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오리아"(Theoria)인가 "테우르기아"(Theurgia)인가?: De Mysteriis에 나타난 이암블리코스의 "영적 플라톤주의"

        송현종 ( Hyone Jong Song ),박규철 ( Kyu Cheol Park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3 No.-

        시리아 학파의 태두인 이암블리코스는 고대 말 신플라톤주의 흐름에서 ``제설혼합주의``(syncretism)를 주창한 대표적인 신플라톤주의자이다. 그는 헤르메스주의(Hermetism)를 통해 고대 그리스에 등장한 이집트 신학과 『칼테아 신탁집』(Oracular Chaldaica)의 종교 의례적 전통을 ``영적인 플라톤주의``라는 맥락에서 절묘하게 융합시키고, ``테우르기아``(theurgia)에 기반 하여 자신의 독특한 일원론적 형이상학을 전개한다. 무엇보다도 이암블리코스의 영적인 플라톤주의는 신플라톤주의의 창시자인 플로티노스와 로마학파의 대표자인 포르피리오스의 ``관상(contemplation)적 일원론``에 대한 비판과 반성 속에서 형성된다. 플로티노스는 물질을 악으로 규정하고 영혼의 하강을 부인하나, 이암블리코스는 물질을 선으로 규정하고 영혼의 하강을 긍정한다. 또한 이암블리코스는 플라톤주의의 수학화·추상화·이성화를 비판하는 차원에서 플로티노스와 포르피리오스의 관상 개념도 비판한다. 이런 비판을 통하여, 이암블리코스는 플라톤 철학의 고유한 이상을 ``신인합일``, 즉 인간의 ``신적 동화``에서 찾는 영적인 플라톤주의를 정립한다. 『이집트 신비에 관하여』는 이암블리코스의 이러한 영적인 플라톤주의, 즉 테우르기아에 기반 한 그의 영적인 플라톤주의가 잘 드러나 있는데, 여기에서 그는 ``신성의 수용체로서 물질에 대한 긍정``, ``신적 질서의 투영체로서의 우주`` 그리고 ``영혼의 완전한 하강을 통한 인간의 신격화``이라는 3가지 논점을 특별히 강조한다. 또한 그는 ``테우르기아적 합일``을 다음 2가지, 즉 물질에 영혼을 불어넣는 ``조상 제의``(telestike)와 육신을 통하여 신을 현전시키는 ``육화(肉化)제의``(eiskrinein)로 구분하면서, 이 구분을 통하여 세계의 성화(consecration)라는 우주론을 형성하고, 신인합일에 근거한 존재론적 변형과 구원론(soteriology)을 제시한다. 이암블리코스의 이러한 영적인 플라톤주의는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지성적 사유와 종교적 경험의 통합을 지향하는 그의 형이상학은 천상과 지상 그리고 영혼과 육체의 대립을 통합적으로 사유하는 전통을 부활시킴으로써,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로 대변되는 서양 문화의 이면에 자리해온 신비주의적 전통을 온전히 드러낸다. 다음으로 이암블리코스 철학은 추상적 관념주의와 유물론적 세계관이라는 현대의 극단적 이원론을 통합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이론 중심적 사유와 실천 중심적 삶을 통일시키는 데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지상의 인간은 필멸하는 신이요, 천상의 신은 불멸하는 인간이다."- Corpus Hermeticum, X.25 A Syrian neoplatonist, Iamblichus(c.250-c.330 CE), was a syncretistic scholar and mystagogue with theurgic fervor in late antiquity. Under the influence of Greek philosophy based on the Hellenistic milieu, he accepted the context of the spiritual Platonism, focusing on two mystical sources: Hermetism appeared from the Egyptian theology and Oracular Chaldaica putatively originated from Babylonia. Contrary to the contemplative monism of Plotinus and Porphyry, his therugical monism, emphasizing on the hieratic ``ergon``, was introduced as a methodological strategy for restoring the Hermetic tradition, in pursuing the unification of mystical experience and intellectual philosophy. Subsequently, Iamblichus severely criticized the overweight of rationalization in the geometrical Platonism for succeeding to the spiritual Platonism which proclaimed ``a homoiosis theo as a ultimate goal of Platonic paideia. In this regard, there are three cardinal argumentations on ``matter``, ``cosmos``, and ``soul``, in his refutative epistle, De mysterii. First he characterizes matter as the receptacle of divinity. Second cosmos is grounded on the divine order. Finally, the deification of the soul is justified as his doctrine of the embodied soul, due to the idea that the soul is fully able to descend into human body. As a result theurgic union, in contrast to the metaphysics of ``theoria`` of Plotinus,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of ritual arts; ``telestike``, animating of statues depending on the use of ``sumbola`` or ``sunthemata``, and ``eiskrinein``, incamating a god in mediumistic trance of the initiate. The former implies the consecration of cosmos and the latter, relating to the ontological transformation, reveals the Platonic paideia which arms at a soteriological task. The concept of the Platonic paideia contains the stages of soul`s ascent to the gods. After having fully descended to the mortal world, a soul could be reoriented from his self-alienation by the driving force of eros. Iamblichus` attempt to synthesize religion with philosophy has decisivel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e dark side, or "(pagan) Other" of mainstream currents of western culture represented by the Greek philosophy, Christianity, and Science. Today, Iamblichean teachings shed light on the fundamental matter of the transcendent vs immanent dichotomy,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participatory attitude about the academic research, from the spirit inscribed on the Emerald Tablet of Hermes: ``As above, so below``.

      • KCI등재

        니체의 유대민족 비판에 관한 성격 연구

        송현종 ( Song¸ Hyone-jong ),이승종 ( Lee¸ Seung-chong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신의 죽음’으로 대표되는 니체의 그리스도교 비판에 관한 논의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는 니체의 유대민족에 대한 비판도 만날 수 있게 된다. 오늘날에도 니체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니체를 파시즘이나 나치즘과 연관시키는 일이 있지만 드물다. 하지만, 니체의 사유가 가진 몇몇 특징들은 여전히 어떤 의문에 놓여 있기도 하다. 이에 본 논고는 니체의 유대민족 비판이 어떤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떤 논리를 배경으로 취하고 있는지를 세밀히 파악하여 비판의 성격을 분명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니체가 그의 저술 전체에서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는 그리스도교비판을 중심으로 쟁점이 되는 주제와 개념을 발굴하여 정립하였고, 이 개념들이 당대유럽을 휩쓴 인종주의와 어떤 연관 관계에 놓여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후 니체가 사용한 ‘가치전도’라는 용어가 함축하고 있는 철학적 의미를 역사적으로 다루어보고자 한다. 동시에 ‘가치전도’가 유대-그리스도교적 특징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와 전환의 배경을 기억사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고가 의도하는 바는 첫째, 니체의 유대민족에 대한 비판이 일관되게 철학적이고, 종교적이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니체의 사유를 정치적 편견이나 인종주의의 혐의에서 자유롭게 만드는 것이며, 둘째로는 니체가 ‘가치전도’와 관련하여 유대민족에 대해 양가적인 태도를 보임을 지적하고, 마지막으로 서양의 사유 전통에서 유대-그리스도교 이전에 대한 기억사적 고찰을 시도함으로써 ‘신의 죽음’ 이후의 가치는 무엇인가? 라는 논의의 지평을 열고자 하였다. Nietzsche as a critic of Judeo-Christian values, declared ‘Gott ist töt’ in the fin-de-siècle. His statement implied a massive fall of the predominant and central values in the history of Western thought. In other words, its implication has greatly diverged into two aspects: values beyond the sensible are not able to be considered as important as the previous times, and the enormous power of God does not have considerable impact on human life anymore. Nietzsche’s criticism of Judeo-Christian values dealt with two sections: the morality of Christianity on the basis of original sin in the Book of Genesis (the Old Testament) and the concept of the abstract God which abominates natural things in the actual world. In this regard, we can make a conjecture on his inclination towards anti-Judaism. Nietzsche, however, did not agreed to the tremendous enthusiasm of nationalism originated from ‘anti-Semitism’ since it was mainly focused not on monotheistic features of the Abrahamic religions but on rampant racism grounded on pseudo-scientific assumptions such as eugenics, phrenology and anthropological conjecture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refore, Nietzsche could not be determined to be anti-Semitic because he strongly criticized the concept and cultural heritage of a monotheistic God originating from the Jewish nation, rather than Semitic people themselves. According to the view of Assmann’s ‘mnemohistory’, ‘normative inversion’ of the Semite means a thorough rejection against the cosmotheistic worldview of the Egyptian. Nietzsches’s criticism clearly targeted at not the Jewish people but their religio-philosophical beliefs and values resulting from what they rejected. Consequently, I think he does not approve of anti-Semitism since he has no racial bias on the Jewish people themselves. In a central line of the argumentation in Nietzsche’s work Anti-Christ, Beyond Good and Evil, and Also spoke Zarathustra, Nietzsche must be not an anti-Semite, but a fierce critic opposed to the values of Judaeo-Christianity in the religio-cultural milieu.

      • KCI등재

        곰의 변환과 결합에 관한 상징적 의미에 관하여82)

        송현종 ( Song Hyone Jo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9 No.-

        이 글은 인간과 동물이 혼인이라는 관념을 통해서 결합하여 신성한 존재로 변형되거나 신성한 아들을 출산함으로써 존재변형을 성취한다는 신화적 내용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동물 중에서도 곰의 상징성에 주목하면서 사냥 의례에 관한 여러 문화적 흔적들과 설화들을 살펴볼 것이다. 곰과 관련한 흔적을 통해 ‘영혼’을 매개로 인간과 곰이 서로 합일한다는 내용적 보편성이 발견됨에 따라 인간의 조상이 곧 곰이라는 관념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의 조상은 곰의 힘과 특성을 소유하였으며, 인간은 이를 근거로 곰 신, 곰 왕의 관념을 갖추기에 이르게 된 것이다.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한 구석기문화에서 북유럽 게르만민족의 전통에 이르기까지 곰을 둘러싼 문화를 인류학과 신화학을 중심으로 여러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곰과 인간의 존재변형과 그것이 지닌 개인적-공동체적 의미를 여러 각도에서 조망 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단군 신화에 단편적으로 드러나 는 곰과 관련한 신화소들이 지닌 문화적 의미를 보다 보편적으로 이해하고 자 하였다. In ‘Ancient Chosu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re are the two mythic themes as the transformation from bear into human and human-animal marriage occupying the only a small part of it but they have profound implications of mythological and religious aspects. At first, we have to pay sharp attention to the fact that activities for animal rituals specializing in bear in the paleolithic era have mainly been found in ‘cave’. Affinity between man and bear based on morphological similarities in appearances could be enough to the second remarkable thing and the last could be involved in the concept of transformation from bear into human vice versa. Most of the cases of transformation are closely related to marriage between human and animal. As a matter of fact, man in ancient times tended to show dual attitudes to bears and it follows; bear as prey for feeding and as godly being to worship. Namely man in the paleolithic era regarded bear as a big game for survival and as a ghostly being for shamanic ritual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notion of human-animal marriage, I construe, is a kind of an acceptable solution to the contradictory problem he faced, not least using a symbolic combination as a heterogeneous hybrid. Man as a result of the marriage between man and animal, is reincarnated in a newly enhanced form, equipped with experiential intelligence and brutal strength. ‘Bear’ in Dankun mythology i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notion of bear worship widespread in northern parts of the world and the tradition of mountain-gods(山神) in Korea. Assuming that bear-skulls were worshiped in the cave in the paleolithic era, shamanism must be a central function in forming the idea of animal trans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symbolic meanings which bear contains. From a mythological approach on the basis of 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research, my work aims at discovering symbolic meaning of bear and its ri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