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착성 퇴적물의 염분과 퇴적물농도에 따른 플럭 특성: 플럭카메라를 이용한 실험연구

        신현정,이관홍,Shin, Hyun-Jung,Smith, S. Jarrell,Lee, Guan-Hong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3

        점착성 퇴적물이 다른 광물입자 혹은 유기물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플럭(floc)을 현장에서 관측하기 위한 플럭카메라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실에서 플럭카메라 시스템을 검증하고 영산강 점착성 해저 퇴적물의 플럭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플럭카메라 시스템의 검증은 $88-125{\mu}m$와 $63-88{\mu}m$의 체에 걸러진 모래를 사용하였다. 플럭카메라 영상을 통해 분석한 평균입경은 각각 102와 $65.2{\mu}m$고, 침강속도는 각각 6.7과 5.9 mm/s이다. 카메라 심도에서 벗어난 입자는 실제 크기보다 크거나 작게 측정이 되는 현상으로 인해 체의 범위를 벗어난 입자가 관측되지만, 입경과 침강속도의 평균값에 대한 95% 신뢰수준 오차가 체의 범위에 속하므로 플럭카메라를 이용한 분석을 신뢰할 수 있었다. 영산강 하구의 해저 표층 퇴적물을 0 psu의 증류수에 0.1 g/L 퇴적물 농도로 관측한 평균 입경은 약 $40.6{\pm}0.66{\mu}m$, 침강속도는 1.4 mm/s 프랙탈 차원은 2.86이었다. 추가적으로 10과 34 psu의 염분과 0.1 및 0.3 g/L의 퇴적물 농도에서 관측한 평균입경과 침강속도는 서로 유사했고, 그 값들은 오차범위 내에 존재한다. 플럭카메라 관측을 통해서 얻은 플럭의 빠른 침강속도와 프랙탈 차원은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표층퇴적물의 특성을 반영한다. 또한, 염분과 퇴적물 농도를 변화시켰음에도 플럭의 입경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은 플럭을 형성에 충분한 난류 강도가 주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향후에는 염분, 퇴적물 농도 및 외력의 변화에 따른 플럭의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To examine floc characteristics of cohesive bed sediment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a floc camera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to observe flocs under varying conditions. In order to validate the floc camera system, sand particles were passed through 88-125 and $63-88{\mu}m$ sieves and observed within the laboratory. Mean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ies were found to be 102 and $56.2{\mu}m$ and 6.7 and 5.9 mm/s, respectively. Artifacts of particles estimated outside of the sieve range are attributed to being imaged out of the depth of focus. However, as mean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y of each size class were within the confidence interval, the floc camera system was confidently used to examine cohesive bed sediments of Yeongsan River estuary. The bed sediment sample was prepared with a concentration of 0.1 g/L in 0 psu deionized water. The mean grain size, settling velocity and fractal dimension of flocs were $40.6{\pm}0.66{\mu}m$, 14 mm/s, and 2.86, respectively.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using different salinities (10 and 34 psu) and sediment concentrations (0.1 and 0.3 g/L). Despite changing these parameters, the mean observed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ies were found to be the same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system. The relatively higher values of settling velocity and fractal dimension are considered a result of the sediment containing relatively small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Moreover, consistent floc size over various grain sizes and concentrations may be the result of insufficient turbulence to aggregate flocs.

      • KCI등재

        ADCP 표층유속 자료처리방법 개선을 통한 영산강 하구 표층 방류수 이류속도 산정

        신현정,강기룡,이관홍,Shin, Hyun-Jung,Kang, Kiryong,Lee, Guan-Hong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3

        연안에서 관측된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ADCP) 유속자료의 10-20%는 음향반사 측면효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ADCP의 사용되지 않았던 자료를 복구하여 영산강 하구에서 저조시 방류되는 담수의 경계면 이류속도를 구하고 이를 통해 담수 유량과 수층의 역학적 안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여 하구 내 혼합 환경을 잘 이해하고자 한다. 현장관측은 2011년 8월 영산강의 하구언 전면과 고하도 부근 두 정점에서 한달 동안 실시하였으며, 방류수의 이류속도는 유효 유속 판정에 상관도, 퍼센트굿, 그리고 유속 히스토그램의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ADCP 후처리방법을 적용하여 복원하였다. 또한, 같은 수로에 위치한 두 정점에서 이류하는 퇴적물의 농도피크시간을 토대로 퇴적물의 이류속도(Sediment Advection Speed)를 계산하여 방류수 이류속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퇴적물의 이류속도를 방류시 ADCP의 표층유속과 비교하였을 때, 방류량이 $2.0{\times}10^7$톤 보다 크면 두 속도값이 유사하고, 그보다 적을 경우에는 퇴적물의 이류속도가 약간 크게 산정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방류가 발생할때 담수이류속도(Freshwater Advection Speed)는 바닥으로부터 $0.8{\times}$수심의 유속보다 평균 0.8 m/s 정도 크기 때문에, 방류가 증가하는 시기에 새롭게 계산된 방류수의 속도를 포함한 순유출량(=수심 및 조석주기로 적분된 흐름)을 계산하면, 그 방향이 하구언으로 들어오는 방향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층 담수의 속도가 더해짐으로써 표층 속도쉬어와 리차드슨 수의 분포가 바뀜을 관찰할 수 있었기 때문에 표층 해수의 안정도를 해석함에 있어 실제 방류수 유속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유속과 함께 수온과 염분의 장기적인 관측이 수행된다면 담수 방류에 따른 성층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관련 부유퇴적물의 변동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has been customary to exclude top 10-20% of velocity profiles in the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DCP) measurement due to side lobe effects at the boundary. To better understand the mixing in the Yeongsan estuary, the freshwater advection speed (FAS) was recovered from highly contaminated ADCP data near the surface. The velocity profiles were measured by using ADCP at two stations in the Yeongsan estuary during August 2011: one was located in front of the Yeongsan estuarine dam and the other was deployed near Goha Island. The FAS was recovered from the ADCP data set by applying rigorous post-processing methods and compared with the sediment advection speed (SAS). The SAS was determined by the peak time difference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between two stations in the channel, divided by the distance of two stations. The FAS and the SAS showed very similar value when the freshwater discharge was greater than $2.0{\times}10^7$ ton and the SAS was a bit greater when the freshwater discharge was smaller. Since the FAS was on average about 0.8 m/s greater than the velocity at 0.8 of water depth from the bottom, the net discharge, estimated with recovered FAS and integrated over water depth and tidal cycle, was directed seaward during the high discharge contrary to the onshore direction of the net discharge estimated with 0.8 of water depth from the bottom. Moreover, the velocity shear and Richardson number changed when the FAS was used. Thus, the importance of the true FAS is appreciate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surface layer stability. If currents,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observed for longer time in the future, it could be possible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decay of stratification as well as th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processes.

      • KCI등재

        예비 영유아교사를 위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자아탄력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진성 ( Park Jin-sung ),신현정 ( Shin Hyun-j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on ego-resiliency and empath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ntents of ego-resilience enhancing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cluded self-confidence, posi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emotion regulation, intimate attitude and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xperimental group had 12 sessions with the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The rating scale was used with a rating scale of ego-resiliency by Hyun-Jin Park(1997) and a rating scale of empathy by Byung-Suk Jun(2003).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ego-resiliency and empathy for especially positive behavior, anger adjustment,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아동 권리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아동의 이야기를 중섬으로

        신현정 ( Hyun Jung Shin ),오미경 ( Mi Kyung Oh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9 아동복지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아동의 목소리를 통해 아동 권리를 이해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아동을 권리와 책 임의 주체로 생각하는 아동권리의 전제를 고려한다면, 성인의 주장이 아닌 실제 아동의 일상생활 속아동이 느끼는 자신들의 세계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아동이 보는 어른들의 세계 속 에서 자신을 어떻게 위치 짓고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아동의 생활 속 경험을 잘 이해하려고 7세(만 6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은 일상 속에서 느끼는 아동의 권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인식 하며 의미를 부여하고 었였다. 첫째, 아동은 자선의 미성숙함에 대해 성얀 마음대로 행동하는 성 인의 이기심에 대해 논리적 의견을 제시함으로 무시에 대한 항의를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성인 의 행동을 참아내고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성인 못지않게 타인에 대한 배려 를 하고 있음을 아동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아동이 아직 성인보다 못하는 것이 많은 것은 발달적 특성에서 오는 차이일 뿐 열등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 었다. 아동은 나름대로 문제해결력을 지니고 자선만의 알고리즘을 터득하여 나가는 법을 일상 속에서 배워가고 있었다. 그러는 동안 자선이 가진 권리와 책임을 수행하는 아동은 자신의 중층 적 위치 속에서 혼란을 겪고 있었다. 현상학적 관점에서 아동권리에 대해 알아보니 아동의 소리를 통한 아동이 생각하는 권랴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찾아가는 일은 아동의 권리 신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얄 수 있다. 그럽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소리를 듣지 않은 채 아동의 소리만을 강조한다는 것은 보호자인 부모의 권리를 박탈할 위험성도 가지고 었다. 그러므로 보다 정확히 아동권리의 현상을 다루기 위해서는 폭 넓은 관점에서 부모와 아동의 권리를 보고 그것들을 조율해야 하므로 상호 간의 이상과 현실에 대한 접점을 찾아 의미를 부여하는 연구가필요하다. This study was undettaken in an attempt to undetstand how childten perceIve their rights. If we are to understand this subject, we need to know how children feel about their position and rights in the world.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few researchers who have documented children`s voices us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But it is most important to listen to what children themselves really want if their rights are to be improved. For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I have chosen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nd I have conducted interviews with four six-year-old children which required them to draw a picture connected with their life. Also, they were questioned about what they had been thinking and feeling about their everyday routine with adults, especially their parents. As a result, the children have offered their views, as below, regarding their rights. Firstly, the children expressed resistance to adults who ignored them as immature persons. Secondly, they exhibited self-regulation based on courtesy for other people. Thirdly, the distinction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have shown differences based on developmental processes. Fourthly, they have resolved a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nd managed to do many things with the aid of arithmetic which they have learned to apply in everyday routines. Fifthly, during this process they have felt confused about why they failed in different situations. This study had many limitations as there was a short research period and involved a difficult situation. But I think that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which children have thought by themselves are very important to improving children`s rights. Regarding the aspect of phenomenology in relation to children`s rights, it might be necessary to attempt deeper study involving parent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phenomena of children`s rights.

      • KCI등재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녹차 카테킨이 노화 인자인 MMP와 type 1 Procollagen 발현에 미치는 영향

        신현정 ( Hyun Jung Shin ),김수남 ( Su Nam Kim ),김정기 ( Jung Ki Kim ),이병곤 ( Byeong Gon Lee ),장이섭 ( Ih Seoup Chang ) 대한화장품학회 200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2 No.2

        collagen을 분해하여 광노화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Matrix metallo proteinases (MMP)의 활성 및 저해 인자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녹차 카테킨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epigallocatechin-3 gallate (EGCG) 이외에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카테킨이 사람 섬유아세포에서의 MMP-1의 발현과 MMP-2의 활성 및 type I procollage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녹차의 대표적인 카테킨인 EGCG를 포함하여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여덟개의 카테킨을 모두 사용하여 각각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UVA에 의해서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발현되는 MMP-1에 대해 단백질의 양적인 변화는 EGCG 및 gallocatechin-3-gallate (GCG)에서 최대 57.4, 62.8% 감소되었으며, MMP-2의 활성 역시 감소되었다. 반면에, type I procollagen에 대해서는 생성 촉진능을 보였는데, 흥미롭게도 1 μM 이하의 저농도에서만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EGCG, GCG, epicatechin-gallate (ECG) 세가지 카테킨이 0.5:1.5:1.3의 비율로 조합된 경우, procollagen 합성에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녹차 카테킨은 항산화능 뿐만이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MMP의 발현과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콜라겐 분해를 억제함과 동시에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녹차 카테킨은 광노화의 억제 및 피부 노화 개선에 훌륭한 천연 소재로서 응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consequence of factors that regulate skin ag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green tea catechins except EGCG. Th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can degrade matrix proteins and results in a collagen deficiency in photodamaged skin, ar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hotoag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on the UVA-induced MMP-1 expression, activity of MMP-2 and synthesis of type I procollage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We examined eight catechins that naturally exist in green tea leaves and compared their efficacies among them. Most of catechins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MP-1 in dose dependent manner, and the levels were reduced, especially, 57.4 and 68.2% by treatment with 1 μM of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and gallocatechin-3-gallate (GCG), respectively. Also, catechin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activities of MMP-2. Catechins also induced the expression of type I procollagen, however, they acted only at the concentration below 1 μM interestingly. Furthermore, when EGCG:GCG:ECG had the ratio of 0.5:1.5:.1.3, they presented the most effective on procollagen synthesi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catechins significantly inhibited MMPs and induced collagen synthesis. Taken together, al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reen tea catechins might be good natural materials act as an anti-photoaging and a skin-aging improving agent.

      • 현장 조건에 따른 Top-Down 공법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신현정 ( Hyun Jung Shin ),신규철 ( Kyoo Chul Sh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1 No.1

        To utilize the Top-Down construction method, it is required to analyse building area, floors, and soil conditions to choose the three basic elements of retaining wall, base column, and floor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methods of Top-Down with other construction methods.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se the project conditions of Top-Down project cases. The aim is to develop a method of selecting alternatives, considering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work schedule, supporting methods, foundation types.

      • KCI등재후보

        아동상담과정연구의 동향: 현황과 과제

        신현정 ( Hyun Jung Shi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0 아동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담과정의 변화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상담과정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일천한 아동상담과정의 경향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것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변화양상과 과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상담은 시간을 동반하는, 필수적인 상호작용 과정이다. 따라서 상담과정을 밝히는 것은 상담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과 같을 만큼 상담과정연구는 어렵고도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측정하기 힘든 상호작용 위주의 상담과정의 세세한 측면은 간과되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아동상담과정연구가 아직 활성화되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아동상담과정연구에서 치료적 관계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몇 편을 제외하면 상담과정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아동상담과정연구의 현황을 살펴보니, 우리나라 상담과정연구는 전화 및 사이버 상담과정, 치료관계, 그리고 사례연구가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치료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상호작용의 모습을 그린 연구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연구방법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미미한 수준이지만 연구방법에서도 실증적인 측면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아동상담과정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가 양적으로 더욱 증가해야 하며 현상학적인 방법을 포함한 연구방법의 다양화도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아동상담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아동상담과정연구가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s at revealing the status and task of counseling process researches in Korea, as reviewing the trend of counseling process researches. Especially, it would be possible to get to know about change process and task of this study, focusing on child counseling process researches which have had relatively short history. Counseling is process of interaction with time that goes by. So it is very difficult and important as if knowing counseling process is as same as searching for what counseling is. But it might be easily ignored that the detail part of counseling process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each other which is difficult to measure. Through inquiring previous studies, I can get to know that researches about child counseling process do not become activated yet. Moreover there are few researches connected with child counseling process except those about therapeutic alliances and related to case. This study shows that more and more researches about telephone and cyber counseling, therapeutic alliances, case study have been increasing recently as trend change of counseling process. They are more focused on interaction. There are also change in part of research methods even though it is very little, getting out from aspect of empirical methods. To develop researches about child counseling process, many studies including variety of research methods should be carried by researchers. Besides, Many researches should be not only enlarged by another factors related to child counseling process, but also conducted by various researchers having different eyes.

      • 도심 지하 연결통로 공사에 관한 공법 사례분석

        신현정(Shin Hyun-Jung),신규철(Shin Kyoo-Chul)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구조계)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assage ways to connect substructures in downtown has important issues including road, traffic interference, citizen complaints, and the adequacy of construction method. The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construction are constructability, structural suitability and affordability. Thus, this research analyzes the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by comparing the Messer Shield method, DSM method, Pipe Roof method, Front Jacking method. This paper investigates major technical criteria through H project. Moreover, the constructability, stability, and the affordability of the site conditions are studi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elect the proper construction method.

      • KCI등재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관한 고찰

        신현정 ( Hyun Jung Shi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6 아동복지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보육욕구의 다양화로 인해 아동들, 특히 어린 영아들의 보육시설의 입소가 활발해짐에 따라 야기되어지는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대한 상황들을 살펴봄으로써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영아가 보육시설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게 될 경우 영아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성장, 발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가정환경에서 채워주지 못하는 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영아가 초기 적응에 더욱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36개월 이전의 영아기는 주로 어머니라는 주양육자와 애착을 형성하는 시기에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개별화의 발달 과정에 처해 있으며 영아 각 개인마다 가진 환경과 개별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애착, 기질, 성별, 연령, 가정환경 및 경제수준, 보육환경의 질 등이 있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영아 각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환경의 차이를 고려한 영아의 개별성을 존중하는 접근의 도입을 희망하고 있는데 보육시설에의 적응이란 바로 각기 다른 영아개개인의 개별성을 기반으로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이므로 영아 개개인의 욕구와 특성이 고려되어져야 영아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애착증진과 관계형성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심리치료방법인 치료놀이를 보육시설영아의 적응을 위한 방안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치료놀이는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하는 심리치료방법으로 구조, 개입, 도전, 양육, 즐거움이라는 치료놀이의 원리를 기반으로 관계를 증진시킨다. 이러한 치료놀이를 활용한 보육시설 적응방안의 모색은 바로 각각의 개별적인 영아들과의 조율을 이루고자 하는 데에 있다. 영아의 개별성을 고려한 교사와의 호혜적인 상호작용은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을 보다 쉽게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ways toward infant`s better adjustment in child care, as it has increased too many infants in child care. When infants adapt well themselves to child care environment, they can grow up well in physical, psychological aspects. Additionally they can be compensated for a poor family environment. But the reasons for making infant`s adjustment difficult are very their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ss experience, what is more, their different environments and characters. Through literature review, I found attachment, temperament, sex, age, family environment and poverty, quality of chid care environment as factors related to adjustment in child care. Child care teachers want to utilize a method that is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about infant`s individuation connected with a different environment and character. It is said that their adjustment to child care are the process to make a relationship between infant and environment. So I propose Theraplay as a method for infants to be adjusted well in child care. As Theraplay which has 5 principles, that is, structure, engagement, challenge, nurture and playfulness is a method of psychotherapy, it can help infants, teachers and environments build better relationship. Through groping for infant`s adjustment method which is utilizing Theraplay, infants can not only adapt easily themselves to child care but also increase an attunement, an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s including teachers and themselves.

      • KCI등재

        치료놀이(Theraplay)에서 거울의 의미

        신현정 ( Hyun Jung Shin ),윤미원 ( Mi Won You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3

        대부분의 사람들은 매일 거울을 본다. 그러나 거울에 부여하는 의미는 각 사람의 상황마다 같지 않다. 아동상담을 하는 사람에게도 거울은 특별하다. 여러 석학들이 거울을 비유로 어머니나 상담가의 태도를 강조했기 때문에 많은 아동 상담가들은 거울과 같은 존재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거울에 대한 추상적 개념은 구체적 적용과는 거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울이 있는 치료놀이실에서 아동과 치료사의 상호작용 현상을 통해 거울이 활용되는 구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고 거울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치료놀이실에서 거울이 하는 역할들을 살펴보았다. 거울은 아동과 치료사가 함께 놀이할 수 있는 도구가 되었다. 그리고 거울은 자신의 내면끼리, 혹은 타인과도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소통매개자가 되기도 하였다. 아동이 자신의 긍정적 측면을 다시 보도록 비춰주는 반영자의 역할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결된 아동-치료사가 긍정적 입장을 서로 교류(inter-pret)하는 것을 아동이 알아가도록 적극적으로 돕는 해석치료사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치료놀이 상황에서 거울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거울은 단순히 정의하기에 너무 오묘한 것임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 아동의 상황에 따라 거울의 역동은 다양한 양태로, 스펙트럼같이 드러났다. 거울을 해석하는 아동과 치료사의 각기 다른 상황에 따라 거울은 그 모습을 바꾸기도 하였다(가능태). 거울의 그 변화 가능성 때문에 치료놀이에서는 거울을 동반자로 삼고 석학들의 지침을 실천으로 옮기려 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eanings of the mirror and to understand concrete context through interaction between child and therapist in the theraplay room with mirror. First, the mirror`s roles could be found. The mirror became play instruments when a child and therapist interacted together in the theraplay room. Also, the mirror`s function was to mediate communication among "I"-"me", I-the other etc. We also found the mirror as a reflector to let the child recognize himself as a good person. At last, the mirror made its role as an interpretive therapist that connects interaction actively between child and therapist, and the mirror interpreted the dynamics, then helped child understand the interaction and himself.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mirror, we also got to know the mirror`s meanings. The mirror was too complicated and mysterious to be simply defined. The mirror signified the spectrum that might show many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child`s different situations. Furthermore, the mirror transformed its aspect according to the different situations of the child. It might mean that the mirror would be potentiality. We therapists would try to practice the theraplay taking the mirror with us, based on the mirror`s diver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