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낱말의미검사 개발을 위한 타당성 예비연구

        신문자(Moon Ja Shin),최숲(Soop Choi) 한국언어치료학회 2013 言語治療硏究 Vol.22 No.1

        This pilot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Word Semantic Test (WST) which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semantic knowledge of word association, word definition, and semantic absurditi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WST was developed through a research review in which six SLPs evaluated content validity. The REVT (Kim et al., 2009) and the WST were then applied to 84 normal grade 1-3 children. Constructive validity through correlations between total and subtest scores was measured, as was concurrent validity through correlation between the WST and the REVT Reliability was measured by Chronbach’s α. The result show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word association, semantic absurdities, and total score. The content validity index was found to be a minor characteristic, whereas correlations between the REVT and these test scores were significa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and subtest’s scores. Chronbach’s α. value for the total score was .82.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is developing test was relatively reliable and valid but that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content with high-frequency words and to standardized the test on the basis of results with a much larger sample of children.

      • KCI등재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 쓰기에 나타난 문해적 어휘 발달 종단 연구

        신문자(Shin, Moon Ja),이희란(Lee, Hee 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본 연구에서는 한 초등학교 학생의 1-4학년 일기 쓰기에 나타난 문해적 어휘 (literate lexicon)발달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년과 학기가 올라감에 따라 문장 수준에 나타난 추상명사, 고빈도 학습도구 어휘, 한자어, 그리고 인지동사의 발달을 일기문을 통해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년이 올라가면서 전체 문장 수가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인 어휘의 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1학년 에서 2학년으로의 이행 시기에는 총 문장수 증가 정도가 보다 두드러졌으며, 특히 4 학년 2학기가 되면서 총 문장수가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어휘 발달의 네 가지 질적 측정치 모두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추상명사는 1학년 2학기에 많은 증가를 보였다. 이와 더불어, 고빈도 학습 도구 어휘와 한자어, 인지동사는 모두 2학년 1학기에 갑작스럽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특히, 네 가지 어휘성숙도 측정치들을 합하였을 때, 2학년이 되면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초등 1학년 2학기부터 아동의 학교 교과 적응이 문해 어휘 사용에 반영되며, 특히 2학년 시기가 초등 문해 어휘 교육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one school-aged child’s diary writing ability with regard to vocabulary production characteristics. The written materials of diary from 1-4 grades of one student were coded and analyzed by lexical maturity, such as abstract nouns,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Sino-Korean words and cognitive verbs. Since the daily writing texts were different, all measures were controlled by the number of Sentences. Results showed that, as the child’s grade level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sentences increased and overall qualitative changes were found. The developmental difference was vari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s among grades, all measures showed a higher frequency for the upper grades. In order to assess a student’s literate lexicon, qualitative analyses of vocabulary such as abstract nouns,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Sino-Korean words and cognitive verbs are necessary.

      • KCI등재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분석

        신문자(Moonja Shin),최소영(SoYoung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배경 및 목적: 말더듬 치료에서 언어치료사가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여러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많은 언어치료사들이 다른 말ㆍ언어장애군의 치료에 비해 유창성장애 치료에 더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경험을 분석하여 중심현상과 관련요인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근거 이론 접근방법에 따라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다섯명의 언어치료사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치료와 관련된 경험들은 “말더듬 치료에 대한 막막함”을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생성시키는 인과적 조건은 “열악한 배움 환경”, “부정적 인식”이었다. 중심현상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인 요소인 맥락적 조건으로는 “부모로 인한 어려움”, “아동의 여건”이 작용하였다. 중심현상의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상황에는 “전문성 개발하기”, “성공적 치료경험”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성공적 치료의 모색”, “치료의 포기”, “치료의 회피”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경험의 유형은 “현실도전형”, “현상유지형”, “현실회피형”으로 분류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언어치료사들이 말더듬아동 치료에 막막함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치료의 막막함에 대한 대처 방안은 치료 현장에서뿐 아니라 학회 및 협회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말더듬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국가와 사회적 측면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scribed by clinicians to stuttering therapies. A substantial number of clinicians have reported more difficulty with fluency disorder therapies than with therapies for other speech disorder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peech pathologists with therapies for stuttering children and, in doing so, to investigate the central phenomenon of those experiences and its causal and contextual factors. Methods: In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speech pathologists with therapies for children who stutter,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ground-theory approach, which is a qualitative methodology. Data were obtained by means of intensive interviews with five speech pathologists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stuttering therapies. Results: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experiences of speech pathologists with children who stutter was found to be a sense of “helplessness with respect to stuttering therapies.” The causal conditions of the central phenomenon were found to be a “poor learning environment”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therapy.” This phenomenon was found to be reinforced by the contextual conditions of “difficulties with parents” and “conditions of the stuttering children.”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herapeutic skills” and “experience with successful therapy” were found to be the remedial factor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henomenon of a sense of helplessness with stuttering therapies. Among the remedial strategies reported for the phenomenon of clinician helplessness were “search for successful therapies,” “abandonment of therapy,” and “avoidance of therapy.” The experiences of speech pathologists with therapies for children were classified as “challenging type,” “status quo type,” and “avoiding type.” Discussion &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volved in the sense of helplessness reported by speech pathologists with respect to therapies for children who stut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ny program intended to remedy speech pathologists’ sense of helplessness with stuttering therapies should be managed not only by the clinicians themselves, but also by an academy or professional association. The study further concluded that societal prejudice against stuttering needs to be dealt with at the societal and governmental levels.

      • KCI등재

        말더듬 가계력 연구

        신문자(Moonja Shin),전희정(HeeCheong Chon),이지숙(JiSu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3

        배경 및 목적: 가계력은 말더듬 시작과 관련된 주요한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227명의 2∼6세 말더듬 아동(남자 180명, 여자 47명)이었으며, 각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 여부를 조사하고 가계력의 유형(부계와 모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은 112명(49.3%)으로 나타났다.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 중 일차친족(가족: first-degree relatives)의 말더듬을 보고한 아동들(남자 48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일차친족의 성별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47.9%,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0.0%로 나타났다. 여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7.1%,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가 42.9%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번 결과는 말더듬 아동 가족에게서 높은 비율의 말더듬 가계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결과들을 지지하고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 그리고 말더듬 가계력이 보고된 아동의 부계 또는 모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은 말더듬 집단의 이질성을 시사한다. 또한 말더듬의 시작과 진전은 말더듬이 진행되기 쉬운 유전적 소인뿐 아니라 환경적인 결합 또는 상호작용이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in young Korean children who stutter (CWS). Methods: Participants were 227 CWS, 2 to 6 years of age (180 boys and 47 girls). Information regarding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was collected. Results: In this study, 49.3% of CWS (112 CWS) reported a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Of children whose first-degree relative(s) had stuttering problems (48 boys and 14 girls),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boys was 47.9%,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50.0%.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girls was 57.1%,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42.9%. Discussion & Conclusions: The high incidence of stuttering in the family of CWS supports previous research, which ha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stuttering is higher in stuttering populations. Differences in sex or type of family history (i.e., paternal, maternal), however, were not significant. This may indicate that stuttering is not a homogeneous disorder.

      • SCOPUS

        한국 유창성장애의 유전적 요인에 관한 연구

        신문자(Moonja Shin),이성은(Sung Eu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1

        본 연구는 유창성장애로 진단 받은 2세에서 45세까지의 남녀 229명을 대상으로 유창성장애 가계력을 조사하였다. 자료를 연령별로 나누어 대상자의 성별, 언어문제 유무, 유창성장애 시작연령과 가계력의 유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전체 대상자의 55.0 %가 유창성장애 가계력을 보였으며, (2) 말더듬는 여자의 경우 말더듬는 남자보다 가계력이 있는 비율이 더 높았고, (3) 언어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성인집단에서 가계력이 있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그러나 언어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학령기와 성인집단에서 가계력이 없는 경우가 더 많았다. (4) 말더듬 시작연령은 가계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빨라서, 가계력이 있는 경우는 70.2 %, 없는 경우는 60.0 %가 5세 이전에 말더듬기 시작하였다고 보고하였다. (5) 가계력이 있다고 보고한 126명의 자료를 하위분석한 결과 대상자 성별에 따라 유창성장애 가족의 성별, 부계·모계의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genetic inheritance of 229 stuttering males and females. Subject s, aged 2 to 45,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the preschool- age group, the school- age group, and adult 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in terms of sex, presence or absence of language difficulties, stuttering- onset ages, and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Fifty- five percent of subject s reported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Females who stuttered were found more likely than males stutterers to have stuttering relatives. Among the preschool- age and school- age groups, subjects without language difficulties were no more likely than adult subjects to hav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Adult subject s without language difficulties, however, were more likely to hav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Stuttering- onset ages were earlier for subject s with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than for subject s without it. Differences between sexes were found depending on whether th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was on the paternal side or on the maternal side.

      • KCI등재

        오리진-폰 분석도구로 측정한 말더듬성인의 개별적인 다면적 변화

        신문자(Moonja Shin),이경재(Kyungjae Lee),성진아(Jin-ah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말더듬은 다면적 장애이기에 치료의 진전 지표 역시 다면적이어야 한다. 또한 말더듬 치료는 다양한 내적, 외적 특성의 변화를 목표로 하므로 치료 중 진전은 장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치료를 받은 말더듬성인이 보이는 다양한 내적, 외적 특성의 변화를 장기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말더듬성인이 보이는 변화를 개별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총 8명의 말더듬성인이 보이는 변화를 6개월 동안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주 1회의 개별치료를 받았으며, 특히 치료 초기 3개월 동안 나타나는 변화를 2주에 한 번씩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와 일반적인 주제 관련 인과소를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더불어 치료 초기, 치료 3 개월, 치료 6개월에 인과소 평가와 더불어 파라다이스-유창성 평가-II의 필수과제와 의사소통태도검사, 행동통제소검사, 주관적 말더듬 평가검사를 실시하여 장기간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말더듬성인은 의사소통태도검사와 일반적인 주제 관련 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른 내적, 외적 평가도구에서는 전체적으로 바람직한 변화 양상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더불어 각 개인의 변화 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개별 치료라는 일반적인 형태의 치료를 받는 더듬성인은 치료 중 변화가 매우 개별적이고도 완만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한다. 이에 말더듬성 인의 치료에서는 각 개인에게 적절한 보다 장기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Objectives: Indicators of the change processes of adults who stutter (AWS) should be multidimensional as stuttering is a multi-dynamic disorder. In addition change processes need to be long-term, as various overt and covert features need to be targeted in stuttering treatment. The primary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determine long-term change processes in both the overt and covert features of AWS who received individualized stuttering treatment. Moreover individualized change patterns of the participants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The change processes of 8 AWS were determined in the current study. The participants received individualized stuttering treatment once a week. The locus of causality was determined bi-weekly during the first 3 months of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locus of causality measure, Paradise-Fluency Assessment-II obligatory tasks and communication attitude test, the Locus of Control of Behavior, and the Subjective Screening of Stuttering-Revised were conducted at the beginning, 3 months and 6 months of treatment.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II communication attitude test and general Pawn scores. However most of the other overt and covert measures showed desirable, but non-significant change pattern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showed individualized change patter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 processes of AWS are individualized and slow-tempoed in individualized stuttering treatment. Accordingly, long-term and individualized change plans are required in the treatment of AWS.

      • KCI등재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동음이의어 정의하기

        신문자(Moon Ja Shin),이희란(Hee Ra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정의하기 과제를 통해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동음이의어 표현 특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동음이의어 표현 과제는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의미론적 결함을 살펴볼 수 있는 적절한 도구이며, 이들이 학교생활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교실담화에 참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방법: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15명과 어휘력검사 결과를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15명을 대상으로 15개의 동음이의어 단어들의 전체 정의정확도, 우세의미와 열세의미 각각에 대한 정의정확도, 그리고 정의유형에 대해 두 집단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비교해 동음이의어 전체 정의정확도에서는 수행이 낮았지만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우세의미와 열세의미를 개별적으로 비교한 정의정확도에서도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우세의미에서 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여주었다. 셋째, 집단 간 정의유형을 분석한 결과, 정의정확도와 마찬가지로 우세의미에서 두 집단 모두 정의유형 산출이 더 많았으며, 우세의미와 열세의미에 따른 집단 간 정의유형의 차이는 없었다. 우세의미와 열세의미 정의유형을 합하여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며, 정의유형 산출은 두 집단 모두 물리>기능>관계>분류 순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의미론적 능력 평가에서 동음이의어 정의하기의 질적 분석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특히 단어 선정, 그리고 품사별 분석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flexible word definition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Flexible words are those with one phonological form but two or more distinctive meanings. Methods: Fifteen children with SLI (SLI group) and fifteen vocabulary ability-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asked to define both mean¬ings (a dominant and a subordinate meaning) of the presented 15 polysemous words. The definit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functional, relational, physical, and classifica¬tional definitions. Results: The SLI group exhibited lower performances than the TD group on the definition task, but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ubordinate meaning definitions tested lower than the dominant meaning in both groups. SLI children used significantly fewer types of definitions than the TD group in both the dominant and subordinate meanings, but the two groups’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LI children have similar verbal definition production skills with language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y tend to rely more on domi¬nant definitions whereas lexical ambiguity expressive strategies were available to the typi¬cal developing children. Flexible word definition is considered useful for assessing the vocab¬ulary knowledge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KCI등재

        유창성장애 연구의 최근 동향

        신문자(Moonja Shin),전희정(HeeCheong Chon),이수복(Soo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최근 발표된 유창성장애 치료관련 연구 자료들을 살핌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약 10년간의 국내외의 연구자료 중 말더듬 치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실험연구와 말더듬 중재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2000년부터2009년 사이의 논문 중 유창성장애 관련 권위 있는 학술지인 󰡔언어청각장애연구󰡕, 󰡔언어치료연구󰡕,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JSLHR), 그리고 Journalof Fluency Disorders (JFD)에 등재된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결과: 연구유형별 분석결과,중재(치료효과)연구 29편(37.66 %), 중재관련 비교연구 24편(31.17 %), 그리고 중재관련 특성연구 24편(31.17 %)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분석결과, 청소년 및 성인이 50편(64.94 %)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학령전기 아동이 14편(18.18 %), 기타 7편(9.09 %), 학령기 아동이6편(7.79 %)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분석결과, 중재연구와 특성․비교연구 모두 그룹 간또는 그룹 내 비교의 실험절차를 따랐으며, 중재연구는 종단비교를, 특성․비교연구의 경우횡단비교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 분석결과, 중재연구의 경우 행동적 측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비교연구의 경우 발화형태를 비교하거나 변화를 관찰 한 연구(행동적 측면)가 대부분이었다. 종속변인 분석결과, 중재와 특성․비교연구 모두, 발화특성이 대부분이었으며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수반행동, 심리․성격적 측면, 기타 순으로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 아동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는 외국에서도 그 역사가 길지 않으나최근 10년간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을 위한 치료프로그램이 개발 혹은 보완되고 그 프로그램의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예: 리드콤 프로그램, 페일린 상호작용치료 프로그램). 국내연구는 국외연구와 비교해 볼 때 중재연구보다는 특성․비교연구가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에서도 말더듬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그 효과가 검증될 필요가 있으며, 외국의 치료방법의 경우 국내적용의 타당성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중재 논문들이 증거중심치료(evidence-based treatment: EBT)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rends and advancements in treatments for stuttering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stuttering. Methods: Experimental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stutter (PWS) related to treatment or treatment affects; (2)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9 (within a 10 year span); and (3) publication in one of four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JCD), Kore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KJSLHD),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JSLHR), and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JF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separately analyzed. Results: A total of 77 articles that met all criteria were chosen. The results show that 29 articles (37.66%)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stuttering treatment, 24 articles (31.17%)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PWS with people who do not stutter, and 24 articles (31.17%)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PWS. In terms of participants, 50 articles (64.94%) included participants who were adolescents and/or adults, 14 articles (18.18%) included preschool children, and 6 articles (7.79%) included school-aged children. Articles based on the effects of treatment focused on behavioral components using treatment methods and longitudinally compared the changes between groups and/or within groups. The majority of characteristic articles also focused on behavioral components and cross-sectionall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and/or within groups. The analyses of dependent variables demonstrated that articles on the effects of treatment and characteristics mostly measured or compared speech patterns, such as types and frequencies of disfluencies, naturalness of speech, and speaking rate. Perceptions of stuttering treatment, accessory behaviors, and emotional/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also studied. Discussion & Conclusion: Overall trends show that there are more stud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than the effects of stuttering treatment. Even though the history of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s of stutter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is relatively short, as compared to that of adults, recently, several treat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or updated for early childhood stuttering, and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efforts to validate the treatment efficacy. For the adolescent and adults who stutter, several behavioral and/or cognitive treatment methods and devices are used to diminish stuttering.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vidence-based treatment are provided as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Disfluency, Speech Rate, and Communication Attitud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in Adults Who Do Not Stutter

        신문자(Moon ja Shin),이경재(Kyung jae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4

        배경 및 목적: 비유창성은 가변성이 매우 큰 특성을 지니고 있어 적절한 말더듬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말 샘플을 분석하여야 하지만 말더듬성인의 평가해석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성인의 비유창성 변이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더불어 말속도 역시 말더듬 치료 진전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전 연구들은 연구방법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임상 현장에서 직접적인 비교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성인의 평가와 치료에서 임상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일반성인의 비유창성과 말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러한 비유창성과 말속도가 성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말더듬의 다면적인 평가를 하기 위하여 측정되는 의사소통태도가 일반인의 경우,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81명의 일반성인(평균연령 36.56세, 남 37명, 여 4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를 대상으로 임상현장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파라다이스-유창성평가-II의 필수과제를 실시하여 각 상황별 정상적 비유창성 점수와 비정상적 비유창성 점수를 측정하였다. 더불어 읽기자료를 대상으로 전체말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의사소통태도검사도 실시하였다. 이렇게 산출한 비유창성 점수, 전체말속도, 의사소통태도 점수가 성별과 연령집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이원분산분석과 반복분산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일반성인의 비유창성의 빈도에서 성에 따른 차이는 제한적이었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말속도의 경우 성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의사소통태도는 성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성인의 평가에서 비유창성의 양적 특성뿐 아니라 질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한다. 더불어 전 생애적인 말더듬의 발달과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연령대의 집단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Diverse speech samples should be analyzed due to variability in stuttering. However, there are limited Korean studies on the variability of disfluencies in adults who do not stutter for comparison with assessment data of adults who stutter. In addition, even though speech rate can be an indicator of treatment progress, differences in previous studies’ methodologies make them difficult to employ in a clinic setting. The primary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disfluencies and overall speech rate of adults who do not stutter (AWN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in order to provide clinical comparative data for adults who stutter.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attitud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were also analyzed. Methods: A total of 81 AWNS took part in the current study. Three compulsory tasks of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 II were conducted and normal and abnormal disfluency scores of each task were determined. Overall speech rate was determined for reading samples, and a communication attitude test was also conducted. Two-way ANOVA and repeated measure ANOVA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in disfluency scores, overall speech rate, and communication attitude test scores were significant according to age, gender, and situation. Results: There were lim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fluencies according to gender,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peech rate according to age but not to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ttitud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disfluencies should be considered in stuttering assessment. In addition, in order to have a broader perspective on stuttering, more diverse age groups should be included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경북지역 공공하수처리시설 유입수 및 방류수의 유기물 특성

        이기창,박영진,강귀화,정미옥,류동현,정상섭,이원태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5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s in influents and effluents of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for better performance of treatment processes in the plants. Methods : We selected six STPs with each capacity over 30,000 m3/day in Gyeongbuk province, and analyzed water quality data in influents and effluents of the plants from 2013 to 2020. Also, the removal efficiencies of pollutants were assessed with the operational data. In 2020,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dissolved organic matters (DOM) in influents and effluent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fluorescence excitation emission matrix (FEEM)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 The average BOD5/CODMn ratios of influents and effluents from the STPs were 1.60 and 0.27, respectively. High variability in BOD5/CODMn ratios was observed for both influents and effluents. The CODMn/TOC ratios of the influents and effluents were the same with an average of 1.6. Although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was different for each STP, the organic matter removal efficiency was similar, and the TOC removal efficiency was 86.5~91.7%. The representative spectra of DOM identified through FEEM analysis was peak C (humic-acid like substance) region, and under the same carbon concentration (2 mg-C/L)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effluents was stronger than influents possibly due to the influence of soluble microbial products (SMP). It was found that DOM of both influent and effluent originated from microorganisms, and the difference in water quality of DO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characteristics and fate of organic matters in influents and effluents of the six STPs were similar regardless of plant lo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efficiently control organic matters in the STPs. 목적: 본 연구는 경북지역 내 대표적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유입수 및 유출수 내 유기물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처리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경북지역의 공공하수처리시설 중 시설규모 30,000 m3/day 이상인 6곳을 선정하여 2013~2020년 동안의 운영자료를 활용하여 유입수 및 방류수의 수질특성과 공정효율을 분석하였다. 2020년 시료는 형광 excitation emission matrix (EEM)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유입수 및 방류수의 용존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ter, DOM) 특성과 생성기원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및 토의: 분석대상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유입수와 방류수의 BOD5/CODMn 평균비는 각각 1.60과 0.27이었다. BOD5/CODMn 비는 유입수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처리가 된 방류수에서도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유입수와 방류수의 CODMn/TOC 비는 평균 1.6으로 동일하였다. 처리시설별로 생물학적공법이 상이하였지만 유기물 제거효율은유사하게 나타났으며, TOC의 경우 제거효율은 86.5~91.7%이었다. 형광 EEM 분석을 통해 확인된 DOM의 대표적EEM spectra는 peak C (humic-acid like substance) 영역이었고, 동일한 탄소농도(2 mg-C/L) 조건에서 방류수가 미생물의 대사활동으로 생성된 soluble microbial products (SMP)의 영향으로 형광강도가 더 강했다. 유입수와 방류수의 DOM은 모두 미생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고, DOM의 수질성상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조사대상 공공하수처리시설간 유입수 및 방류수에 대한 유기물질의 거동이 유사하고 다양한 유기물 성상지표가 비교적 균일한 값을 가져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수처리공정에서 유기물질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