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유방조직등가 팬텀을 이용한 Screen-Film과 Digital Mammography에서의 평균 유선선량

        신귀순(Gwi-Soon Shin),김정민(Jung-Min Kim),김유현(You-Hyun Kim),최종학(Jong-Hak Choi),김창균(Chang-Kyu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1

          유방촬영장치가 screen-film system에서 최근에는 빠른 속도로 digital system으로 교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Digital system이 screen-film system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digital detector가 screen-film보다 X선 흡수효율이 더 높으며, digital system 중에서도 direct digital detector가 indirect digital detector보다 흡수효율이 높다. 이에 입각하면 촬영 시 적은 선량을 주어도 되기 때문에 환자피폭선량이 감소한다. 그러나 임상 방사선사들이 느끼는 바는 달랐다.<BR>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screen-film mammography system, computed mammography system, indirect digital mammography system, direct digital mammography system에서 glandularity가 30%, 50% 및 70%인 세 종류의 유방조직 등가팬텀을 이용하여 평균유선선량(AGD)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BR>  Screen-film보다 digital detector가 X선 흡수효율이 높지만, glandularity가 30%인 경우의 AGD는 오히려 SFM에서 가장 낮았고, 그다음 CM, IDM, DDM 순으로 증가되었다.<BR>  자동노출장치로 설정하였지만 두께나 glandularity에 따라 target/filter의 조합이 바뀌지 않고 Mo/Mo으로 계속 사용된 SFM에서는 AGD가 급격히 증가되었다. 따라서 높은 glandularity를 가진 두꺼운 팬텀을 위한 고에너지 촬영에서는 SFM에서 AGD값이 가장 높았고, 저에너지 촬영에서는 DDM에서 AGD값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target/filter의 조합이 다양하게 바뀐 CM에서는 두께나 glandularity에 따른 AGD의 곡선이 가장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AGD값이 가장 낮았다.<BR>  이와 같이 두께와 glandularity가 증가함에 따라 target/filter의 조합이 Mo/Mo에서 Mo/Rh으로 더 증가하면 Rh/Rh으로 바뀌는 것이 AGD의 증가량이 적어 환자의 피폭선량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방촬영에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검출효율 외에도 여러 가지 촬영 변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In recent years, mammography system is changed rapidly from conventional screen-film system to digital system for application to screening and diagnosis.<BR>  Digital mammography system provides several advantages over screen-film mammography syste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digital mammography system offers radiation dose reduction in comparison with screen-film mammography system, because of digital detector, particularly direct digital detector has higher x-ray absorption efficiency than screen-film combination or imaging plate(IP).<BR>  We measured average glandular doses(AGD) in screen-film mammography(SFM) system with slow screen-film combination, computed mammography(CM) system, indirect digital mammography(IDM) system and direct digital mammography(DDM) system using brest tissue-equivalent phantom(glandularity 30%, 50% and 70%). <BR>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BR>  AGD values for DDM system were highest than those for other systems. Although automatic exposure control(AEC) mode was selected, the curve of the AGD values against thickness or glandularity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SFM system with the uniform target/filter(Mo/Mo) combination. Therefore, the AGD values for the high energy examinations were highest in the SFM system, and those for the low energy examinations were highest in the DDM system. But the curve of the AGD values against thickness and glandularity increased gently for CM system with the automatic selection of the target/filter combination (from Mo/Mo to Mo/Rh or from Mo/Rh to Rh/Rh), and the AGD values were lowest.<BR>  Consequently, the parameters in mammography for each exposure besides detection efficiency play an important role in oder to estimate a patient radiation dose.

      •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C[11]-PIB imaging 영상분석

        김남범,신귀순,안성민,Kim, Nambeom,Shin, Gwi Soon,Ahn, Sung Mi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5 핵의학 기술 Vol.19 No.1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은 고차원 변수들 사이의 복잡한 상관성 구조를 더 낮은 차원으로 단순화하여 상관성의 구조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다변량분석기법으로 뇌영상 분석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주성분분석의 기본개념은 서로 직교하는 변수들의 선형결합을 통해서 원래의 뇌영상 자료가 가지고 있는 전체정보를 최대한 설명할 수 있는 서로 독립적인 새로운 변수들을 유도하는 것이다. 뇌영상분석에서 주성분분석의 효율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C[11]-PIB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으로는 평균나이가 같은 9명의 정상인, 10명의 알츠하이머/경도인지장애환자들의 C[11]-PIB 영상을 이용하였다. PET-CT 장비로는 Biograph 6 Hi-Rez (Siemens-CTI, Knoxville, TN)를 영상을 획득하였고 9.6 MBq/kg C[11]-PIB를 정맥주사 한 후 40분 후에 20분 동안 3D acquisition mode로 방출영상을 얻었다. Attenuation map은 X-ray CT scan을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130 kVp, 240 mA). PIB template을 만들기 위해서 정상인에서 3T MRI T1-weighted 영상을 동시에 얻었다. 주성분분석을 위한전처리과정으로서 공간정규화 및 공간편평화를 SPM8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주성분분석은 Matlab2012b를 이용하여 분석하다. 결과는 주성분분석을 통해서 서로 독립적인 주성분영상들을 얻을 수 있었다. 주성분분석을 통해서 얻어진주성분영상은 C[11]-PIB brain PET 영상의 패턴을 몇 개의 주성분으로 단순화 할 수 있었으며 주로는 neocortex를 변동 나타내는 영상, white matter의 변동을 나타내는 영상 그리고 pons등 deep brain의 변동을 나타내는 영상 등으로 단순화되었다. 결론으로는 주성분분석은 C[11]-PIB brain 영상을 단순화하여 영상의 패턴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이러한 주성분분석은C[11]-PIB영상 분석뿐만 아니라 뇌의 포도당 대사를 측정하는 FDG-PET 또는 뇌기능영상등의 다변량분석 방법으로서 그 적용범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s a method often used in the neuroimagre analysis as a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 for describing the structure of high dimensional correlation as the structure of lower dimensional space. PCA is a statistical procedure that uses an orthogonal transformation to convert a set of observations of correlated variables into a set of values of linearly independent variables called principal components.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CA in the brain PET image analysis, we tried to analyze C[11]-PIB PET image as a representative case.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ormal = 9, AD/MCI = 10). For C[11]-PIB, PET scan were acquired for 20 min starting 40 min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9.6 MBq/kg C[11]-PIB. All emission recordings were acquired with the Biograph 6 Hi-Rez (Siemens-CTI, Knoxville, TN) in three-dimensional acquisition mode. Transmission map for attenuation-correction was acquired using the CT emission scans (130 kVp, 240 mA). Standardized uptake values (SUVs) of C[11]-PIB calculated from PET/CT. In normal subjects, 3T MRI T1-weighted images were obtained to create a C[11]-PIB template. Spatial normalization and smoothing were conducted as a pre-processing for PCA using SPM8 and PCA was conducted using Matlab2012b. Results Through the PCA, we obtained linearly uncorrelated independent principal component images. Principal component images obtained through the PCA can simplify the variation of whole C[11]-PIB images into several principal components including the variation of neocortex and white matter and the variation of deep brain structure such as pons. Conclusion PCA is useful to analyze and extract the main pattern of C[11]-PIB image. PCA, as a method of multivariate analysis, might be useful for pattern recognition of neuroimages such as FDG-PET or fMRI as well as C[11]-PIB image.

      • KCI등재

        치과구내용 X선발생기의 조사통 직경 변화에 따른 선량변화

        안성민(Sung-Min Ahn),오정환(Jung-Hoan Oh),최정현(Jung-Hyun-Choi),신귀순(Gwi-Soon Shin),김성철(Sung-Chul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3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법에 의하면 치과 구내촬영용 X선발생기의 경우 조사통의 조사야 크기는 촬영면에서의 최대지름이 7 ㎝이하가 되게 기준 되어있다. 하지만 실제 두개부에 붙여서 촬영하는 근접촬영이기 때문에 X선 조사면적을 벗어날 염려가 없으며, 구내촬영에 사용되는 필름 또는 디지털 디텍터의 크기도 3×4 ㎠의 크기이기 때문에 훨씬 큰 편이며, 근거리 촬영에 따른 환자의 피부선량도 무시할 수 가 없다. 이에 조사통의 지름을 0.5 ㎝간격으로 줄이며, 환자선량, 해상력 및 화질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조사통 직경이 5 ㎝가 되어도 사용에 따른 큰 불편이 없으면서 환자선량 감소 및 사진의 대조도 증가 효과를 볼 수 있어 정책적으로 검토해볼 사항이라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In case of the Dental X-ray apparatus, the diameter (or the field size) of the tip of the cone should be less than 7 ㎝ according to the Diagnosis Radiation Equipment Safety Management. However, deviation from the field is not expected to be big as photography is made at close range from the skin. Also, as the size of film or digital detector used in intra-oral photography is 3×4 ㎠, the size mentioned above can be considered to be much bigger. Furthermore, the patient dose by short-distance photography can not be ignored. Therefore, effect on the patient dose, resolution and image qualty was examined by reducing the cone diameter by 0.5 ㎝ interval.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tient dose was reduced and a partial improvement in picture contrast was observe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from these results that further investigation may be worthwhile in terms of policy.

      • KCI등재

        의료용 선형가속기의 소조사면에 대한 검출기 종류에 따른 평가

        이동운(Dong Woon Lee),정강교(Kang Kyo Jung),신귀순(Gwi Soon Shin),조평곤(Pyong Kon Ch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2

        최근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치료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정위적방사선치료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선 치료기법은 일반적으로 역방향치료계획을 사용함으로써 소조사면을 제외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소조사면의 선량특성에 관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효체적이 서로 다른 검출기를 이용하여 소조사면에 대한 깊이선량백분율, 빔측면도, 그리고 선량출력계수를 측정하여 각 검출기의 선량특성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X-선 6 MV에너지에 대한 빔선질(PDD20/PDD10)은 10 × 10 cm2에서 Diode 검출기는 Pinpoint 검출기에 비해 2.4%로 높았다. 모든 조사면에서 유효체적이 작은 Diode 검출기가 다른 검출기들과 50%이상 작은 반음영을 보여 공간분해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출력선량계수는 조사면 2 × 2 cm2에서 Semiflex 검출기 다른 검출기에 비해 2%정도 적게 측정되기 시작해서 조사면 1 × 1 cm2에서는 20%정도 차이를 이며 유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면 1 × 1 cm2에서 Diode 검출기와 Pinpoint 검출기의 측정값은 13%정도 차이를 보였다. 조사면 3 × 3 cm2이하에서는 검출기의 유효체적에 따른 출력선량계수의 차이가 크므로 가능한 유효체적이 작은 검출기를 사용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linear accelerator of radiation therapy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are widely used. Such radiation treatment techniques are generally difficult to exclude the small field by using the inverse treatment plan. It is necessary to dose an accurate measurement of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field. Thus, using different detectors to measure the volume of the effective percentage depth dose, beam profile, and the output factor of the small field was to evaluate the dose characteristics of each detector.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X-ray beam 6 MV energy beam quality(PDD20/PDD10) is 10 × 10 cm2 Diode detector is as high as 2.4% compared to Pinpoint detector. All field size to lesser effective volume of Diode detector shows that it is far better than other detectors by more than 50% of small penumbra, therefore spatial resolution far excellent. In field size 2 × 2 cm2 Semiflex detector was measured about 2% less than the other detector. Field size 1 × 1 cm2 is that there is no judgment about the validity show the difference between 20%. Field size 1 × 1 cm2 from the measured values of the Diode detector and Pinpoint detector showed a 13% difference. Less than field size 3 × 3 cm2 the feed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factor of the effective volume of the detector to be used for the effective volume available to the detector.

      • C-arm 투시 사용 시 방향과 거리에 따른 입사선량

        김현수(Hyun Soo Kim),김연수(Yun Soo Kim),조남수(Nam Soo Cho),신귀순(Gwi Soon Shin)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09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09 No.-

        Purpose : Nowadays, the use of C-arm during the operation is on the increase. As the frequency of C-arm use is increasing, the entrance skin dose of the operator is increased. Therefore, the radiation dose in operating room was measured to compare operator’s entrance skin doses according to direction and distance from C-arm. Materials and Methods : The C-arm fluoroscopy unit was used automatic control function. Entrance skin doses were measured at 8 different directions (45° interval), and the entrance skin doses with and without apron were measured at 4 different distances of 50-200cm (with 50cm interval) from the phantom pelvis center Results : The maximum entrance skin dose rate at a distance of 50cm was 0.526mGy/min without apron and 0.057mGy/min with apron in E zone, and the minimum entrance skin dose tate was 0.049mGy/min without apron and 0.005mGy/min with apron in the C zone (A zone, where was placed C-arm unit was excepted). Because radiation dose was shield by an operating table, the entrance skin dose in the direction of C zone was lower than that in the direction of E zone. The average entrance skin dose rate by the 8 directions was 0.312mGy/min without apron, and 0.033mGy/min with apron at a distance of 50cm The entrance skin dose with apron was 10.6-16.0% of that without apron. The entrance skin dose rate at the directions occupied by the operator and assistant was 0.356mGy/min at 50cm and 0.122mGy/min at 100cm without apron, and 0.038mGy/min at 50cm and 0.012mGy/ min at 100cm with apron. The expected entrance skin dose of the operator was 3.45mGy/procedure, 10.35mGy/day and 993.60mGy/ year without apron, and 0.37mGy/procedure, 1.11mGy/day and 106.56mGy/year with apron. Conclusion : Entrance skin dose according to direction and distance was different more than10 times. As the radiation protective apron was present or not, entrance skin dose was different about 6-10 times. It is essential to decide appropriate position of operator and to wear the apron. Operator should use C-arm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accurate skill to minimize the radiation dose of medical staffs.

      • KCI등재후보

        치과 방사선 검사에서 유효선량 평가

        한수철(Su-Chul Han),이보람(Bo-Ram Lee),신귀순(Gwi-Soon Shin),최종학(Jong Hak Choi),박혁(Hyok Park),박창서(Chang-Seo Park),장계용(Kye-yong Chang),김보람(Bo-Ram Kim),김유현(You-Hyu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 2011 방사선기술과학 Vol.34 No.1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의료 방사선 장비 또한 첨단화 되고 있으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게 되어 의료의 질적 향상은 물론 양적인 면에서도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환자 피폭선량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CT(Computed Tomography) 촬영의 건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치과 방사선 검사의 경우 정확한 병변 진단을 위한 CT 및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의 도입으로 과거에 비해 환자는 많은 선량을 받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팬텀과 TLD-100H를 이용하여 치과 방사선 검사별 조직의 흡수선량을 측정하고 ICRP 60, 103에 따라 유효선량을 계산하였다. ICRP 60, 103에 따른 유효선량 값은 파노라마 검사의 경우 5.1μSv, 29.5μSv, 세팔로 검사의 경우 11.2μSv, 14.4μSv, 이며 CBCT는 상악골의 경우 53.7μSv, 209.6μSv, 하악골은 129μSv, 391.5μSv 그리고 CT에서는 상악골의 경우 93.3μSv, 139.5μSv이며 하악골은 282.7μSv, 489.7μSv로 평가 되었다. CBCT 검사의 경우 유효선량은 CT 검사에 비해서는 적지만 파노라마 검사 및 세팔로 검사에 비해서는 높게 평가되었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s of science technology, up-to-date medical radiation equipments are introduced. Those equipments has brought many progresses in diagnosing patients not only in the quantitative aspects but in the qualitative ones. Especially, in the case of dental radiography, patients can be exposed more than 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this study, we used human phantom and TLD-100H to measure the organ dose in each dental radiography and computed the effective dose according to ICRP (International Committee for Radioactivity Prevention) 60, 103. We measured the effective dose to be 5.1 and 29.5μSv in the panoramic radiography and 11.2 and 14.4μSv in the cephalometric radiography respectively. We also executed the CBCT and CT test on the maxillaries and the mandibles and found the amounts of effective dose were 53.7, 209.6, 129, and 391.5μSv respectively in the CBCT and 93.3μ, 139.5, 282.7 and 489.7μSv in the CT test. Consequently, it was shown that the effective dose in the CBCT test was lower than one in the CT test, but was higher in both panoramic and cephalometric radiography.

      • KCI등재후보

        성인의 연령, 체질량지수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의 관계

        박성옥(Soung-Ock Park),이인자(In-Ja Lee),신귀순(Gwi-Soon Shi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4

        한국건강관리협회에 내원한 환자 중 설문에 응해준 268명(여성 136명, 남성 132명)의 연령, 체질량지수(BMI)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BMD)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기를 이용하여 요추(lumbar spine)와 대퇴경부(femoral neck)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성의 평균키는 155.8±6.0 cm, 평균체중은 56.8±7.9 kg, 평균체질량지수는 23.4±3.1 kg/m2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평균키는 169.1±6.0 cm, 평균체중은 69.0±9.5 kg, 평균체질량지수는 24.1±2.7 kg/m2이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밀도가 감소되었으며, 연령과 골밀도는 매우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 < 0.01). 그러나 여성의 골밀도는 50대 이후에 급격히 감소되는데 비해, 남성의 골밀도는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남녀 모두 요추의 골밀도가 대퇴경부의 골밀도보다 낮았다. 체질량지수가 증가 할수록 골밀도가 대체로 높아졌으며, 특히 50대에서는 뚜렷하게 높아졌다. 그러나 이들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골밀도 범주의 분포를 보면, 여성은 40대까지는 정상이 대부분이었으나, 50대에서는 정상과 골감소증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60대 이상에서는 골다공증이 많았다. 그러나 남성은 7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대부분 정상의 골밀도 범주에 속했다. 커피나 탄산음료는 골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음주는 영향을 주었다. 음주집단이 비음주집단보다 골밀도가 높았으며, 유의한 관련성(p < 0.05)을 보였다. 또한 흡연과 운동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We studied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BMD) by age, body mass index (BMI), coffee, carbonated drink, alcohol, smoking, and exercise in adults who checked in health center.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was total 268 persons (women of 136 persons and men of 132 persons). The BMD was determined in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we got some results as below : 1. In women, mean body height was 155.8±6.0 cm, mean body weight was 56.8±7.9 kg, and mean BMI was 23.4±3.1 kg/m2. In men, mean body height was 169.1±6.0 cm, mean body weight was 69.0±9.5 kg, and mean BMI was 24.1±2.7 kg/m2. 2. BMD decreased as age increased, and the age was the most determinant factor for BMD (p < 0.01). Women's BMD decreased rapidly in the groups aged ≥ 50 s, while men's BMD decreased gradually with age. In addition, for both sex, lower BMD was measured in lumbar spine than in femoral neck. 3. BMD increased in high BMI, and BMD with BMI increased distinctly in the group aged 50 s. But their relationship was not significant. 4. In view of the distribution by three BMD categories, women's BMD was mostly normal in the groups aged ≤ 40 s, but the rate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was similar in the group aged 50 s, and the rate of osteoporosis was the highest in the groups aged 60 s and 70 s. Men's BMD was mostly normal through all groups except the group aged 70 s. 5. Coffee and carbonated drink were not influenced in BMD. But alcohol-drinking group showed higher BMD than non-drinking group, and alcoh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for BMD (p < 0.05). Smoking and exerci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of BMD.

      • KCI등재후보

        Dose Distribution and Image Quality in the Gantry Aperture for CT Examinations

        조평곤(Pyong-Kon cho),김유현(You-Hyun Kim),최종학(Jong-Hak Choi),이기열(Ki-Yeol Lee),김형철(Hyung-Cheol Kim),김장섭(Jang-Seob Kim),신동철(Dong-Chul Shin),이성현(sung-Hyun Lee),이준협(Jun-Hyub Lee),신귀순(Gwi-Soon Shi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4

        슬라이스 두께(slice thickness)와 선속시준(beam collimation, BC)의 변화에 따른 CT gantry aperture 내의 선량 분포와 영상의 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T장치로는 64-slice MDCT 스캐너(Brilliance 64, Philips, Cleveland, USA)를 사용하였다. 피사체가 없는 경우(air scan)의 선량측정을 위해 CT용 전리함을 gantry aperture내의 회전중심점(isocenter)과 12시, 3시, 6시, 9시 방향에서 회전중심점으로부터 5 cm 간격으로, 30 cm까지 BC를 변화시키면서 각각 측정 하였다. 또한 5개의 구멍(팬텀의 중심과 12시, 3시, 6시, 9시 방향)으로 구성된 CT head and body close phantom을 gantry aperture 내에 위치시키고 각 지점에서 선량을 측정하였다. Gantry apertue 내 피사체의 위치변화에 대한 영상의 노이즈를 비교하기 위해서 AAPM CT용 팬텀의 물통을 회전중심점과 12시 방향으로 5 cm와 10 cm 이동시킨 후 BC를 변화시키면서 스캔한 후 팬텀의 중심과 12시, 3시, 6시, 9시 방향의 지점에서 노이즈를 측정하였다. 이 중에서 몇 군데의 위치는 영상 영역에서 벗어나서 측정할 수가 없었다. 이대 노이즈 측정을 위해서 영상재구성의 슬라이스 두께는 5mm로 하였다.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CTDIw는 회전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BC가 넓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둘째, BC의 넓이가 비슷한 경우는 CTDIw는 거의 유사한 값을 보였다. 즉, CTDIw는 검출기 배열의 수나 화소의 크기 보다는 전체적인 BC의 넓이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air scan과 phantom scan 경우 모두에서 CTDIw는 BC가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다. 그러나 air scan의 경우보다 head pahntom scan 시 약 30%, body phantom scan 시 약 52% 정도 CTDIw의 값이 감소하였다. 넷째, BC와 팬텀의 위치 변화에 따른 노이즈 값은 2X0.5mm의 BC을 제외하고는 head pahntom scan한 경우 3.9~5.9, body phantom scan한 경우 5.3~7.4로 나타나, BC와 팬텀의 위치변화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피사체의 위치가 gantry aperture 내 SFOV(scan field of view)에 포함될 경우 회전중심점에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않아도 영상의 질에는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ose distribution and image quality according to slice thichness and BC(beam collimation) in the gantry aperture. CT scans were performed with a 64-slice MDCT(Brilliance 64, Philips, Cleveland, USA) scanner. To determine the dose distribution according to BC, a ionization chamber was palced at isocenter and 5, 10, 15, 20, 25 and 30 cm positions from the isocenter in the 12, 3, 6 and 9 o'clock directions. The dose distribution for phantom scan was also measured using 12, 3, 6 and 9 o'clock directions. The image noise measurement for different BCs was performed using an AAPM CT phantom. Water-filled block of the pahntom was moved by 5 cm or 10 cm to the 12 o'clock direction, and the image noise was measured at the center of the phantom, and the points of 12, 3, 6 and 9 o'clock direction respectively. Some points were placed beyond the scan field of view (SFOV), so that measurement was not possible at that poi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TDIw showed a larger decrese as the source goes farther from the iso-center or the BC became wider. The CTDIw depends on the BC width more than the number of the channel of a detector arry. The value of CTDIW decresed with increasing BC, but the value decreased 16.6~31.9% in the lead pahntom scan in air scan and 51.0~64.5% in the body phantom scan. The value of the noise was 3.9~5.9 in the head and 5.3~7.4 in the body except for BC 2X0.5 mm regardless of the degree of deviation from the iso-center. When a subject was located within the SPOV, the posi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image quality even if the subject was out of th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