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평가정책 평가 연구

        신상명 ( Sang Myong Shi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4 중등교육연구 Vol.52 No.2

        This paper looks at policy on school evaluation system in Korea.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policy-makers with professional, systematic diagnosis and recommendations so that they may reflect on their practices and have opportunity to gain professional advice on their job. A further aim is to identify the weakness and strength of school evaluation policy,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attempt to raise national level, in order to draw out th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The paper consists of two major part. In the first part the researcher developed a policy evaluation model for school evalu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s. To make evaluation a more insightful and useful tool for the policy, several principles established at various levels. First, policy should always be very much typology and regulation oriented, attempting to identify decision-makers and serve their information needs. Second, the basic function of policy evaluation is to help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the policy and its quality.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the researcher tried to adapt the model in school evaluation system in Korea. (Kyungpook National Univ.)

      • 교육행정의 지역화에 대한 요구와 대응 과제

        신상명 ( Sang Myong Shin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1 교육학논총 Vol.32 No.2

        그동안 지역화의 문제가 교육행정적인 측면에서는 주로 교육자치의 문제로 간주되어 권한의 배분문제에 치중되어 왔는데, 이제는 권한의 배분문제를 넘어서서 지역의 교육행정적 역량을 강화하는 관점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본적인 역량보다는 지역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는 차별화된 역량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동시에 이러한 차별화 역량은 창의성으로부터 기인한다는 인식이 필요한 때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교육행정 지역화 과제들을 살펴보았다.논의된 주요 과제들은 첫째, 기관운영에 창의경영체제가 도입되어야 하고, 지역교육 거버넌스가 구축되어야 하며, 지역의 정책 수립 기능 확보, 자주적인 재원확보와 지출의 전제, 지역화된 정보관리시스템으로의 전환 필요, 지역인사제도로의 전환 필요, 창의성을 유발하는 평가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demands and tasks for localiz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creativity management is needed in managing a school for performing their core competencies in best. At the same time, for utilizing local resources in best, local governance must be constructed in education sector with networking system. Second, making sure of competencies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policies by self likewise financial autonomy. Third, information system also needed in change from nation wide to specified local area. Simultaneously, personnel system should be changed from homogeneity to diversity in terms of management system. And finally creative evaluation system needed in school area instead of current unified one. This study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way how to manage educational systems in local area and related to this, how to make local governance systems for utilize their latent core competencies, and how to make school based management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교육행정직 역량 요인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이주희(Lee, Joo-Hee),신상명(Shin Sang-My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교육행정직의 역량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 27편을 종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수 행한 일종의 메타분석 연구이다. 원문에서 추출한 276개 역량을 47개 역량으로 정제하여 분 석한 결과, ‘의사소통’이 교육행정직 역량 중에서 가장 높은 중심성(centrality)을 나타냈으며 이어 ‘기획력’, ‘고객지향’, ‘팀워크’, ‘정보기술 활용’, ‘목표설정 및 관리’로 분석되었다. 소속별로 국립대학 vs. 시·도교육청 및 각급학교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의사소통’ 과 ‘기획력’은 가장 중심성이 높은 역량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립대학의 경우에는 ‘동기부여’, ‘인간관계’, ‘직무지식’, ‘정보수집 및 관리’ 등이 클리크(clique)를 형성하며 소속 특성을 보였 고, 시·도교육청 및 각급학교에서는 ‘교육정책 이해’, ‘교육법 이해, ‘재무회계’,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이 소속 특화된 역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행정직 역량 요인들 간의 연결정도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역 량 관련 연구에도 거시적 패턴 속 에서 미시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분석 방법 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kind of meta-analysis with 27 researches which explains competency factors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using network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ommunication' is the highest centrality, and 'planning', 'customer orientation', 'teamwork',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nd 'goal setting and management' are next. Analysis result depending on organization also shows 'communication' is the highest centrality. Meanwhile national universities form a clique with 'motivating', 'human relationship', 'job knowledge', 'information gathering and management' and shows specific characteristics. Local offic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offices of school form a clique with 'understanding educational policy', 'understanding educational law', 'financial accounting',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development'. This result let us know the degrees of connection, structures of competency factors, and shows feasibility which can find micro analysis from patterns when researching on competenc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구종서 ( Goo Jong Seo ),신상명 ( Shin Sang Myo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1

        본 연구는 학교조직의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있는 교사의 스트레스 및 직무 소진을 예방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정책을 실천하며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구 및 경북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하여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 간의 경로계수와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기부여와 잡 크래프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집적 효과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기부여가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간접 효과 또한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리자는 교사의 긍정적 동기부여를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야할 필요가 있으며, 업무, 인지, 관계 및 협력 크래프팅의 관점에서 알맞은 전략적 지원 방안을 제공해 주어 교사가 학교조직에 자발적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동기부여와 잡 크래프팅이 교사의 조직몰입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학교현장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는 지속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prevention of stress and job exhaustion in school organizations, while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policies and ensuring efficiency. It targe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jurisdiction of the Daegu and Gyeongbuk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job crafting model, the path coefficient,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analyzed. The study showed that the direct static effects of both motivation and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significant. The indirect static effects of motivation through the medium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also 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provide a variety of opportunities for members to increase motivation, and provide appropriate strategic support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ask-crafting, cognitive-crafting, relationship-crafting and cooperative-crafting, so that teachers voluntarily involve themselves in school organizations. In addition, motivation and job crafting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increasing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further research related to this area of the school environment needs to continue.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구종서 ( Goo Jong Seo ),신상명 ( Shin Sang My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3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아직까지 연구가 부족한 잡 크래프팅과 관련하여 교사의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대구교육청과 경북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 간의 경로계수와 직접효과·간접효과·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기부여와 잡 크래프팅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정적 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기부여는 잡 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정적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자면 학교 관리자는 잡 크래프팅이 제한되지 않도록 구성원들의 동기부여를 직무욕구, 자아 욕구, 관계 욕구 측면에서 증진시켜줄 방안을 찾고 직무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또한 동기부여와 혁신행동 사이에서 잡 크래프팅이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보았을 때 혁신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잡 크래프팅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관리자 스스로가 잡 크래프터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잡 크래프팅 및 혁신행동이 변화하는 환경에 따른 정책을 실천하고 업무를 재창조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잡 크래프팅 및 혁신행동은 중요한 연구 변수가 될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eachers' motivations, job-crafting and innovative behavior in connection with job-crafting, which is still lacking in research at school sit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analyzed the route coefficient an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between motivation, job cre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Studies have shown that both motive and job crafting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directly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at motivation is also significant in indirect static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 by using job crafting as a mediu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find ways to enhance the motivation of their members in terms of job needs, self-interests and relationship needs so that job creation is not restricted and support them to design their job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job-crafting has a static mediating effect between motivation and innov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s' job-crafting in order to improve innovative behavior and allow managers to act as job-crafters themselves. In addition,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can be important research variables given that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can affect policy implementation and task reinvention in accordance with changing environments.

      • KCI등재

        자유학기제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직무행태 분석

        이은화(Lee, Un Wha),신상명(Shin Sang-My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정책이 집행되는 과정에서 정책의 본래 의도와 목적이 정책을 집행하 는 일선교사가 처해 있는 직무환경에 따라 어떠한 직무행태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 구의 결과 자유학기제를 직접 집행하는 중학교 1학년 담임교사와 자유학기제 업무와 관련 있 는 담당교사들은 잦은 출장과 공문서 처리로 시간과 인적 자원의 부족을 호소하였으며, 자유학 기제 업무를 교사의 필수 업무 이외의 새롭게 부과된 업무라는 인식으로 기피하고 부담스러워 하는 양상을 보이며 업무의 과중함에 대한 피로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책의 본래 의도와는 다르게 자유학기제를 바라보는 교사와 학부모의 기대는 달랐으며, 새로운 업무에 대한 부서 간 충돌로 인해 자유학기제 업무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처하면서 회피하려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 는 Lipsky의 일선관료모형과 유사한 대응전략을 보이는 부분도 있었지만 힘든 환경 속에서도 학생의 행복과 보람을 찾으려는 교사 특유의 직무행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the new education policy affects the policy's original intent and workplace actions based on the teacher's workplace environment. In result, first-grade middle school homeroom and associated teachers of the Free Semester Program(FSP) appeal to the lack of time and human resources due to frequent business trips and document processing. FSP-associated work was avoided due to the perception of it being unessential and demanding. as well as the teachers expressing their fatigue resulting from the heavy workload. Also, the conflicting role expectations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chool departments lead to an outcome contrary to the original intent of the policy. The conflict between departments due to adjustments to the new workplace environment lead to passive reaction and avoidance of the program. These results are not only highly similar to Lipsky's street-level bureaucracy response strategy, but also have shown the teachers' optimism in difficult situations.

      • KCI등재

        교장공모제에 대한 미시정치적 분석

        임미화 ( Mi Hwa Lim ),신상명 ( Sang Myong Shi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1

        교장공모제는 기존의 교장 임용방식이 지니고 있는 한계와 문제를 개선하고, 자율성과 책무성을 강화하여 학교교육의 변화를 주도할 새로운 리더로서 능력 있는 교장을 선발하기 위한 제도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학교는 교장공모과정에서 조직 내·외의 구성원들 (교원, 교직원, 학부모, 지역인사 등)간의 서로 다른 이해관계로 인하여 많은 갈등과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장공모제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교 내·외부의 구성원들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미시정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장공모제의 선발 과정에서 아무리 타당한 선발기준을 제시하고 공정한 절차를 거친다 하더라도 개인의 선호와 가치, 이해관계에 따라 이익 집단을 형성하고, 개인과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하며 자기사람 심기, 통제하기, 비방과 모함하기, 회피하기 등의 전략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장공모제에 있어서 학교구성원들은 개인과 집단이 추구하는 이익과 가치의 차이를 인정하고, 나와 같은 의견을 가진 사람은 동지가 되지만 나와 같지 않으면 적이 된다는 논리가 아닌, 합리적인 관점에서 나와 다른 생각과 기호에 대해 수용하는 태도를 가져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micro-political perspective on the interactions between members of in and out of school in the process of selecting school principals which followed merit selection system. It mainly focused on the power and strategic actions taken by each interest groups in order to obtain their own goals. The results showed that every members involved formed their own interest groups to maximize their interest, regardless of having valid criteria or fair procedures. Furthermore, they utilized various sorts of power, which includes legitimate power, professional power, and referent power, and various kinds of strategies such as taking controls, slandering, backbiting, as well as avoidance strategy. The result implicates that school members need to acknowledge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other`s interest and value and take more receptive attitude toward different ideas.

      • KCI등재

        학교 경영의 가외성(加外性)탐색

        이경순 ( Kyoung Soon Le ),신상명 ( Sang Myong Shi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에서는 학교 경영에서 가외성이 주는 함의를 탐색해 보기 위하여 학교 경영에서 나타난 가외성의 형태,기능,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학교경영에서의 가외성은 제로 가외성,총체적 부의 가외성,부분적 가외성,총체적 정의 가외성 형태들이 있었다.연구 대상은 시내 중심지에 위치한 Y초등학교이고,분석 자료는 Y 초등학교에서 학교 교직원을 통하여 얻은 면담 자료 및 문서 자료이다.분석 방법은 학교 경영의 영역별로 가외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범주화하여 분석 단위를 결정하였고,분석의 비신뢰성,비타당성,비객관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목화,서열화,평정화 하는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범주화된 문서 자료와 면담 자료 중 내용이 일치되는 공통 요인만을 채택하여 해석의 대상으로 삼았다.연구의 결과,제로 가외성과 총체적 부의 가외성은 학교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부분적 가외성과 총체적 정의 가외성은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This study surveyed the forms, functions, and effects of redundancy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redundancy in school management. There are four types of redundancy in school management: totally positive redundancy, partial redundancy, totally negative redundancy, and zero redundancy. The subject school of study is Y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s and document papers. The units of analysis were subject to categorizing the school management fields related to redundancy contents. And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was used in rating, ranking, listing materials The objects of interpretation were chosen from among the overlapping factors between contents of interviews and documents in the categorized fields. Consequently, we conclude that partial redundancy or totally positive redundancy can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structure of school management and as a way for effective school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