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답사 프로젝트를 통한 인지적 이해 모색

        신주철(Shin, Jucheo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0

        근래 외국인이나 외국 국적을 가진 재외동포 후손들의 한국 대학 진학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학교육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 대학에 진학한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문학을 교수하는 보다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서 전개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 교양 한국문학교육에서 문학-문화 통합 교육이라는 관점을 적용한다. 그리고 교육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는 한 사례로서 답사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한국문학 교양강좌의 교육적 성공 여부의 큰 변수의 하나는 학습자들이다. 그들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교양 한국문학강좌의 경우 한국문학사와 작품의 배면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의 역사, 사회 등에 대한 교수가 동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필자는 답사 프로젝트 수업이 학생들을 능동화하여 자율적으로 지식을 모색하고 자기화 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판단한다. 본고의 논의에서 기획된 답사지는 서울의 종로이고 수업 목표는 종로 문화유산과 그에 관련된 문학작품을 함께 살펴 이해와 감상력을 높이는 것이었다. 필자는 답사 프로젝트를 이끌기 위해 학생들에게 3단계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첫째는 답사 프로젝트의 실현 전 단계로 계획, 조사 등을 수행한다. 둘째는 프로젝트 수행 단계로 자신들이 선정하여 조사한 대상을 답사한다. 셋째는 평가와 마무리 단계인데 강의실로 돌아와 자신들이 계획하고 목표로 했던 바의 성취도와 답사 프로젝트의 의의를 정리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단계에서는 체크 리스트를 만들어 기획력을 높이고 문제를 줄이도록 하였다. This study applies a combined literature and culture education to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liberal arts targeted towards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it suggests a field study project as an example. In lectures on Korean literature in liberal arts for foreign student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current state of the process, furthermore, and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Korean literature as part of world literature will be taught and learnt. One of the main successive factors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such content depends on learners. For the foreign students, teaching Korean history and society that are the background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literary works that should be accompanied with. For the very reason, it is desirable to be combined with cultural education. The author reasons that the field study project is a method that helps the learners to inquire independently and absorb knowledge as their own. The intended location for this lecture was Jongno, Seoul, and the goal of the class was to develop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by looking into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regarding literary works of the intended location together. The author let the students follow three steps to lead the project: first, it was a pre-stage for the field study project for which they planned and investigated. Second step was a stage for carrying out the project, students visit the place they chose and investigated. Third, was the evaluating and finishing stage, students organiz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aning of the project. In each step, they made a checklist in order to improve the planning and reduce problems. 근래 외국인이나 외국 국적을 가진 재외동포 후손들의 한국 대학 진학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학교육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 대학에 진학한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문학을 교수하는 보다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서 전개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 교양 한국문학교육에서 문학-문화 통합 교육이라는 관점을 적용한다. 그리고 교육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는 한 사례로서 답사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한국문학 교양강좌의 교육적 성공 여부의 큰 변수의 하나는 학습자들이다. 그들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교양 한국문학강좌의 경우 한국문학사와 작품의 배면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의 역사, 사회 등에 대한 교수가 동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필자는 답사 프로젝트 수업이 학생들을 능동화하여 자율적으로 지식을 모색하고 자기화 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판단한다. 본고의 논의에서 기획된 답사지는 서울의 종로이고 수업 목표는 종로 문화유산과 그에 관련된 문학작품을 함께 살펴 이해와 감상력을 높이는 것이었다. 필자는 답사 프로젝트를 이끌기 위해 학생들에게 3단계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첫째는 답사 프로젝트의 실현 전 단계로 계획, 조사 등을 수행한다. 둘째는 프로젝트 수행 단계로 자신들이 선정하여 조사한 대상을 답사한다. 셋째는 평가와 마무리 단계인데 강의실로 돌아와 자신들이 계획하고 목표로 했던 바의 성취도와 답사 프로젝트의 의의를 정리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단계에서는 체크 리스트를 만들어 기획력을 높이고 문제를 줄이도록 하였다. This study applies a combined literature and culture education to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liberal arts targeted towards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it suggests a field study project as an example. In lectures on Korean literature in liberal arts for foreign student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current state of the process, furthermore, and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Korean literature as part of world literature will be taught and learnt. One of the main successive factors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such content depends on learners. For the foreign students, teaching Korean history and society that are the background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literary works that should be accompanied with. For the very reason, it is desirable to be combined with cultural education. The author reasons that the field study project is a method that helps the learners to inquire independently and absorb knowledge as their own. The intended location for this lecture was Jongno, Seoul, and the goal of the class was to develop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by looking into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regarding literary works of the intended location together. The author let the students follow three steps to lead the project: first, it was a pre-stage for the field study project for which they planned and investigated. Second step was a stage for carrying out the project, students visit the place they chose and investigated. Third, was the evaluating and finishing stage, students organiz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aning of the project. In each step, they made a checklist in order to improve the planning and reduce problems.

      • KCI등재

        ‘사랑’ 은유 개념화에 나타난 환유의 인지적 작용 -신승훈의 가요를 중심으로-

        우메무라마유미 ( Mayumi Umemura ),신주철 ( Jucheol Shin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7 언어와 문화 Vol.13 No.3

        How could we conceptualize and express the abstract feelings of 'love' in our daily lives? The cognitive semantics claim that it can be shaped by the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of abstract emotional states. According to Kὅvecses(2005), physiological metonymy provides cognitive motivation to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and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natural because it is founded on physiological metonymy. This paper looks at the process how the emotion of love could be conceptuali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t that metonymic experience becomes the foundation of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It especially focus on the cognitive correlation of metonymy and metaphors through Shin Seung Hun‘s songs. This study also tries to extend to community perspective so that it could look further into the Korean public’s cultural characteristics towards love by means of metonymic experience on which to base the metaphor conceptualiz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