lackey (2008) and the original 21-item Compassionate Love Scale. Clin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남성의 성역할 갈등이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과 자기공개기대의 매개효과

        정경미 ( Kyung Mi Jung ),신희천 ( Hee Cheon Shi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4 人間理解 Vol.35 No.2

        본 연구는 남성의 성역할 갈등과 상담에 대한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에서 수치심, 자기공개 기대(위험성,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233명의 남성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전체 대상 중 200명이 남자 대학생으로 표집 되었다. 자료 분석은 성역할 갈등, 수치심, 자기공개기대(위험성, 유용성), 도움추구 태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역할 갈등은 수치심, 자기공개기대 위험성과는 정적인 관계를, 상담에 대한 도움추구태도, 자기공개기대 유용성과는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 갈등과 상담에 대한 도움 추구 태도의 관계에서 수치심 그리고 자기공개 기대 위험성, 자기공개기대 유용성은 각각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수치심, 자기공개 기대 유용성과 위험성은 성역할 갈등과 상담에 대한 도움 추구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대학상담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hame and self-disclosure expectation (risk, ut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s gender role conflict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A total of 233 male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Correlation coe?cients were examined data collected related to gender role con?ict, shame, self-disclosure expectation (risk, utility) and professional help seeking attitudes.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role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eeking behavior, shame and anticipated risks; however, gender role con?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anticipated utilities. Result also indicated that shame and self-disclosure expect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ict and help seeking attitudes.

      • KCI등재

        미혼커플의 자기자비가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을 적용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방초아 ( Choa Bang ),신희천 ( Hee Cheon Shi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6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7 No.-

        본 연구는 자기자비가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Kenny, 1996)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총 115쌍의 20-30대 커플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수준이 적응적 갈등해결전략 및 관계만족과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의 자기자비는 남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여성의 자기자비는 남녀 모두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남녀 모두의 관계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여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여성 자신의 관계만족에만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남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남녀 모두의 자기자비와 남녀 모두의 관계만족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자신의 자기자비와 관계만족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ssibl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us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Kenny, 1996). For the purpos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mpassion levels, relationship satisfactions and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115 couples. Results are as followed. While the male self-compass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men``s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female self-compass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both men and women``s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n both men and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the fe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positive effects only on 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Finally, the 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ully mediated both men and women``s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 other hand, the fe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the full mediation between women``s self-compassion and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의 매개효과

        김주영(Ju-Young Kim),신희천(Hee-Cheon Shin),김은하(Eun-H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과정을 자기은폐가 매개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자기은폐, 이상섭식행동을 측정하였다. 먼저,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는 자기은폐와 이상섭식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 은폐 또한 이상섭식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구조방적식 모형을 검증하여 자기은폐가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자기비판적 완벽주의는 직접적으로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높은 자기 은폐를 매개로 이상섭식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부여함과 동시에 스스로에게 비판적이고 타인의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는 특성을 가진 사람, 즉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자는 부정적인 사적인 정보를 숨기는 경향, 즉 자기은폐를 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이상섭식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al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al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oward this aim, 348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measures of self-critical perfectionism, self-concealment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critical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cealment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addition, self-conceal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 Structural equations analys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al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elf-concealment, meaning that self-critical perfectionism increase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rough high levels of self-concealment.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dividuals who place high standards on themselves, and featur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rom others, are at greater risk for disordered eating behavior. Based on this finding, w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 KCI등재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고두호(Doo-Ho Ko),김은하(Eun-Ha Kim),신희천(Hee-Cheon Shi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장애수용이 장애인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 4곳, 장애인단체 3곳, 장애인복지관 1곳, 장애인시설 6곳에서 총 46명의 성인장애인(정신지체 제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낙관성, 장애수용,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수용이 낙관성과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장애수용의 하위요인(직접적 영향, 상대적 영향, 장애극복)을 분석한 결과는 직접적 영향이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반면에 상대적 영향과 장애극복은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낙관성과 장애수용에 대한 개입을 통해 장애인의 심리적 안녕감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 - being of disabled.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46 disabled adults (excluding mental retardation) 4 universities, 3 disabled groups, 1 disabled welfare center, and 6 disabled facilities. As a result, first, optimism, disability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 - be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disability acceptance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 - being.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ability acceptance sub - factors (direct influence, relative influence, overcoming disability), direct influence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 - being, whereas relative influence and overcoming disability were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 - being.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 of the disabled can be improv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optimism and disability acceptance.

      • KCI등재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여가생활 변화 인식과 삶의 만족감에 대한 연구

        이주연(Jou Yeon Yi),김혜숙(Hai Sook Kim),신희천(Hee Cheon Shin),최진아(Jin Ah Choi)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1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erception of the change in work and leisure life among international migrant workers in Korea, and to understand how the perception of the change was related to their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10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20 migrant workers who were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lived in the Gyeonggi province in Korea.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were analyzed employing analysis methods of the grounded theory. The study found that most migrant workers had difficulties to adjust to Korean faster working speed and heavier work load than their home country`s working speed and workload.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believed that they could not enjoy leisure life in Korea as much as they were used to in their home country because of the change of work and leisure life style; however, they insisted that they enjoyed more leisure life than their Korea colleagues. As far as the life satisfaction is concerned, most interviewees were very much satisfied with their life based on the condition of family life in home country, not on their own life condi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