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0 대 여성 성 (Sex) 에 관한 연구

        이찬,구병삼,박영주,김탁,신재철,송준,홍명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청소년기의 성에 있어서 사람들은 특히 인간의 성(Human sexuality)에 대해 항상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인격형성과 자아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성(sex 의식)은 태생기에서부터 유래되어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내분기계통의 급격한 발달(특히 시항하부-뇌하수체-난소축의 호르몬분비)은 특이한 신체에 생물학적 변화와 발달을 초래케하여 2차성징을 나타내고 내분비계의 영향을 받아 생리적 기능의 변화로 생식기 고유의 발달과 생식기능이 성숙되면서 동시에 사춘기의 심리적 변화와 이성에 대한 강한 성적욕구가 발생되면서 이는 성적충동과 행동으로 표출하게 된다 (Gordon, 1976; Cheryl et al., 1978; Robert et al., 1994). 이와같은 청소년기(특히 사춘기)의 성적욕구와 충동은 인간본능의 자연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도덕과 질서속에서 억제 또는 은폐되는 것이 보편적 상황이며, 청소년기가 지니고 있는 성충동과 관심, 그리고 성행동(위)은 성인사회에서 표면적으로도 부인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갈등과 좌절에 봉착하게 된다고 하겠다(Godeon, 1976; Robert et al., 1994). 이와같이 청소년기가 지니고 있는 성의 본능은 청소년 자신이 억제하는 자제력과 발산 및 승화하는 것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성(의식)의 발달을 유지해 나가도록 선도하며 건전한 자아기능을 갖도록 하여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구문명의 유입으로 인한 청소년들의 개방적인 성문화와 급속도로 발달되어 온 사회, 경제적 풍요로움과 산업화 및 도시화가 가져다 주는 성에 대한 도덕적 규제가 엄격화되면서 청소년들의 혼전 성문제로 인한 여러가지 부작용과 사회적 문제(미혼모 등)로 까지 야기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구자옥, 1991; 김영희, 1992). 10대 여성의 성관계와관련된 임신은 모자보건 차원에서 모체 자신에게 미치는 부작용(성병)이나 합병증의 보다 많이(관리소홀, 빈혈, 임신성 합병증 등) 수반될 수 있으며 저체중아의 출생빈도도 높다(Fra-ser et al., 1995; Mahfouz et al., 1995). 이와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많은 나라들이 특히 선진국들은 10대 여성들이 계획되지 않은 임신을 피할 수 있는 교육과 피임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족계획(피임법) 서비스의 제공과 학교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는 등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청소년 및 10대 여성들의 성문제와 관련된 실태 및 연구들을 보면 단편적이며 광범위한 거국적인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김영희, 1993; Ketting et al., 1994; Benson et al., 1995; Harvery at al., 1995; Klepinger, 1995; Levinoson, 199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13~19세)들의 $quot;성$quot;에 대한 실태와 10대 여성들의 성문제를 파악하고자 만13세에서 19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남한의 7개 도시를 조사지역으로 하여 1년간(1994년부터 1995년까지) 11,42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향후 청소년의 성문제의 선도와 교육을 통한 사회 및 개인의 복지(wellbeing) 차원에서 선도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한국 10 대 여성의 초경에 관한 연구

        이찬,구병삼,박영주,김탁,신재철,문준,오민정,홍명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우리나라 6대 도시 여중,고생 11,339명과 안산시의직장여성 85명을 대상으로 하여 초경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에서 초경연령의 범위는 9세부터 20세였고, 평균 초경연령은 13.24세였다. 2. 중학생의 경우에는 평균 초경연령이 12.96세였으며, 고등학생에서는 13.28세였다. 3. 우리나라 여성에서의 초경연령은 과거 50년간 10년에 평균 6.6 개월씩 낮아져 왔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향후 7-8년 후에는 초경연령이 선진국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4. 신장과 체중은 초경연령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외에도 부모의 연령, 아버지의 직업, 부모의 학력 및 가정 불화 등이 초경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초경후, 전체 대상자 중 33.3%에서 월경주기가 불규칙하였고, 77.8%가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6대 도시의 1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향후 전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이번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초경연령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nset of menstruation is important landmark in female development. Menarche is an identifiable event in the gradual couse of pubertal development.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ge at menarche is affected by nutrition, body composition and socioeconomic factors including socioeconomic status, family size, public and individual health. The age at menarche had been getting earlier during the past century. This secular trend has been regarded as a positive indicator of a population`s status of health. But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an halted or upward trend in the age of menarche, perhaps a reponse to som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ge at menarche, the secular trend of age at menarche and the comparison whti other countries. We also investigated a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time of menarche. The subjects survey were 11,424 adolescent girls from 6 large cities in Korea who asked a carefully planned questionnaires between September 1994 and August 1995. In the girls survey, the age at menarche ranged from 9 to 20 years with a mean of 13.2 years. About 60% had menarche before the age of 14 years, and over 97% of them before the age of 16 years. In middle schoolgirls, the mean age at menarche was 12.96 years, and a great number of them experienced menarche beween the 6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2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But 3.7% of them had notyet menstruated. In high schoolgirls, the mean menarcheal age was 13.28 years, and a great number of them experienced menarche between the 6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3rd grade of the middle school. According to birth year, the age at menarche was 16.0 years for 1930 in Korea and has been gradually earlier to 13.2 years for 1980. The extent of getting younger at menarche was 6.6 months per 10 years. The timing of menarche was strongly linked to height and body weight of girls. Highly sig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age and daughter`s age at menarche was seen. The daughters of farmers and fishers ahd the higher age of menarche than the daughters who had other paternal occupation. The girls who had high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d a early onset of menstruation, and early onset of menarch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mily conflict. Irregular menstruation was reported by 33.3%, oligomenorrhea by 1.2%, and polymenorrhea by 6.7% of participants. Premenstrual syndrome was seen by 77.8% of girl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downward trend in menarcheal age was still going on in Korea. So when using age of menarche as a indicator of children`s health, the development of Korea has been positive until now. The factors that affect age at menarche were body size, parental age, paternal occupation,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