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Simulator를 활용한 안심습지 일원 수달의 주요 이동경로 예측 연구

        신지훈 ( Gee-hoon Shin ),서보용 ( Bo-yong Seo ),노백호 ( Paikho Rho ),김지영 ( Ji-young Kim ),한성용 ( Sung-yong Ha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1

        본 연구는 수달의 주요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Simulato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대구시 안심습지를 중심으로 반경 7.5 km를 최종 범위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 검증을 위해 현지조사를 활용하였다. 가상의 수달 개체수는 1,000마리, 이동 스텝 수는 격자 당 1,000 스텝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841개 격자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147.6±112.1 개체가 간격 50m 조건에서 분석범위 경계 지점에 도착하였다. 시뮬레이션 검증결과, 수달의 주요 이동 확률이 높은 지역 가운데 시뮬레이션의 ‘매우 높음 지역’에서 8개 수달흔적 지점(13.1%), ‘높음 지역’에서 9개 지점(14.8%)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동확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낮음 지역’ 8개 지점(13.1%)과 ‘매우 낮음 지역’ 4개 지점(6.6%)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의 검증결과 높음 결과값을 가지는 지역에서 특히 실제 수달의 서식 흔적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이동확률의 등급 별 단위 면적(1×1㎢ 당)에 따른 수달 출현지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높은 확률로 이동하는 지역에서 단위 면적당 6.8개 흔적이 발견된 반면, 이동 확률이 낮은 지역은 0.1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수달이 하천지역의 주요경로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보통 수준 이상 결과 지역에서는 23개(63.9%)로 많은 서식흔적이 발견되어 시뮬레이션의 주요 이동경로가 실제 수달 개체의 이동로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Simulator 분석은 수달의 이동경로 선택에 있어서 공간특성이 이동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 가능하고 분석값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내 추가 서식지 조성 및 로드킬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Random Walker analysis to predict the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a simulation analysis with a radius of 7.5 km set as the final range centered on the Ansim-wetland in Daegu City, and a field survey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The number of virtual otters was set to 1,000, the number of moving steps was set to 1,000 steps per grid, and simulation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841 gri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 average of 147.6 objects arrived at the boundary point under the condition of an interval of 50 m.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verification, 8 points (13.1%) were found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was very high, and 9 points (14.8%) were found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was high. On the other hand, in areas with low movement paths probabilities, there were 8 points (13.1%) in low areas and 4 points (6.6%) in very low areas. Simulation verification results In areas with high otter values, the actual otter format probability was particularly high.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with the otter appearance point according to the unit area of the evaluation star of the movement probability, it seems that 6.8 traces were found per unit area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is the highest. In areas where the probability of movement is low, analysis was performed at 0.1 points. On the side where otters use the major movement paths of the river area, the normal level was exceeded, and as a result, in the area, 23 (63.9%), many form traces were found, along the major movement paths of the simulation. It turned out that the actual otter inhabits. The EN-Simulator analysis can predict how spatial properties affect the likelihood of major movement paths selection, and the analytical values are used to utilize additional habitats within the major movement path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such as to grasp the danger area of road kill in advance and prevent it.

      • KCI등재

        새만금호 일대 수달의 서식적합성 평가 및 공간변수와의 상관성 분석

        신화용,신지훈,한성용,노백호,이준우,Shin, Hwa-Yong,Shin, Gee-Hoon,Han, Sung-Yong,Rho, Paikho,Lee, Joon-Woo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4

        본 연구는 새만금호 일대 수달의 서식지적합도 분석과 공간변수(수역, 습지, 농경지, 시가지, 도로 등)와의 상관성이 수달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서식지적합성 분석결과, 전체 1097개 격자 중 1등급과 2등급이 380개 격자로 전체 34.6%로 확인되었고 4등급과 5등급이 413개 격자로 전체 37.7%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새만금 일대의 공간변수 별 수달 서식흔적과의 거리를 비교분석한 결과, 도로와 시가지는 거리가 멀수록 수달의 흔적이 확인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역과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흔적이 확인되었다. 새만금호 내부 공사로 인한 영향은 있으나 수역과 도로의 이격거리를 보면 시가지와 도로에서 이격거리가 근접한 지역과 가장 먼 지역과의 흔적차이가 2배에서 6배 이상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달의 서식지 복원시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 도로와 시가지는 최소한 500(m) 이상 이격거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correlation between habitat suitability of the Saemangeum lake area for otters and spatial variables (watersides, wetlands, farmlands, urban areas, roads, etc.) on the inhabitation of otters. As a result of the habitat suitabi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380grids of 1097 grids (34.6%) studied are most suitable and suitable, whereas 413 grids of 1097 grids (37.7%) of the total are marginal and unsuitable. Comparatively analyzing otter traces data against for each spatial variable in the Saemangeum area revealed that the distance to the road or man-made area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otter traces, while more traces of otters were found areas close to waters. Despite the impact from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Saemangeum lake, there found 2 to 6 times more otter traces in the area farthest from the urban areas and roads compared to the area nearest to the urban areas and roads. Thus, when restoring habitats for otters, a minimum of 500(m) distance to roads or urban areas,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threat to the habitats, must be secured.

      • KCI등재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지정영향 분석 - 조사·모니터링 분석 및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김미리(Kim, Mi-Ri),노백호(Rho, Paikho),신지훈(Shin, Gee-Hoon),유정우(Yoo, Jeong-Woo),허학영(Heo, Hag-Young)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4 No.4

        국립공원공단에서는 1991년 국립공원의 자연자원보호 및 훼손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자연휴식년제를 시행하였으며 야생생물 서식지 보호를 위한 대상지로 점차 지정·확대하여 2007년 특별보호구역 제도로 변경·운영하고 있다. 제도 시행 이후 조사·모니터링을 통해 훼손지 복원결과, 생물종 수, 서식밀도, 기타 환경요인 등을 파악해 오고 있으며, 지정목적 달성을 위하여 시설투자 등 예산과 관리 인력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연휴식년제 시행 이래 특별보호구역으로 이어진 보호·관리제도의 지정영향 분석 및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특별보호구역 조사·모니터링 성과분석 및 특별보호구역 인지도·지지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모니터링 성과분석 결과, 분석대상지 30개소 중 최근에 지정되어 성과를 확인할 수 없는 분석대상지 5개소를 제외한 25개소에서 23개소가 특별보호구역의 지정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인지도·지지도 분석결과, 특별보호구역의 인지도는 25.9%로 나타나 자연휴식년제 인지도(35.7%)보다 낮은 것으로 도출되었고 특별보호구역에 대하여 91.8%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90.7%가 탐방객의 이용이 제한되더라도 해당 제도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국립공원 내 특별보호구역 지정에 대한 현수막, 안내표지판 설치에 따른 관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별보호구역 지정 목적과 생태계 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itiated the Access Restriction System in 1991 to protect sensitive natural resources and to prevent spread of deteriorated and damaged areas in the National Park. The system have amended into effective designation of the Special Protection Zone in 2007 and widely implemented for nature conservation on wildlife habitat. Periodically survey and monitoring has been conducted on the designated sites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logical restoration efforts with no public entrance under the system. Relatively high budgets and many management staffs are required to meet designation objectives of the Special Protection Zone, in particular ecological assessment of the area with species richness, density, spatial distribution,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survey scheme status and management effectiveness, which helps assess the designation strategies and establish advanced management plan related to citizen’s awareness on the Special Protection Zone. Results show that Twenty-three designated sites have been considerably improved on ecological integrity focused on management strategy among twenty-five regularly surveyed sites, which have been selected from thirty long-term sites excluding five new designated sites. It means the survey scheme and management efforts generally effective in the Special Protection Zone. However, public awareness on the Special Protection Zone is 25.9%, which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35.7% on the formerly named Access Restriction Program.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91.8% of citizen agree to establish Special Protection Zone, and 90.7% of the individuals support the program even if they cannot access the area. Different materials such as information banner, notice board, sign facilities neighboring the areas are founded as an effective tools to improve public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n the Special Protection Zone. These results are used to suggest a better management plan for ecological integrity and designation goa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