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의 가공조제에 따른 물성 및 용융흐름특성 연구

        신경민(Kyung Min Shin),심창업(Chang Up Sim),이정석(Jung Seok Lee),김연철(Youn Cheol Kim) 한국고분자학회 2018 폴리머 Vol.42 No.3

        고함량 탄소필러의 첨가로 인해 고분자/탄소필러 복합체의 용융흐름특성이 불량하여 기존의 압출공정 또는 사출공정을 통해 제품으로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의 용융흐름특성과 물성에 대한 가공조제의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탄소필러 종류로는 카본블랙(CB),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니켈코팅 탄소섬유(Ni-CF) 등이 사용되었다. 가공조제 종류로는 폴리에틸렌 왁스(L-C102N, L-C121N)와 2,2,6,6-tetramethyl-4-piperidinyl(BIS)을 사용하였다.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는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가공조제 종류와 함량을 다르게 하여 다이온도 기준으로 280℃에서 제조하였다. BIS가 첨가된 나일론 66/CB/CNT/Ni-CF 복합체의 경우, 용융흐름특성에 대한 개선이 복소점도 및 용융유동지수로부터 확인되었고, 표면저항과 같은 전기적 특성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the product of the polymer/carbon filler composites with high carbon filler content through the conventional extrusion or injection process due to poor melt flow properti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rocessing aid on the melt flow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nylon66/carbon filer composites was discussed. The carbon fillers such as carbon black (CB),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nickel coated carbon fiber (Ni-CF) were used. Polyethylene-wax (L-C102N, L-C121N) and 2,2,6,6-tetramethyl-4-piperidinyl (BIS) were used as the processing aids. The nylon66/carbon filler composites with different processing aid types and content were fabricated by using a twin-screw extruder at 280℃ of die temperature. In case of nylon66/CB/CNT/CF composites with BIS processing aid, an improvement of melt flow properties was certified by the complex viscosities and melt flow index, and there was little change in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surface resistivity.

      • CORBA 환경에서 실시간 서비스 지원을 위한 분산 객체의 그룹화 및 관리

        신경민(Shin Gyung Min),김명희(Kim Myung Hee),주수종(Joo Su Chong)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6 No.5

        It is proposed in TINA, the open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network architecture, that the definition of object group which is collection of objects a decrease of complex networking and a facility of object managing by service executing of application o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a new distributed object group model[13] we have been researched according to TINA specification, this paper proposed the object group model with the scheduler object management mechanisms that can support real-time services on CORBA. To do this, we described the definition of object grouping and the requirements to suggest the object group model supporting real-time service, designed the object group structure and functional components containing in an object group using James Rumbaugh's modelling[12], and showed a class diagram of components in an object group. This paper designed IDLs of an object group manager and scheduler among the components, and finally showed the procedures of management and service interconnections between objects in the different object groups via ETD.

      • KCI등재

        비상용성 PC/ABS 블렌드의 물성에 미치는 ABS 함량과 GO의 영향

        신경민(Kyung Min Shin),박주영(Ju Young Park),김연철(Youn Cheol Kim) 한국고분자학회 2016 폴리머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비상용성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의 ABS 함량에 따른 분산상의 변화와 그래핀 옥사이드(graphene oxide, GO)의 첨가에 따른 물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ABS 함량을 30, 50, 70 wt%로 변화시켜 PC-GO/ABS 복합체를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2단계로 제조하였다. 1단계에서 PC/GO 예비 복합체를 260 ℃ 압출온도로 제조한 후, 2단계에서 GO의 함량이 0.5 wt%가 되도록 1단계에서 제조한 PC/GO 예비 복합체를 이용하여 PC-GO/ABS 복합체를 압출온도 240 ℃에서 제조하였다. ABS 함량에 따른 PC-GO/ABS 복합체 내의 ABS 상의 구조가 ABS 함량에 따라 sea-island, co-continuous, 그리고 역 sea-island 구조로 변화는 것을 SEM과 TEM 사진을 통해 확인하였다. PC-GO/ABS 복합체의 충격강도는 ABS 함량이 30 wt%와 50 wt%일 때 증가하였으며, 이는 GO의 계면에서의 상용화 효과와 ABS 상에서의 보강효과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GO의 위치는 T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PC-GO/ABS 복합체의 전단박하 현상과 탄성특성 변화로부터 GO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dding GO and the change of ABS phase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immiscible polycarbonate (PC)/poly(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blends were discussed. The PC-GO/ABS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using a twin screw extruder as two steps. PC/ABS blends were set at the weight ratios of 70/30, 50/50, and 30/70. First of all PC/GO composite was fabricated at 260 ℃. And then the PC-GO/ABS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by using an extruder at 240 ℃. The GO of 0.5 wt% was inserted by PC/GO composite for all samples. It was confirmed by SEM and TEM that the ABS phase structures were changed from sea-island to inverse sea-island with increasing ABS content. The izod impact strength increased with adding GO when the contents of ABS were 30 and 50 wt%. It is interpreted by the reinforced ABS phase and compatibilizing effect of GO at the interface between PC and ABS. In the TEM images, most GO were located in the interface and ABS phase. GO location was checked indirectly by shear thinning effect and storage modulus of PC-GO/ABS composites.

      • KCI등재

        나일론66 복합체의 전자파 차폐 성능 및 물성에 미치는 탄소 필러의 영향

        신경민(Kyung Min Shin),심창업(Chang Up Sim),이정석(Jung Seok Lee),김연철(Youn Cheol Kim) 한국고분자학회 2017 폴리머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탄소필러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를 제조하였고,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의 표면저항, 전자파 차폐 성능, 기계적 물성 그리고 복소점도 등을 고찰하였다. 탄소필러 종류로는 카본블랙(CB),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니켈코팅 탄소섬유(Ni-CF) 등이 사용되었다.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는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탄소필러 종류와 함량을 다르게 하여 다이온도 기준으로 280℃에서 제조하였다. CNT와 CB를 혼합사용할 때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표면저항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전자파 차폐 성능을 기준으로, 40 dB 이상을 만족하는 Ni-CF의 최소 함량은 20 wt%였으며, 나일론66/CNT/CB/Ni-CF 복합체의 가공성 고찰을 위해 동적유변학측정기를 이용하여 복소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SEM을 이용하여 복합체의 형태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In this study, nylon66/carbon filler composite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tent of carbon filler, the surface resistivity,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perform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The carbon fillers such as carbon black (CB),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nickel coated carbon fiber (Ni-CF) were used. The nylon66/carbon filler composites with different filler types and filler content were fabricated by using a twin-screw extruder at 280℃ reference of die temperature. Double percolation was certified by surface resistivity when CNT and CB were compounded together in nylon66 matrix. Based on EMI shielding effectiveness, the minimum content of NI-CF was 20 wt% when the EMI shielding effective value has over 40 dB. The complex viscosities of the nylon66/CNT/CB/Ni-CF composites were measured by using a dynamic rheometer to determine the processability of the composite. Also,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SEM.

      • KCI등재
      • CORBA기반 실시간 응용 서비스 지원 객체그룹 플랫폼 설계

        신경민(Gyung-Min Shin),김명희(Myung-Hee Kim),주수종(Su-Chong Joo)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Ⅲ

        분산객체 기술의 발전으로 객체들의 관리적인 복잡성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많은 실시간 시스템들을 지원하기 위한 CORBA의 사양이 추진 중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객체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분산 소프트웨어 개발을 용이하게 하고 기존의 표준 CORBA 상에서 실시간을 지원하는, 실시간 분산 응용의 하부구조인 실시간 응용 서비스 지원 객체그룹 플랫폼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현재 진행중인 실시간 CORBA의 경향을 살펴보고, 실시간 응용 서비스 지원 객체그룹 플랫폼을 설계하기 위한 정의와 요구사항들을 기술한다. 또한, 이 플랫폼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기능을 클래스 도표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실시간 지원 객체그룹 플랫폼 상에서 실시간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객체들의 서비스 접속과정을 ETD로 기술한다.

      • CORBA 기반 분산환경에서 실시간 서비스 지원을 위한 객체그룹화에 대한 연구

        신경민(Gyeong-Min Shin),김명희(Myung-Hee Kim),주수종(Su-Chong Joo),이재완(Jae-Wa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A

        오늘날의 분산 컴퓨팅 환경은 객체지향 기반의 초고속 통신망을 통한 개방형 통신망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에 따른 통신망의 복잡성과 객체 관리의 용이성을 위하여 객체들의 집합체인 객체그룹의 정의가 개방형 정보 통신망 구조인 TINA에서 제안되었다. TINA 시스템에서 서비스는 객체들의 인스턴스들과 바인딩을 가지고 있는 객체 인스턴스들의 분산된 집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TINA에서 제안한 객체그룹의 정의를 CORBA 기반에 적용시켜 객체그룹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객체그룹의 정의와 객체그룹 모델의 제시에 따른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객체그룹의 구성요소들의 기능과 그들간의 관계를 정립한다. 또한, 제시된 객체그룹내에서 객체들의 실시간 접속 절차를 제시한다.

      • KCI등재

        B2B 산업의 판매전략이 판매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 판매사원, 고객의 3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신경민(Kyong Min Shin),양재호(Jaeho Yang),송태호(Tae Ho Song) 한국관리회계학회 2021 관리회계연구 Vol.2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B2B 기업에서 전사적으로 판매사원의 활동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판매전략이 판매사원의 판매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 수준, 판매사원 수준, 고객 수준의 3수준 관점을 통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33개 의료기기 및 제약 기업의 대표 및 판매 임원, 판매팀장과 관리자 91명과 해당 기업의 판매사원 163명, 판매사원과 거래하는 고객 263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객 우선순위는 판매성과와 고객성과에, 판매모델은 판매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고객 세분화는 고객지향성에, 판매모델은 판매지향성에 고객 우선순위 부여는 가치기반판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판매사원의 고객지향성은 가치기반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판매사원의 판매행동 중 가치기반판매는 판매사원의 판매성과와 관계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의료기기 및 제약 판매 경우 판매의 대상이나 제품의 특성, 판매방법에 따라 판매전략의 구성요인인 고객 세분화, 고객 우선순위 부여, 판매모델의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B2B 산업에서 고객을 세분화하고, 개별 고객의 가치를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전략이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성과향상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ales strategie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sales person’s activities across the enterprise on the sales behavior and performance of sales person by using a three-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at the corporate level, sales person level, and customer level in aspect that sales person at B2B company are the foundation of a company’s survival and competitiveness. [Methodology]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91 CEOs, sales executives, managers and 163 sales representatives and 263 customers who trade with sales people of 33 medical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Multi-level models analysis results can b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Findings] First, the customer priority of the corporate sales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ales performance and customer performance and the sales mode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ales performance. Second, the customer segmentation of the corporate sales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sales mode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ales orientation. Prioritizing custom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alue-based sales. Third, the customer orientation of the sales person was found a positive impact on value-based sales.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irms should striv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sales activities by segmenting customers based on their needs, demands, value in use, potential value and by establishing a framework to prioritize individual customers for a group of granular customers.

      • SCIESCOPUSKCI등재

        GO Disper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70PC/30ABS/GO Composites according to Fabrication Methods

        Ghoung Min Shin(신경민),Ju Young Park(박주영),Youn Cheol Kim(김연철) 한국고분자학회 2017 폴리머 Vol.41 No.3

        제조방법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그래핀 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복합체(composite)의 GO 분산성과 물성을 고찰하기 위해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PC/ABS/GO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열역학적인 GO의 위치는 접촉각 측정과 젖음 계수를 이용하여 ABS 상내와 ABS-g-MA에 존재하려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제조방법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GO가 ABS 상내에서 관측됨을 TEM 결과로 확인하였다.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와 아이조드 충격강도(Izod impact strength)를 비교한 결과 PC/GO 복합체를 이용한 PC-GO/ABS 복합체의 물성 개선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PC/GO 복합체를 이용하여 스크류 속도를 변화시켜 제조한 PC-GO/ABS 복합체의 경우 스크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와 충격강도가 소폭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SEM과 TEM 결과로부터 스크류 속도가 증가할수록 압출기 내 체류시간이 작아 GO가 PC와 ABS 계면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C/ABS/GO composites were fabricated using a twin screw extruder in order to study GO dispersio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carbonate (PC)/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graphene oxide (GO) composites depending on fabrication methods. The position of the GO was thermodynamically identified by measurement of contact angle and the use of wetting coefficient. The GO tended to be located in the ABS phase and ABS-g-MA. In TEM images, most of the GO was located in the ABS phase regardless of fabrication methods. In comparisons of tensile strength and Izod impact streng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PC-GO/ABS composites using PC/GO composit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PC-GO/ABS composites produced by using PC/GO composites, and changing screw rpm, tensile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slightly increased as screw rpm rose. In SEM and TEM images, it was confirmed that GOs were mostly dispersed in the PC and ABS interface due to the short residence time in the extruder as screw rpm r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