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시행 후 시력 반응의 의의

        송희준(Hee Jun Song),양지호(Ji Ho Yang),김도균(Do Gyun Kim)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1

        목적: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1회 시행 후 1개월째 시력 반응의 정도 및 3회 시행 후 1개월째 시력 반응의 정도와 치료 시작 12개월 후의 시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로 치료하면서 12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30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유리체강 내 주입술 1회 시행 후 1개월째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였고 3회 주입술 후 1개월째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여 상승 정도(<1, 1-<3, ≥3줄; logMAR)에 따른 치료 시작 후 12개월째 최대교정시력과 비교하였다. 결과: 첫 주사 후 1개월째 1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6안(20%), 1줄 이상 3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7안(23.3%), 3줄 이상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17안(56.6%)이었다. 세 번째 주사 후 1개월째 1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9안(30%), 1줄 이상 3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9안(30%), 3줄 이상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12안(40%)이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및 선형회귀분석에서 3회 주입술 후 1개월째의 3줄 이상의 시력 향상은 치료 시작 12개월 후의 3줄 이상의 시력상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4). 결론: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 내 주입술 3회 시행 후 1개월째 3줄 이상의 시력 향상 여부는 치료 시작 12개월 후의 3줄 이상의 시력예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whether early visual acuity response at 4 weeks after the first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jection or 4 weeks after the third injection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AMD) is associated with 12-month follow-up outcome. Methods: Thirty treatment-naive patients (30 eyes) with nAMD, treated with intravitreal anti-VEGF,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Initially, all patients were injected at least three times for three consecutive months and followed up with a pro re nata regimen for at least 12 months. The relationship between 4 weeks after the first and third anti-VEGF injections in visual acuity response was explored, including the mean change from baseline i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The mean change in BCVA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visual improvement: <1, 1-<3, or ≥ 3 logMAR line(s) in BCVA. The associations among baseline characteristics (gender, age, duration of symptoms, initial BCVA, central macular thickness, and intraocular pressure) and visual acuity responses 4 weeks after the first and third anti-VEGF injections were also assessed. Results: The proportions of eyes with <1, 1-<3, and ≥ 3-line(s) improvement at 4 weeks after the first injection were 6 eyes (20%), 7 eyes (23.3%), and 17 eyes (56.6%), respectively. The proportions of eyes with <1, 1-<3, and ≥ 3-line(s) improvement at 4 weeks after the third injection were 9 eyes (30%), 9 eyes (30%), and 12 eyes (40%), respectively. A BCVA response ≥ 3-lines improvement at 4 weeks after the third injection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 3-lines improvement and BCVA response at 12 months in multiple logistic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p = 0.04). Conclusions: In this study, BCVA response ≥ 3-lines improvement at 4 weeks after the third injection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 3-lines improvement and BCVA response at 12 months.

      • KCI등재

        기혹논문 2 : 동계정온(桐溪鄭蘊)의 학통과 학문사상

        송희준 ( Hee Jun S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6

        鄭蘊(1569∼1641)은 경남 安陰에서 태어나 국외적으로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의 외세 침략과 국내적으로 광해군의 폭정 등으로 매우 혼란한 시기에 살았다. 그는 이런 큰 변고를 만날 때마다 꼿꼿한 의리로 맞섰다. 45세(1613년) 때 永昌大君이 죽고 인목대비가 폐위되는 사건이 일어나자 甲寅封事를 올렸다가 제주도에 10년간 위리안치된 것, 68세(1636년) 때 청나라 군대가 대거 침략해 오자 남한산성에서 포위된 인조가 항복하려 하자 허리에 차고 있던 칼로 배를 찔러 자결하려 하였던 것, 인조가 항복하자 고향 某里로 돌아와 花葉樓를 짓고 은거하다가 일생을 마친 것 등에서 유교적 지식을 갖추고 올바른 義를 실천하려고 노력하였던 선비였다. 동계가 태어난 지역인 慶尙右道안음은 曺植의 南冥學의 분위기가 강하게 미치던 곳이다. 게다가 그는 합천 출신인 남명을 가장 닮은 萊庵鄭仁弘의 문인이 되었고 또 자신이 기질도 그러한 것을 표방하였기에 남명→내암으로 이어지는 남명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그러는 한편 그는 退溪李滉의 수제자 月川趙穆을 스승으로 섬겼으며, 더나아가 퇴계와 남명 모두를 사사했던 寒岡鄭逑를 스승으로 섬겨 남명학파와 퇴계학파를 조화를 이루려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그는 양학파의 특성과 장점을 한 몸에 조화를 이루어 학문적인 면과 실천적인 면을 동시에 갖추고서 정치 현실에 직접 나섰던 사람이었기에 퇴계와 남명 이후 영남학파의 학술사상사에 있어서 매우 주목되는 인물이다. 더나아가 그는 광해조의 대북정권 때나 인조반정 이후 서인집권 때에는 南人淸論자로 부각하면서 龍洲趙絅과 眉.許穆을 제자로 양성하여, 이황→정구→정온→조경ㆍ허목→李瀷으로 이어지는 기호남인 학통의 연결 고리 역할을 하는 위치에 서 있어 또한 이 방면에 대단히 주목되는 인물이다. 그러나 동계는 퇴계학보다 남명학에 더 강한 영향을 받으면서도 여느 남명학자들과는 다른 모습을 띠었다. 즉 경상우도 지역 선비들이 남명학의 영향으로 은둔하려는 경향이 다분한데도 불구하고 그는 그것과 달리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려 하였고, 국가적인 주요한 정치 사건과 거의 대부분 관계를 맺고 그 중심에서 그 사건을 겪어 나가는 등, 광해조와 인조조에 걸쳐서 가장 강직한 신하가 되었다. Jeong-on(鄭蘊, 1569∼1641) was born in Gyeongnam Aneum(安陰), lived in a very confusing period, e. g. foreign intrusion, such asImjinwaeran, Byungjahoran, etc. internationally and Gwanghae`styranny, etc. domestically. Whenever he met such big trouble, he facedwith straight loyalty. At his age of 45(1613), when Yeongchangdaegun(永昌大君) died and Inmokdaebi(仁穆大妃) was dethroned, heascended Gabinbongsa(甲寅封事) and banished to Jeju island for 10years, at his age of 68(1636) he tried to commit suicide by cutting hisabdomen with his sword on his waist when Injo(仁祖) intended tosurrender when encircled in Namhansansung , when a large Qing(淸)army invaded, and finished his life in a retiring place by buildingHwayeobru(花葉樓) after returning to his home, Mori(某里) when Injosurrendered, etc. he was a scholar who prepared Confucian knowledgeand exerted efforts to practice right loyalty(義). Gyeongsangwoodo(慶尙右道) Aneum, where Donggye was born, wasstrongly influenced by the mood of Josik(曺植)`s Nammyeonghak(南冥學). Furthermore, he became a literary person of Naeam(萊庵) Jeong, inhong(鄭仁弘), who most resembled Nammyeong from Hapehcon, also, he claimed that his disposition was similar, therefore, he was deeplyinfluenced by Nammyeonghak, which was continued Nammyeong→Naeam. On the other hand, he served Wolcheon(月川) Jomok(趙穆), best student of Toegye(退溪) Yi Hwang(李滉) as his teacher, also, served Hangang(寒岡) Jeonggu(鄭逑), as his teacher, who served bothToegye and Nammyeong, and intended to harmonize NammyeongSchool and Toegye School. In other words, he was a person whoentered the political reality with both scholastic aspect and practicalaspect simultaneously by harmonizing the characteristic and advantageof both schools in himself, he was a remarkable person in scholastichistory of thought of Yeongnam school since Toegye and Nammyeong. Furthermore, he was emerged as a Namincheongronja(南人淸論) whenGwanghae`s daebuk power or Seo-in`s seize power since Injobanjeong, trained Yongju(龍洲) Jogyeong(趙絅) and Misu(眉수) Heomok(許穆) asdisciples, and became a remarkable person in this field, since he wasin the position of connecting Guihonamin(畿湖南人) school, which isconnected to Yi Hwang→Jeonggu→Jeong-on→Jogyeong·Heomok→Yiik(李瀷). However, Donggye showed different appearance from otherNammyeong scholars, while he was more strongly influenced byNammyeonghak rather than Toegyehak. That is, nevertheless thescholars of Gyeongsangwoodo region had a tendency to live inseclusion under the influence of Nammyeonghak, he intended toactively participate in politics, differently, also, became the mostupright vassal during Gwanghae and Injo period, while experiencingthe events in the center by forming relations with most of nationalmajor political affairs.

      • KCI등재

        망막분지정맥폐쇄 황반부종에서 세 가지 유리체강 내약물주입술의 단기 효과 비교

        송 한(Han Song),송희준(Hee Jun Song),양지호(Ji Ho Yang),김도균(Do Gyun Kim)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9

        목적: 분지망막정맥폐쇄에 합병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덱사메타손 삽입물 그리고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와 트리 암시놀론 혼합 주입술의 단기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분지망막정맥폐쇄에 합병된 황반부종으로 진단받고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9안, 1군) 또는 덱사메타손 삽입물(12안, 2 군) 또는 베바시주맙과 트리암시놀론 혼합(9안, 3군) 주입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입 전과 주입후 1개월, 3개월째 시력검사, 빛간섭단층촬영, 세극등현미경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각 군 사이에 치료 효과와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결과: 1에서 3군 모두 주사 후 1개월째 황반두께(μm)는 각각 326.32 ± 149.32, 311.50 ± 58.54, 282 ± 28.21, 3개월째 황반두께는 각각 407 ± 160, 348 ± 108, 289 ± 66으로 주사 전과 비교 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각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최대교정시력(logMAR)은 주사 후 1개월째 각각 0.45 ± 0.34, 0.37 ± 0.28, 0.30 ± 0.27로, 주사 후 3개월째 각각 0.43 ± 0.29, 0.35 ± 0.29, 0.24 ± 0.27로 주사 전과 비교 시 세 군 모두 유의하게 시력 개선을 보였으나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사후분 석에서 시력 호전율은 세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황반두께 감소 정도는 주사 후 1개월째 2군과 3군이 1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사 후 3개월째에는 1군에 비해 3군만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7). 결론: 분지망막정맥폐쇄에 합병된 황반부종의 치료로써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덱사메타손 삽입물, 베바시주맙과 트리암시놀론 혼합 주입술은 모두 시력 호전과 황반부종 감소를 보였다. 스테로이드 제제는 더 높은 황반부종 감소율을 보였으며, 베바시주맙과 트리 암시놀론을 혼합 주입하는 경우 베바시주맙의 짧은 반감기를 보완,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었다. 황반부종이 심한 환자에게 있어 덱사메타손 삽입물과 트리암시놀론 베바시주맙 혼압주입술이 고려될 수 있겠다. <대한안과학회지 2018;59(9):834-841> Purpose: Short-term results regarding the efficacy of intravitreal bevacizumab, dexamethasone implants, and triamcinolonebevacizumab in macular edema (ME) secondary to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were compare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0 eyes of with BRVO and ME. Patients received the following treatments: 1.25 mg of bevacizumab (group 1, n = 9), 0.7 mg of dexamethasone as an implant (group 2, n = 12), or a combination of 2 mg of triamcinolone acetonide and 1.25 mg of bevacizumab (group 3, n = 9). Measurements of visual acuity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ere performed at baseline, and at 1 and 3 months injection. Results: Compared to baseline, the CM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groups by 326.32 ± 149.32, 311.50 ± 58.54, and 282 ± 28.21, respectively, at 1 month and 407 ± 160, 348 ± 108, and 289 ± 66, respectively, at 3 month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each group. Compared to baselin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groups at 1 month and 3 months. Using post hoc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s of BCVA gain, but in degrees of CMT reduction, groups 2 and 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1 at 1 month and only group 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1 at 3 months (p < 0.017). Conclusions: The intravitreal injection of bevacizumab, a dexamethasone implant, or a combination of triamcinolone-bevacizumab could be effectively used in the treatment of ME due to BRVO. For ME, steroid treatment showed a greater reduction percentage, and in the case of the triamcinolone-bevacizumab combination, we could cover the short half-life of bevacizumab and the complications of steroid use. In severe cases of ME, an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or a combination of triamcinolone and bevacizumab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line therapy.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9):834-841

      • KCI등재후보

        덱사메타손과 베바시주맙에 반응없는 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환자에서 라니비주맙치료 1예

        권진영(Jin Young Kwon),송희준(Hee Jun Song),양지호(Ji Ho Yang),김도균(Do Gyun Kim) 대한검안학회 2018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7 No.3

        Purpose: To report a case of intravitreal ranibizumab for refractory macular edema secondary to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resistant to dexamethasone implant and bevacizumab. Case summary: A-65-year old female patient was hospitalized for visual disturbance and metamorphosia in the left eye. The patient had the symptom for 8 months however did not go through any treatment. In addition, she was admitted to the other hospital four months before as the onset of symptom and had the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for the diagnosis of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He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1.0 in the right eye and 0.3 in the left eye on the first examine. Retinal edema including macular edema, cotton wool spot, retinal hemorrhage were observed in the left eye. Fluorescein angiopraphy showed fluorescein leakage around the branch retinal vein in the late phase and macular edema with cystic change in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injection was performed first. Four months after the treatment, macular edema was worse and the visual acuity was not improved. Four times more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was performed. After 11 months of treatments, the subretinal fluid disappeared, but macular edema with cystic change was rather worse. Furthermore, ranibizumab injection was performed three times. Macular edema disappeared 16 months after the start of treatment and corrected visual improved to 0.6 in the left eye. Conclusions: Intravitreal ranibizumab injection appeared to be an effective option for the treatment of macular edema secondary to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resistant to dexamethasone implant and bevacizumab.

      • KCI등재후보

        『朱子書節要』와 『大東韻府群玉』의 비교 고찰

        宋熹準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4 남명학연구 Vol.17 No.-

        『朱子書節要』는 退溪 李滉(1501-1570)이 1558년 중국 宋나라 朱子(1130-1200)의 書札중 학문에 긴요한 것을 뽑아 편찬한 것이고, 『大東韻府群玉』은 草澗 權文海(1534-1591)가 1589년 우리 나라 檀君으로부터 조선조 宣祖까지 역사·인물·지리 등의 다양한 일은 韻字에 따라 표제어를 만들어 배열한 일종의 백과사전다. 따라서 兩書는 중국 것과 우리의 것이라는 큰 차이가 있다. 이 책의 편찬자인 퇴계와 초간은 사제간이었으며, 두 저술은 31년 간격을 두고 이루어졌다. 양서의 간행과 보급 그리고 후대 영향과 활용에 있어서도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 간행과 보급에 있어서는, 『주자서절요』는 편찬된 직후에 많은 제자들이 서로 앞다투어 간행하였다. 그 결과 편찬 직후 10년 내에 5차례라 출판되는 획기적인 기록을 세웠다. 이는 우리 나라 출판문화 역사에 있어서 단기간에 동일 서적을 여러차례 출판한 것으로 찾아보기 힘든 예이다. 뿐만 아니라 그 뒤에도 지속적으로 간행하여 널리 보급되었기에 가가호호 구비되게 되었다. 반면에, 『대동운부군옥』은 편찬되어도 아무도 간행해주지 않았으며, 후손의 지극히 힘겨운 노력으로 편찬된 지 248년만에야 겨우 간행되게 되었다. 양서가 후대에 미친 영향과 그것의 활용에 있어서는, 『주자서절요』는 후대의 반향과 활용이 엄청나서 조선조 성리학자라면 누구나 필독서로 읽었다. 뿐만 아니라 이 책에 나오는 용어와 고사 그리고 내용 등이 우리 나라 문인들의 문집에 다량으로 반영되고 응용되어 활용의 반향이 대단하였다. 반면에, 『대동운부군옥』은 지극히 미미하여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48년간만에 간행된 요인도 있지만 간행된 이후에도 중국의 것에 경도되어 있는 우리 나라 사대부들의 學風的 영향 때문에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일제시대와 현대에 와서야 민족적인 것을 강조하면서 주목받게 되었다. 요즘 학계에서 많은 저술과 논문에서 이 책을 언급하여 매우 주목받고 있다. Jujaseojeolyo(朱子書節要) was published in 1558 by Lee Hwang(李滉 1501-1570), who excerpted some essential parts to study from the letters Written by Ju Ja(朱子 1130-1200) and made a compilation as a book. Daedongunbugunok(大東韻府群玉) is a kind of encyclopedia published in 1589 by Kweon Mun-haw(權文海 1534-1591), who arranged historic events, figures, geographic figures, and others from the age of Dangun, the mythical founding father of the Korean nation, to the age of King Seonjo in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lemmas made by rhyme. The editors of the two books were in relations of a master and a pupil and there is thirty years' disparity in the publication of the two books. There are also big differences of the two books in the publication and supply, the use and the effects on the future generations. Jujaseojeolyo was in high competition among Lee Hwang's pupils who wanted to publish and supply it soon after Jujaseojeolyo came out. In result, six versions of it were published within ten years after the fiist publication of Jujaseojeolyo by Lee Hwang. It is an unusual record that the same one book was published in such a short period. Even after that, the book kept being published and supplied to almost each house. On the other hand, Daedongunbugunok was rarely published after its compilation, and in 248 it was published through his descendants' efforts. In terms of the use and the effect on future generations, Jujaseojeolyo was so great in response and demand that most of the scholars of Seonrihak(性理學), a philosophy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in the Joseon(朝鮮) Dynasty period must have read the book. Moreover, many of terms, contents, and ancient happenings expressed in Jujaseojeolyo were quoted and adapted into the collections of works of literary men. But Daedongunbugunok was not in much use and notice by people. It may be because it was published after too long interval of 248 years and because the Korean scholars were oriented toward China in their academic traditions. So it was almost impossible to expect the book to be used by people, until the ag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modem age when national things became to be emphasized and noticed. Recently Daedongunbugunok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academic circles through being quoted in the books and articles of the scholars.

      • 球形 글라스비즈의 흐름角 測定

        姜錫浩,宋希準,安熙官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78 연구보고 Vol.6 No.1

        In order to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of spherical glass-beads ranging from 40 mesh to-115 mesh, its angle of repose and angle of rupture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average particle size, addition of fine powder as glidant or lubricant, and admixture of 2 or 3 adjacent fractions of beads classified by screening. The angle of repose of the glass-beads increases with increasing particle size of above 100 mesh, but for beads smaller than 100 mesh, the angle of repose increases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 Fine glidant of montmorcalite added to the beads in very small concentrations of 0.6wt, % decreases the flow angles, while it tends to increase strongly the flow angles at higher concent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