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 융합 인공지능교육 주제 탐색 및 수업안 개발

        신한나(Hanna Shin),김슬기(Seul Ki Kim),김태영(Tae Young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2

        현재 인공지능 교육이 사회 전반에서 대세로 떠오르고 있지만, 초등학교에서는 정보 교과의 부재로 인공지능 교육의 시수 확보가 어렵다.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교과와 연계하여 융합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주제와 수업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과 인공지능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의 학교 현장 확산에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란다.

      • KCI등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주거환경 실태 분석

        신한나(Shin Hanna),김승인(Kim Seung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rom the elderly's needs after researching the complaints of their current residential environment for a post-aged society of Korea. As the middle-aged population who promoted the economical development in Korea gets older and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his study was processed to make a foundation for their housing environment. It suggests the remedy for the present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by the analysis table which was made on the basis of thier dissatisfaction of current residence from surveys and depth interviews of 50 old-people and estimated analysis of needs based on this result. Therefore it reconstructed elderly housing environment by structure product and system divisions kitchen bathroom bedroom living room. The result likes next First in case of kitchen may consider elderly body reaction and awareness of space and material of floor and furniture also needs to consider width and height for elderly disease. living product should construct with appropriate weight of grip lighting system also must be constructive with elderly sight and safety. Second bathroom have to be suggested by elderly safety because it is most dangerous place to elderly population because they have frequent dizzy. Third the living room which spends the most time does approach of space and space easily. Hearing and loses time and is made to throw away and the system equipment must be prepared. 본 연구는 현재 고령화 사회로 세대전환이 급변함에 따라 노년층 인구가 증가할 것에 따른 현 노인주거환경실태를 조사하여 초고령화 사회 노인주거환경을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1차적 초석을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니즈를 추출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과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바탕으로 구성된 설문을 조사 하였다. 설문의 형태는 방문 1:1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통해 노인 주거환경 부엌 욕실 침실 및 거실의 구조·생활용품·시스템으로 각각 나누어 노인 주거환경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엌의 경우 노인의 신체적 반응을 고려한 바닥재와 공간인지가 가능한 구조 그리고 노인성 질환을 대비한 가구의 넓이 높이가 고려되어야 한다. 생활용품은 악력을 고려한 적절한 무게로 구성되어야 하며 노인의 기억력 저하 및 시력 저하를 고려한 안전구조와 조명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욕실은 노인에게 가장 위험한 공간이 될 수 있으므로 무엇보다 안전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리고 특히 노인성 질환을 고려한 가구의 높이·넓이가 고려되어야한다. 노인은 잦은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바를 설치하여 노인의 편리를 도모해야 한다. 셋째 거실은 각방과의 접근이 용의해야하며 청각·시각저하를 고려한 안전시스템 설비가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내용조사는 1차적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로서 보다 발전된 실질 노인 인지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해야 한다.

      • 초등학생 대상 ‘핑퐁로봇’을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수업안 개발

        신한나(Hanna Shin),김태영(Tae Young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7 No.2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실과 성취기준에 로봇과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부분이 신설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사회, 도덕과 정보 과목을 융합하여 성취기준에 맞게 개발한 핑퐁 로봇을 활용한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과 인공지능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초등 디자인 교육을 위한 U-SPACE교육 환경 제시연구

        신한나(Shin Hanna),남경숙(Nam Kyungsoo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현 우리나라의 교육은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남과 똑같음을 탈피하여 다양함으로 자기만의 색을 가진 창의성 인재를 추구 하며 그에 따라 우리의 교육현장도 자신만의 색을 찾게 할 수 있는 창의성교육으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런 교육은 예전의 공부만 잘하는 인재보단 무한경쟁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교육 즉 창의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창의성디자인교육을 위한 교육공간을 제안하고자 하며 창의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해서 Ubiquitous의 환경을 함께 접목하여 U-SPACE교육환경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창의성 디자인교육과 U-SPACE의 이론 고찰과 국내·외 창의성 디자인교육 현황의 학습내용 및 환경의 U-SPACE을 분석한다. 또한 사례분석은 참여관찰법을 실행하였으며 사진촬영 및 동영상 촬영 그리고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 따른 행태를 분석하고 창의성의 증진적 극대화를 위한 U-space를 분석하여 창의적 디자인 프로그램의 계획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system requires creative and innovative individuals so it is natural that our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the of for creativity. In other words our society demands to have creative education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society rather an education that fosters only student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difference education sites for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grafting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nto the current existing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enhance creativity for A U-Space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earch methods are consideration on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U-Space theory and analysis on current state of internal and external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environment of U-Space. We have used a participant observation photography shooting film and in-depth interviews and we analyzed this behavior of education based on these method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to improve creativity I took advantage of U-Space and suggested a schedule for this creativity design programs.

      • KCI등재후보

        원추형 수관을 가진 반송 신품종 ‘예다솔’

        신한나(Hanna Shin),권순호(Soon-Ho Kwon),권해연(Hae-Yun Kwon) 한국육종학회 2022 한국육종학회지 Vol.54 No.4

        Multi-stem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Uyeki) is known as the forma of Korean red pine and is distributed in both Korea and Japan. Unlike Korean red pine having one or two main stems, it grows with many stems which are branch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tree trunk. Owing to its unique stem shape and ornamental value, it has been used as a precious ornamental tree. A total of 14 individuals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between 1998 and 2000 to develop new cultivars in Pinus spp. with high added value. After asexual propagation through grafting, at least 20 seedlings per tree were planted in a test field and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three individuals were re-selected and tested for uniformity and stability for 3 years. Finally, one individual with evident conical crown form was renamed as ‘Yedasol’ and was registered as a new cultivar in 2021. In addition, ‘Yedasol’ has high ornamental value derived from its thinly cracked gray-brown bark, soft needle leaf, reddish-purple male strobilus, and dense cone arrangement (Registration No. 255).

      • KCI등재

        SCB액비가 속성수의 생장 및 biomass 생산에 미치는 영향

        김현철(Hyun-Chul Kim),여진기(Jin-Kie Yeo),구영본(Yeong-Bon Koo),신한나(Hanna Shin),최진용(Jin-Young Choi),이헌호(Heon-Ho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2

        SCB액비, 저장액비, 화학비료, 지하수 및 무처리에 따른 포플러 및 버드나무 클론, 백합나무의 생존율은 전체 평균 94.4%로 나타나 양호하였으며, 잎과 줄기의 비율은 각각 63.5%, 36.5%로 매년수확구의 식재당년 지상부 biomass는 잎의 비율이 높았다. 처리구별 줄기발생 수는 SCB액비, 저장액비, 화학비료, 지하수 및 무처리구가 평균 4.2, 4.6, 4.5, 4.7, 4.9개로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버드나무 클론들의 줄기 수가 포플러 클론 및 백합나무 보다 많았다. 줄기직경과 지상부 biomass에 대하여 개체당 유도된 회귀모델을 통해 추정된 biomass 생산량은 화학비료>저장액비>지하수>SCB액비>무처리구 순으로 나타났다. 수종 및 클론별 지상부 biomass 생산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현사시 클론들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SCB액비 처리에 따른 잎과 줄기의 질소함량을 분석한 결과 무처리구 보다 질소함량이 높게 나타나 SCB액비에 함유된 질소를 체내에 흡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SCB액비를 biomass 매년수확구에 처리한 결과 화학비료, 저장액비, 지하수 처리구보다 생산량이 적게 나타났지만 무처리구 보다는 생산량이 증가하여 향후 처리방법이나 적정 처리량 등을 구명하여 적용한다면 화학비료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가축분뇨 처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biomass 매년수확구의 식재당년의 결과이며, 식재한 묘목의 수령이 증가하고 입지환경에 적응되면 바이오매스 생산량도 대폭 증가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연구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보다 확실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fteen clones of poplars, 2 clones of willows, and yellow poplar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5 treatments such as SCBL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general slurry liquid 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groundwater, and control (no treatment) on vitality, growth performance, and biomass production. Five cuttings for each tree species were planted in 3 replications. After planting cuttings, a coppice was induced by cutting off stems at 10cm above the ground. Data were collected for first growing season and trees were harvested at the end of October. Maximum mortality rate i.e. 96% was recorded in the cuttings treated with groundwater and minimum 92% with control (no treatment). In all tree species, sprouting of stump was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treatments. Total nitrogen concentrations of leaves and stump sprouts were higher in the treatment of SCBLF than the control, 26.6% and 22.9%, respectively. Biomass production was highest in the stumps treated with chemical fertilizer, 1.98 Mg ha<SUP>-1</SUP> year<SUP>-1</SUP>, and lowest in control (1.34 Mg ha<SUP>-1</SUP> year<SUP>-1</SUP>).

      • KCI등재

        간척지 자생 버드나무의 NaCl 농도별 생육반응

        여진기(Jin-Kie Yeo),박정현(Jung-Hyun Park),구영본(Yeong-Bon Koo),김현철(Hyun-Chul Kim),신한나(Hanna Shi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간척지에 자생하는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on)를 대상으로 염분에 대한 내성의 범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간척지에서 선발된 버드나무6개체의 가지를 잘라 온실에서 삽목하여 2개월이 경과한 다음부터 NaCl 0.1%, 0.5%, 1.0% 용액과 지하수를 1개월간 관수하면서 재배하였다. 0.1% 및 지하수 처리구에서 전체 묘목의 생존율은 100%인 반면 0.5% 및 1.0% 처리구에서는 각각 73.2% 및 58.8%로 감소하였다. 0.1%와 지하수 처리구간의 묘고와 근원경 생장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수는 실험기간동안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0.5% 및 1.0% 처리구에서 묘고 생장은 지하수 처리구에 비해 각각 43.8% 및 88.9% 감소하였다. 0.5% 및 1.0% 처리구 묘목의 잎은 스트레스로 갈변하고 조기 낙엽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버드나무는 온실에서의 NaCl 처리결과 해안간척지에서 자생하는 개체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임지에서 자생하는 버드나무보다 염분에 대한 내성 능력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s for the forest restoration on reclaimed land by using willow trees (Salix koreensis Anderson) selected from a coastal reclaimed land made in inside of the Sihwa tide embankment. We first collected six individual willow trees that were the only tree species grown in the reclaimed land. Total 7 clones from cuttings of the collected trees and the control were grown in a greenhouse for two months prior to applying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Cl solutions (0.0%, 0.1%, 0.5%, and 1.0%). One month after the NaCl application, the survival rates of clones from both the collected trees, and the cont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NaCl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llected trees and the control in terms of survival rate, hight and diameter of cuttings, and the numbers of leaves in greenhouse condition. In conclusion, the willow trees collected from the coastal reclaimed land showed no tolerance against NaCl compared to the control grown in ordinary soil, suggesting that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determine w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o select salt tolerant tree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