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노동시장의 유연성 개선 여부 분석

        송태정(Tae-Jung Song) 한국계량경제학회 2005 계량경제학보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경기변동에 대한 ‘고용조정의 유연성’과 ‘실업의 지속성’을 중심으로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개선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더미변수가 포함된 간단한 기본 모형에서 출발하여 기존의 시간변동계수 모형(time-varying-parameter)과 기간별로 이분산을 허용한 시간변동계수 모형으로 확장하였다. 분석 결과, 노동시장 유연성의 단기적인 측면을 볼 수 있는 ‘고용조정의 유연성’은 외환위기 이후 제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유연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업의 지속성’은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기간 평균으로는 개선되지 않았으나, 외환위기 직전에 비해서는 다소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시간변동계수 모형을 도입함으로써 첫째, 추정계수의 연속적인 변화를 통해 구조변화 시점을 명시적으로 결정하지 않아도 시간에 따른 추정계수의 추세적인 방향과 구조변화 시점을 쉽게 포착할 수 있었고, 둘째, 우리나라 실업률 자료를 분석할 때 외환위기의 충격에 따른 이분산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당국의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가질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nalyzes whether the flexibility of the Korean labor market has improved following the financial crisis by looking at the change in employment flexibility and persistence of unemployment in response to business fluctuations. As analysis methods, this research first employs a simple model, which includes a dummy variable, the timevarying- parameter model, and a time-varying-parameter model with heteroskedasticity over time allowed. The results indicate that, employment flexibility, which reflects labor market flexibility in the short-term, has improv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Flexibility can be assessed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based on persistence of unemployment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on average, it has not eased compared to the pre-crisis period, but has weakened somewhat compared to the period just before the crisi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outcome for government policy on labor market flexibility are that future efforts need to be directed towards weakening persistence of unemployment through such means as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agencies and relaxation of restriction. In addition, by introducing a time-varying-parameter model, this research easily captures the general direction and structural changes of the estimated coefficient over time without specifying the point in time of structural change by continuously altering the estimated coefficient; and second,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need for heteroskedasticity in order to account for the shock caused by the financial crisis when examining Korea’s unemployment rate data.

      • KCI등재

        글로벌 자원위기의 거시경제적 효과분석

        송태정(Tae-Jung Song),김기승(Gi-Se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는 향후 글로벌 자원위기 발생 가능성을 점검해보고, 자원가격의 상승이 우리경제에 어떠한 의미와 영향을 줄 것인지 살펴본다. 향후 글로벌 자원 공급의 제약은 세계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자원위기에 대한 적절한 대응여하에 따라 각국의 경제발전 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자원의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와 같은 자원 비효율적인 산업구조를 유지한다면 거시경제 충격과 산업 경쟁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소비가 많은 철강, 화학 등의 제조업부문에서 자원 절감,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앞으로의 자원위기는 구조적인 공급 제약이 근본 원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일시적인 위기관리보다 기업, 소비자 등 경제주체들이 자원의 희소성 심화라는 패러다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산업의 구조전환(Industry Transformation)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probabilities of future global resource crisis and what significance and effect will come upon our economy through the rise of the cost of resources. From now on, the lack of the supply of global resources will dull the world economic growth. Not only that, but the direction of each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will be decided by the appropriate measure to the resource crisis. If we are to sustain this inefficient industrial structure, as a country with high dependancy on foreign resources, Korea might face macroeconomic shock and the loss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refore, we must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esource usag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such as the chemical and steel industry, and now is a period when we must add high value to our products. Henceforth, the structural constraints of supply will be the root cause of resource crisis. Thus, we must lead the subject of the economic agencies, such as companies and consumers,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adapt to a new paradigm called the fundamental lack of resources, rather than temporal crisis management. The Korean economy must adjust the environment for industry transformation to be achieved.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노동시장의 유연성 개선 여부 분석

        송태정(Tae-Jung Song) 한국계량경제학회 2005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경기변동에 대한 ‘고용조정의 유연성’과 ‘실업의 지속성’을 중심으로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개선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더미변수가 포함된 간단한 기본 모형에서 출발하여 기존의 시간변동계수 모형(time-varying-parameter)과 기간별로 이분산을 허용한 시간변동계수 모형으로 확장하였다. 분석 결과, 노동시장 유연성의 단기적인 측면을 볼 수 있는 ‘고용조정의 유연성’은 외환위기 이후 제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유연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업의 지속성’은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기간 평균으로는 개선되지 않았으나, 외환위기 직전에 비해서는 다소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시간변동계수 모형을 도입함으로써 첫째, 추정계수의 연속적인 변화를 통해 구조변화 시점을 명시적으로 결정하지 않아도 시간에 따른 추정계수의 추세적인 방향과 구조변화 시점을 쉽게 포착할 수 있었고, 둘째, 우리나라 실업률 자료를 분석할 때 외환위기의 충격에 따른 이분산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당국의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nalyzes whether the flexibility of the Korean labor market has improved following the financial crisis by looking at the change in employment flexibility and persistence of unemployment in response to business fluctuations. As analysis methods, this research first employs a simple model, which includes a dummy variable, the timevarying-parameter model, and a time-varying-parameter model with heteroskedasticity over time allowed. The results indicate that, employment flexibility, which reflects labor market flexibility in the short-term, has improv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Flexibility can be assessed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based on persistence of unemployment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on average, it has not eased compared to the pre-crisis period, but has weakened somewhat compared to the period just before the crisi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outcome for government policy on labor market flexibility are that future efforts need to be directed towards weakening persistence of unemployment through such means as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agencies and relaxation of restriction. In addition, by introducing a time-varying-parameter model, this research easily captures the general direction and structural changes of the estimated coefficient over time without specifying the point in time of structural change by continuously altering the estimated coefficient; and second,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need for heteroskedasticity in order to account for the shock caused by the financial crisis when examining Korea’s unemployment rate data.

      • ‘재난관리자원 효율적 운영·관리 기술개발’ 연구 소개

        김준하(Joon Ha Kim),송태정(Tae Jung Song),김종빈(Jong Bi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2 Disastronomy Vol.5 No.2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문제가 발생하면서 자연재난의 피해가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다. 효율적인 재난 대응을 위해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 분배 및 운영은 재난복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지원을 위해서 지자체에서 적정량의 재난관리자원을 비축해야 하나, 너무 과도하게 보유할 경우, 관리를 위한 비용이 많이 들고, 적게 보유하면 재난 상황 시 효과적인 대처가 곤란하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연구해왔다. 2014년부터 행정안전부는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RSS, Disaster Resource Sharing Service)을 개발하여 부서별로 운영되던 재난 관리 시스템을 하나의 업무포털로 통합하여 협업할 수 있도록 하였다. DRSS를 통해 재난관리자원의 현황을 파악하여 재난발생 시 그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DRSS는 기본적인 데이터 수집 및 단순 분석을 주로 수행하고 있어, 운영에 대한 검토와 분석이 필요하며, 각 지역의 재난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고에서는 현재 본 기관이 수행하고 있는 재난 유형별, 적정 수량 재고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및 비축기준 마련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재난관리자원 효율적 운영·관리 기술개발’ 연구과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Recently, as climate change problems occur around the world, the damage of natural disaster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diversifying. For efficient disaster response, the efficient distribution and operation of disaster resources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disaster recovery. Local governments should stock up on appropriate disaster resources for rapid support in the event of a disaster, but if they have too much, they are expensive to manage, and if they have less, it is difficult to deal effectively in a disaster situation. To this end, the government has studied the efficient operation of disaster resources. Since 2014,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as developed a Disaster Resource Sharing Service(DRSS) to integrat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perated by each department into a single business portal for collaboration. Through DRS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disaster resources and respond according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However, DRSS mainly performs basic data collection and simple analysis, so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analyze the operation, and consider the disaster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disaster resources” research project to develop technologies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ing stockpiling standards for each type of dis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