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南遷日錄」 의 문화적 의미 -落魄의 기록, 文化가 되다.-

        신승훈(Shin, Seunghu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8 No.-

        「남천일록」1801년부터 1806년까지의 경상도 기장현에서 유배를 살았던 심노숭이 보고 듣고 생각한 것을 기록한 일기입니다. 「남천일록」은 유배 기간을 거의 빠짐이 없이 충실히 기록했다는 점에서 유배일기임이 분명합니다. 시간이 나고 날씨가 좋으며 특별히 볼만한 것이 있을 때면 나들이를 하였기에 나들이의 기록입니다. 낯선 고을의 특이한 풍속을 기록한 것이기 에 풍속의 기록이기도 합니다. 역사와 인물에 대한 평에서부터 詩文과 書畫 에 대한 품평이 있기에 논평의 기록입니다. 음식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음식 과 그 재료에 대해 기록하고 있기에 음식의 기록입니다. 생계를 위한 수단 이었으나, 서당을 운영하며 학동들과의 서당생활을 기록하였기에 서당의 기록이기도 합니다. 또 생활인으로 하루하루를 유배지에서 힘겹게 살아낸 생활의 기록이기도 하였습니다. 그것은 달리 말해, 문화를 기록한 것입니다. 또 그 기록들을 통해「남천일록」은 그 자체가 하나의 문화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Namchunyilrok(南遷日錄)」 is a diary that records what he saw and listened to by Sim, Nosuung, who lived in exile in Kyongsang Province from 1801 to 1806. It is obvious that 「Namchunyilrok」 is an exile diary because it recorded faithfully without missing the period of exile. It is a record of outing because time is good, weather is good, and there is something to look at especially. It is also a record of customs because it records the unusual customs of strangers. It is a record of commentary because there is a comment on history and character from poetry and drawing. It is a record of the food because it records various kinds of food and the material about the food. It was a means of livelihood, but it is also a record of the Seodang because it records the life of the Seodang with the schoolchildren. It was also a record of daily living as a living person and surviving in exile. In other words, it is a record of culture. Through these records, I think that Namcheon Ilchulbong became a culture itself.

      • KCI등재

        반가상화 환경 Guest OS보호를 위한 효율적인 서비스 거부 공격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신승훈(Seunghun Shin),정만현(Manhyun Jung),문종섭(Jongsub Moo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2 No.3

        최근에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비용 절감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크게 이슈화 되도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보안 안전성이 제대로 검증이 되지 않아 대중적으로 사용하기엔 한계가 있다. 특히, Guest OS에 대해 보안 취약점이 그대로 드러나 있어 좀비 PC로 활용되어 서비스 거부 공격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en으로 구현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Guest OS 취약점으로 인해 좀비 PC로 사용되어 발생될 수 있는 내부 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해 Xen에서 발생되는 하이퍼콜 빈도수를 이용한 침입 탐지 방안에 대해제안 한다. 실험을 통해서 K-means와 EM을 사용하여 제안된 방법이 2분, 5분, 10분, 30분 동안 수집한 두 데이터가 2분, 5분일 때 90%이상 10분 이상일 때 100% 분류율을 모이며 성공적으로 분류가 가능함을 보였다. Recently, cloud computing service has become a rising issue in terms of utilizing sources more efficiently and saving costs. However, the service still has some limitations to be popularized because it lacks the verification towards security safety.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to induce Denial of service is increasing as it is used as Zombie PC with exposure to security weakness of Guest OS’s. This paper suggests how cloud system, which is implemented by Xen, detects intrusion caused by Denial of service using hypercall. Through the experiment, the method suggested by K-means and EM shows that two data, collected for 2 mins, 5 mins, 10mins and 20mins each, are distinguished 90% when collected for 2min and 5min while collected over 10mins are distinguished 100% successfully.

      • 토양수분 공간분포 예측을 위한 수문연결성 기반 토양 매개변수 추정 기술

        신승훈 ( Seunghun Shin ),박근형 ( Geunhyung Park ),신용철 ( Yongchul Shin ),장근창 ( Keunchang Jang ),천정화 ( Jung-hwa Chun ),김종건 ( Jonggun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수문학적 연결성(hydrological connectivity)은 유역 수문학에서 지표흐름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 제안되고 활용되어왔다. 이는 복잡하고 공간적으로 이질적인 지표에서 토양 수분 변동성을 특성화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기존의 수문모형에서는 불포화 영역에서의 흐름 경로 연속성과 연결된 지표하 특성 패턴을 적절히 설명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으로 분포된 지하 흐름을 더 잘 이해하고 수문 모델링(SWAT)에서 토양 수리학적 특성의 매개변수를 개선하기 위해 물리적 토양 및 지면 속성 기반 수문학적 연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재조정하고 이를 통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우선 토양수분의 공간분포 특성과 연관이 있는 토양속성, NDVI, 지형도 자료를 활용하여 토양수분자료와의 상관성 및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러한 가중치를 기반으로 물리적 속성을 결합한 새로운 공간분포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임계값에 따른 수문학적 연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SWAT 모형에서 토양수분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Sol_AWC와 Sol_K 변수를 재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물리적 속성 기반 수문학적 연결성 자료를 활용하여 토양 수분의 공간적 변화를 잘 설명할 수 있고 보정된(분산된) 토양 수리학적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기존 모델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과수지역 토양수분 시공간 분포 예측 및 적정 관개량 산정기술개발

        신승훈 ( Seunghun Shin ),박근형 ( Geunhyung Park ),김희태 ( Hee-tae Kim ),최용훈 ( Younghun Choi ),김종건 ( Jonggun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식물 생장에 있어 토양에서의 수분스트레스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토양수분 스트레스는 토양에서 흡수하는 수분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을 증산작용으로 잃어버리는 등 수분 과부족에 의해 겪게되는 생리적 반응을 말한다. 과도한 토양수분 또한 공기부족으로 인해 상당한 스트레스를 준다. 이러한 토양에서의 수분스트레스를 막기 위해서는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예측을 통한 적정 관개량의 산정이 중요하다. 현재 노지작물 재배를 위한 관개기술은 토양수분 및 기상정보(작물 증발산량)를 바탕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다양한 토양의 특성을 구현하거나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를 대표하기에는 다소 어려우며, 과다 산정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시공간 분포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근역층 토양수분 모의를 통해 노지작물 수분스트레스 및 관개량을 산정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강원도 춘천시 사암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는 과수원을 선정하여 토양수분의 공간분포와 토양깊이에 따른 토양수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이는 과수지역 근역층에서의 토양수분 공간분포 예측을 위한 APEX 모형의 수분 모의 매개변수 추정 및 검증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 과수 대상지역에서 토양수분 기반 수분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지점을 예측하였으며, 이에 따른 적정 관개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토양수분 모의 모델을 활용하여 수분의 공간분포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밀농업에서 요구하는 적정 관개량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토양 온도의 공간분포를 반영한 수질 모의 정확성 평가

        신승훈 ( Seunghun Shin ),이서로 ( Seoro Lee ),박근형 ( Geonhyoung Park ),김종건 ( Jonggun Kim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유역모형에서 지표면 및 지표하 토양수분과 토양온도의 공간분포는 물순환 과정 및 수질 모의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 선행 연구에서 확인되었듯이 유역 내 지표면에서 토양수분의 공간분포에 따라 최종 유출구에서의 유출량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역 모형에서 토양온도의 경우는 지표하에서 침루를 발생 조건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토층별 온도는 질소와 인의 분해과정에 적용되고 있는 주요 변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에서 지표 및 지표하 토양온도의 공간분포를 반영하여 유역 유출구에서 수질모의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SWAT 모델을 통한 유역 규모 수문모델링에서 정확한 토양 수분 모의를 위해 Sentinel 1 A/B 와 같은 원격 탐사 자료를 통해 이용가능 토양수분(Sol_AWC)와 포화수리 전도도(Sol_K)의 재산정하여 토양수분의 공간분포 특성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and surface temperature(LST) 원격탐사자료 기반의 토양온도 공간분포 특성을 통해 토양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표에서 층 바닥까지의 깊이(Sol_Z), 습윤 부피 밀도(Sol_BD), 습토 반사계수(Sol_ALB) 3가지 매개변수를 재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토양 온도의 공간적인 분포에 따라 하천 수질 모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역 모형 활용시 유출구에서의 모델 매개변수 보정뿐만 아니라 유역 내에서 토양 수분 및 토양 온도의 공간적 분포의 반영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Hand Tracking을 이용한 가상현실 전시관과 상호작용 콘텐츠 제작

        신승훈(Shin, Seunghun),임수연(Lim, Sooye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핸드트래킹은 마이런크루거의 미디어 파사드 형식으로 영상을 기초한 인공현실 개념을 적용한 비디오 플레이스와 제런레니어의 3D 그래픽을 적용한 가상현실 개념의 데이터 글러브와 HMD를 통해 사용자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키넥트, 립모션 등 카메라와 심도 검출이 가능한 장비를 통해 더욱더 정교한 손동작을 컴퓨터 가상환경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고, 현재 오큘러스 퀘스트 등 가상현실 기구에 적용되면서 사용자와 가상현실을 직관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고 있다. 가상현실 사용환경 발전으로 전시환경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지만, 아티스트 기술한계와 사용자 진입장벽, 기구의 성능과 콘텐츠 다양성 등 다양한 문제로 가상현실은 예술 소재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런 콘텐츠 다양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을 사용자가 더쉽게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는 실제 전시관인 ‘대구미술관 어미홀’을 핸드트래킹을 이용한 가상현실 전시관과 작품을 제작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핸드트래킹 활용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살펴보고 가상현실 사용환경과 인터페이스가 어떻게 발전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콘텐츠 환경 중 핸드트래킹을 활용한 콘텐츠 보급상황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은 3D그래픽 환경과 핸드트래킹을 활용한 환경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핸드트래킹을 활용한 전시환경과 콘텐츠는 부족하다. 셋째, 제작 콘텐츠 평가결과 핸드트래킹을 이용한 가상현실 전시관과 콘텐츠는 평가자에게 입체감과 현장감, 입체음 경험을 제공하였다. 넷째, 평가자는 핸드트래킹을 통해 직관적으로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고 전시 관람을 할 수 있고 작품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핸드트래킹을 이용한 전시콘텐츠와 환경이 사용자에게 더욱 보급되고 더 나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핸드트래킹을 활용한 다중접속 전시 플랫폼 연구가 필요하다. Hand tracking has become widely known to users through video places applying the concept of artificial reality based on images in the form of Myron Krueger’s media facade and data gloves and HMD of virtual reality concepts applying Jaron Lanier’s 3D graphics. Through equipment capable of depth sensing with cameras such as Kinect and LipMotion, more sophisticated Hand Tracking can be applied to computer virtual environments, and are currently applied to virtual reality devices such as OculusQuest and is used as an interface to intuitively connect users and virtual realit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for the exhibition environ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virtual reality use environment, but virtual reality has limitations in using art materials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artist technology limitations, user entry barriers, and device performance and content diversity. This paper was initia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content d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nd evaluate virtual reality exhibition halls and works using hand tracking at the Daegu Museum of Art’s Mother Hall, an actual exhibition hall where users can understand and experience virtual reality more easil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confirm the legitimacy of the use of Hand Tracking and confirms how the virtual reality use environment and interface develop. The content distribution status using hand tracking among the content environments was confirmed.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virtual reality is developing into a 3D graphic environment and an environment using hand tracking. Second, the exhibition environment and content using hand tracking are insufficient. Third, as a result of the production content evaluation,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hall and content using hand tracking provided the evaluator with a three-dimensional feeling, realism, and three-dimensional sound experience. Fourth, evaluators can intuitively interact with content and watch exhibitions through hand tracking and understand works. Based on thes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a multi-access exhibition platform using hand tracking that can be used by multiple users at the same time as exhibition content and environment using hand tracking are further spread to users.

      • 네트워크 응답시간을 고려한 웹 캐시 교체 정책

        신은희(Eunhee Shin),서진모(Jinmo Seo),신승훈(Seunghun Sihn),박승규(Seungkyu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A

        최근 인터넷 기반 서비스 환경의 질적개선과 이에 따른 이용자 증가에 따라, 오디오나 동영상과 같은 규모가 크고 동적 특성을 가진 웹 컨텐츠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hit ratio’ 뿐만 아니라 오브젝트의 크기를 기반으로 하는 ‘byte hit ratio’ 또한 캐시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측정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측정기준을 대상으로 할 때, 기존의 웹 캐시 교체 정책중 HP연구소의 GDSF(Greedy-Dual-Size with Frequency)알고리즘과 LFU-DA(LFU with Dynamic Aging)알고리즘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웹 캐시 교체 정책은 서버와의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전송비용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버와 웹 캐시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캐시 교체 정책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응답시간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시계열 영상자료 기반 농경지 경계 추출 및 공간분포 변화 분석

        박근형 ( Geonhyoung Park ),신승훈 ( Seunghun Shin ),이찬희 ( Chanhee Lee ),김종건 ( Jonggun Kim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기존 연구에서는 특정 기간에 촬영된 영상 자료를 통해 토지피복을 분류하여 왔다. 주로 토지이용분석 시 환경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토지피복도 공간분포 자료(대분류, 중분류, 세분류)를 제공받아 활용하고 있으나, 시간 해상도가 낮아 토지이용 변화의 양상파악에 한계가 존재한다. 정확한 농경지 면적산정은 식량생산 측면, 농업용수 관리 측면 등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 해상도가 높은 Sentinel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5년치 월별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농경지 경계 추출 및 공간분포를 분석을 하였다. 농경지(논, 밭, 과수 등)의 경우 시기별 그 변화가 뚜렷하여 시기별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더 정확한 토지이용분류가 가능하다. 연구 대상지는 과수의 경우 춘천 동내면 소재 과수밀집지역, 논, 밭의 경우 원주 흥업면 소재 논, 밭 밀집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월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논, 밭, 과수의 경우 특정 시기에 따라 특정 패턴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감독/비감독 분류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시계열 영상자료를 통한 농경지 (논, 밭, 과수) 토지이용 공간분포 분석시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