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성사 공연 활동에 관한 예술사적 연구 -1910년-1918년대까지의 전통공연예술을 중심으로-

        신혜주 ( Hyeju Shin[hye Ju Sin] ) 한국음악사학회 2016 한국음악사학보 Vol.56 No.-

        본고에서는 1910년대 단성사에서 공연되었던 전통공연예술을 고찰하기 위해 당시 발행된 신문 기사와 잡지를 기반으로 단성사의 설립과 그 안에서 연행된 공연을 살펴보았다. 본고의 목적은 첫째,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근대 극장인 단성사의 위상을 살펴보는 것과 둘째, 단성사에서 공연된 전통공연 예술의 근대공연예술사적 의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장으로 구성된다. 본문의 첫 번째 장인 Ⅱ장에 서는 단성사의 공연 양상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세 시기에 제시 되는 공연은 『황성신문』, 『만세보』,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보』 등의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시기마다 연행된 공연의 형태가 변화되어 온 것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공연을 종목별로 접근하여 공연의 연행 방식과 특성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용은 종류에 따라 민간으로 전승된 궁중정재, 민간무용, 창작무용으로 세분화하여 검토하였다. 기악부분은 줄풍류, 음악 합주 등 다양한 명칭의 공연이 연행되었지만 악기편성을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 영산회상이 연주되었던 것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더불어 박팔괘 가야금 연주에 대한 연구는 박팔괘가 가야금 병창과 더불어 산조를 연주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기악과 성악부분에서 제시된 박팔괘 공연은 그동안 가야금 병창 명인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박팔괘에 대한 재조명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연극 및 재담에서는 단성사에서 공연된 연극을 살펴보았으며 배응현 일행의 구극 단체로서의 성격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혁신단과 같은 신연극 단체의 등장으로 구연극의 입지가 사라졌다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신연극과 구연극의 병행적 공연이 연행된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단성사의 공연예술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무대 변화를 통해 공연에서 무대 장치가 활용된 것과 관객 계층의 다양화로 공연 내용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절에서는 극장의 운영구조와 신연극의 유입으로 다양한 근대예술이 창작되는 양상을 고찰하였으며, 특히 창극이 단순한 분창 형식에서 사실주의적 연극의 요소가 가미된 공연으로 변화해 갔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3절에서는 사설극장의 설립과 활성화로 인해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하던 기생들이 개인예술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신분의 변화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성사는 1910년대 광무대, 장안사와 더불어 서울의 주요 흥행극장이었으며 영화관으로 개축되기 이전까지 전통예술 공연장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단성사를 전통공연예술의 연행공간으로서 재조명할 수 있는 시론적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당시 단성사에서 연행된 공연들에 대한 예술사적 의의 또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establishment of Tansongsa theater and the performances held in it based on the articl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at the time, to examine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presented at it in the 1910s. The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o assess the status of Tansongsa, the most typical modern theat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secondly, to appraise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played there. This study comprises three phases. In the first part, I looked deep into the whole complexion pertaining to all range of performances staged at Tansongsa, dividing its chronicle into three periods. The performances shown at each period were confirmed by the articles in Hwangsong Sinmun, Mansebo, Taehan Maeil Sinbo, and Maeil Sinbo, and I inquired the changes in the form of the performances staged at each period. In the second part, I conducted specific research 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s assorted by types. In the case of dance, I subdivided it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folkloric court dance, folk dance, and creative dance. In the field of instrumental music, although performances were presented under the various titles such as chul p’ungnyu or music ensemble, a close look at the organization of music instruments reveals that Yongsanhoesang was mostly performed. Moreover, in the examination of the Kayakum performance of Pak Pal-gwe, I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he might have played kayagum pyongch’ang along with sanjo. I hope that Pak``s performances I introduced in the section of instrumental music and vocal music would shed new light on Pak who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s a master of kayagum pyongch’ang. Subsequently, I explored plays performed at Tansongsa which allowed me to newly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Pae Ong-hyon group as a kuyonguk (old-style theater) troupe. Furthermore,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claim that kuyonguk lost its ground as sinyyonguk (new theater) groups like hyoksindan (reformed theater troupe) appeared, I discovered some trace that sinyyonguk and kuyonguk were performed parallel concurrently. In third part, I assessed the significance of Tansongsa in the view of the history of performance arts. Through the changes of the stage, I recognized there was alteration of the contents in performances thanks to the utilizing diverse stage settings and diversification in strata of audiences. After examin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theater and all aspects concerning how various kind of modern arts were made by the influx of sinyyonguk, I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ch’angguk or a traditional Korean opera went through the transition from the style of simple punch’ang or divided-role singing to the performance with the elements of realistic plays. Lastly, I found that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theatres and its activation allowed kisaeng, who were forced into a group, work as an individual artist, which also brought change in their social position. Tansongsa edged its name among the most renowned theaters at Seoul in securing box office success in 1910s with Kwangmudae and Ch’angansa, and it had established itself as a transnational arts stage before it was entirely rebuilt as a movie theater. That said, I hope this study can be a preliminary study, resurfacing Tansongsa as performance stage for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and reminding its significance in the view of art history within the performances represented in it.

      • YOLO v3를 활용한 미디어 내 운송기기 탐지 모델 구현

        신혜주(Hyeju Shin),오승민(Seungmin Oh),오상원(Sangwon Oh),김영광(Yeonggwang Kim),엄태원(Taiwon Um),김진술(Jinsul Kim)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최근 퍼스널 모빌리티의 수요 증가와 공유PM 업체의 등장으로 공유형 모빌리티 관련 사고도 급증하였다.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유PM 불법 주행 단속을 위한 인력이 투입되었음에도 단속되지 않은 사례가 훨씬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내 운송기기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미디어 내 즉각적인 탐지를 위해 빠른 속도와 높은 성능으로 인정받는 YOLO v3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객체 위치 검출 정확도와 클래스 예측값의 곱인 Class Specific Confidence Score는 각 클래스에 대해 0.90, 0.98, 0.93, 0.98을 얻었다.

      • KCI등재

        이미지 내 객체 분류를 위한 노드 가지치기 기반 압축된 심층 합성곱 신경망 모델

        오상원(Sangwon Oh),오승민(Seungmin Oh),김영광(Yeonggwang Kim),신혜주(Hyeju Shin),김진술(Jinsul K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4

        Modern DCNN(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image classification system can train huge amounts of data with high accuracy. However, to use a DCNN, we need a long time and enormous compute capacity to train huge amounts of data for using DCN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 compact DCNN model that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To classify objects within an image, a dataset was collected by photographing hand gesture images through a webcam. Then new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CNN was designed and trained hand gesture image data and classified with 98% accuracy. We then used node pruning to lighten DCNN models, showing training times that were reduced by about three times compared to original model and hyper-parameter number that was reduced by 63% of the pre-pruned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