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하안전영향평가등 및 지하안전점검 세부지침(매뉴얼) 소개

        신창건 ( Shin Ghang Gun ),이종훈 ( Lee Jong Hun ),윤대성 ( Yun Dae Seong ),류호상 ( Ryu Ho Sa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1

        A detailed guideline was prepared to explain the contents of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guideline and to prevent confusion in the initial implementation of the law to underground safety impact assessment and underground safety inspection subjects. Special Law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which was created to prevent the safety of the people from frequent occurrences due to frequent occurrence of subsidence, has been systematically settled in the course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When it works smoothly, it can be said that national security is guaranteed.

      • 상수도 관로 구조안전성검토 사례

        신창건 ( Shin Chang-gun ),윤영조 ( Youn Young-jo ),마상수 ( Ma Sang-soo ),문태남 ( Moon Tae-nam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시설물 안전관리 중 상수도 상부에 도로확포장 공사가 계획됨에 따라 관로의 구조안전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관로 GIS도면 및 현장 GPS 측량 결과 등을 통하여 관로의 구조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성토 및 차량하중에 대해서 안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되며 향후 유지관리를 위한 관로 표시 못 등을 시공사와 협의하여 설치 할 것을 권고 하였다.

      • KCI등재

        목재 Crib wall의 파괴유형에 대한 사례연구

        신창건(Changgun Shin),백문열(Moonyeol Paik),홍철화(Cheolhwa Hong),배우석(Wooseok Ba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7

        Crib wall은 헤더와 스트레처를 사용하여 옹벽의 골조를 축조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공법의 일종이다. 이 공법에서는 부재의 교차에 의해 생긴 격자 안에 자갈로 채움을 실시하여 옹벽의 중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 옹벽에 비해 시공속도가 빠르며 경제적이다. 더불어, 옹벽의 배수 능력이 뛰어나며 전면에 식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환경친화적인 장점도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목재 Crib wall 시스템에서는 개별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며 채움재의 자중이나 외부하중에 의해 채움재에 응력 재분포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목재옹벽 시공현장에 대한 세부조사와 해석을 통하여 목재 crib wall의 파괴유형과 파괴원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부재의 5.7%인 총 2,315개소에서 손상이 발생되었으며, 파손된 부재 중 80.2%가 헤더에서 발생하였고 파손된 헤더 중 65.7%가 하단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재의 종류나 설치 위치에 따라 파괴유형 및 원인이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근본적으로 부재의 뒤틀림과 나뭇결이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Crib wall is one of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s using headers and stretchers to establish the framework of the wall. In this method, grids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headers and stretchers are generally filled with the gravel to maintain the weight of the wall. Therefore,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with higher speed and much economically when compared wit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Furthermore, it has high drain capacit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spects also have been pointed out because the possibility of the planting at the front of the wall. However, in the wooden crib wall method,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individual headers and stretchers was generally recognized, and stress redistribution in the gravel filling was also observed when subjected to the external loading and self-weight of filling.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fracture types and causes of wooden crib wall through detail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a large crib wall construction site. As a results, it occurred the damage in the members of 5.7% in a total of 2,315 locations and the damage of header occurred in the members of a header 80.2%. The 65.7% of the damaged header are concentrated in the lower part of crib wall. Therefore, it was analyzed the differences of fracture types and causes of wooden crib wall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kinds of members. It is considered basically the members of various forms of distortion and the grain affecting.

      • KCI등재

        고성토 지반의 EPS 소성변형 문제점에 대한 사례연구

        신창건(Shin, Chang Gun),서정유(Seo, Jeong You),이종근(Lee, Jong keyn),채민이(Chae, Min Le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11

        연약지반은 지반강도가 낮으므로 공학적 문제점 개선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대상현장은 연약지반의 압밀침하에 대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량성토제인 EPS를 시공하였다. 그러나 포장층의 침하와 경계석의 파손 등 안정성에 문제 점이 발생하였으며, 조사결과 현재높이가 설계높이보다 1m 이상 압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상재하중에 영향을 받는 EPS가 설계 및 시공당시 상부 지반층 및 교통 하중이 과다하게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 EPS가 시공된 현장의 고성토로 인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대책공법을 제시한 사례를 소개함으로서 EPS 설계 및 시공 시 유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Numerous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low strength for soft ground have been performed. EPS, light weight filling material, is used at the study site for stability on consolidation settlement. However, several problems such as settlement of pavement layer and damage of curb occurs. The elevation is lower 1 m than that of designed value by consolidation. It is caused by excessive load during construction. In this study, problems due to overloading on the soft ground where the EPS is used were analyzed and some cases for reasonable improvement method were described. From the results, instruction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are suggested.

      • 3D 레이저 스캐너를 활용한 상수도 시설물 진단시 문제점 개선 방안

        신창건 ( Shin Chang-gun ),마상수 ( Ma Sang-soo ),김경진 ( Kim Kyeong-jin ),이기철 ( Lee Ki-cheol ),김상훈 ( Kim Sang-hu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3D 레이저 스캐너는 원거리 촬영을 통하여 별도의 접근 장비 없이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위험지역의 구조물 외관조사 및 위치별 측량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장비이다. 본 논문에서는 3D 레이저 스캐너를 활용한 상수도 시설물 진단 시 장비 및 환경적 제약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장비의 효용성을 높이고 보다 정확한 진단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성제국대학에 있어서 한약연구의 성립

        신창건 ( Chagn Geon Shin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6

        필자는 이 논문에서 1920년대 후반에 경상제국대학에서 왜 한약연구가 성립될 수 있었는지 검토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연구제도의 성립은 식민지시기 조선의학 사의 ’변화’ 이며, 조선총독부 권력 및 제국일본의 정책전환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역사적 변화의 저류에는 이런 변화를 가능하게 한 역사적, 지적 조건이 갖춰져 있었다. 필지는 이 조건을, 주로 한약연구사의 맥락에서 크게 둘로 나누어 해명했다. 하나는 1910년대 초부터 이미 조선총독부 권력이 주도했던 조선 반도의 약용식물에 대한 필드조사와 문헌연구다. 농상공부 식산국 산림과, 경무총감부, 중앙시험소가 각각 서로 다른 관심에서 약용식물의 필드워크를 수행했다. 산림과는 식민지통치에 있어서 필수적인 삼림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조선 전영역의 약용식물을 의료자원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여, 약용식물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경찰은 약품취체에 대한 관심에서, 중앙시험소는 대체의약품 개발의 필요성에서 약용식물조사를 시작했다. 이들 연구의 축적은 훗날 경성제국대학 약물학제2강좌의 강사가 되는 이시도야 츠토무(石戶谷勉)에 의해 정리되어 스기하라(杉原)교실의 연구재료가 되었다. 또 하나는 1910년대에서 20년대에 걸쳐서 제국일본의 ‘내지’ 와만주에서 전개된 인삼을 포함한 한약에 대한 실험적 연구다. 구체적으로는 동경제대 의학부 약학과에 기원을 둔 한약의 성분분석과 화학구조분석 연구, 더욱이 경도제대와 게이오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한약의 약리작용 연구가 축척되고 있었다. 전자의 약학ㆍ화학의 연구방법과 축적은 스기하라교실의 가쿠 텐민(加來天民)이, 후자의 의학ㆍ약리학에 관해서는 교수인 스기하라 노리유키(杉原德行) 자신이 계승했다. 이처럼 경성제대에서의 한약연구는 스기하라, 가쿠, 이시도야의 연구배경이 하나로 합류해서 성립됐던, 제국일본 유일의 종합약물학연구였다고 말할 수 있다. 1920년대 후반에 성립된 연구체제는 조선내의 한약조사 및 그 성분분석, 약리작용실험을 추진해 나갔는데, 인삼연구에서는 조선총독무, 미쓰이물산과 삼위 일체의 협력체계를 구축했고, 중국에서의 한약연구에서는 일본외무성이 주도했던 동방분화사업의 자원원조를 얻어 추진했다. One of the most remarkable features of School of Medicine,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founded in 1926,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Division of Pharmacology. In this division, under Professor Sugihara Noriyuki(杉原德行)’s leadership, scientific researches on traditional Korean Materia Medica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till 1945. This research group consisted of three fields; (1)Professor Sugihara’s pharmacology(laboratory science), (2)Assistant Professor Kaku Tenmin’s(加來天民) pharmacy (laboratory science),(3) Lecturer Ishidoya Tsutomu’s(石戶谷勉) botany(fieldwork). They received financial support of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late in the 1920s, so that they could study Chinese medicinal resources in China. And they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Movement which encouraged cultivation of medicinal herb in the 1930s. Furthermore, in order to strengthen scientific researches in the second Division of Pharmacology, Natural Product Research Institute(生藥硏究所) was founded as an affiliate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Kaesung (開城) in 1939. What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which enabled scientific researches on traditional Korean Materia Medica, institutionalized in the mid-1920s’ Korea? First, I pointed out the following three backgrounds of fieldwork research in the Korean Peninsula; (1)Research on Forests by Forest Section(Sanrin-ka;山林課) of Government-General of Chosen(朝鮮總督府), from the first half of the 1910s. Ishidoya was the personnel of Forest Section. (2)Research on medical herb by Military Police(Kenpei-keisatsu;憲兵警察) of Government-General of Chosen, reporte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910s. (3)Componential analysis of medicinal herb in Central Experiment Station(Chuou Shikenjo;中央試驗所), reporte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910s. Secondly. I pointed out the following backgrounds of experimental research in Japanese homeland Imperial University. ;(1)Chemical research on natural products, beginning at School of Medicine, Tokyo Imperial University in the 1910s. (2)Pharmacological research, beginning at School of Medicine, Kyoto Imperial University (that is Sugihara’s intellectual background) and keio University. And finally, the political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Traditional Materia Medica was an important factor of institutionalization in the mid-1920’s, that is, (1)an advantage of Traditional Materia Medica over modern Western medicine in wartime(Impact of World War I). (2)Empire’s cultural tool which is useful to the advance into China; the idea was that of Goto Shinpei(後藤新平) and Keimatsu Shouzaemon(慶松勝左衛門 ‘Professor of School of Medicine, Tokyo Imperi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