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온 고체고분자 연료전지의 냉각장치

        송태원(Taewon Song),이승재(Seungjae Lee),신재영(Jaeyoung Shin),Jie Peng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11

        Recently, much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igh-temperature PEMFC based on the temperature resistant polymer membrane such as PBI(polybenzimidazole), which allows to work at temperature over 100℃. At high temperature, CO poisoning can be alleviated by reducing chemisorptions of CO. In this research, water is adopted as the coolant, which experiences the phase change over 100℃ with latent heat. There is no necessity of the pump for circulating the coolant because of the natural convection by the density difference of steam and water.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oling device of 1kWe class high-temperature PEMFC, firstly, the preliminary theoretical approach was performed for calculating the area of the heat exchanger and then, the stack performance and temperature stability according to electric load were experimentally carried out. The result shows the importance of the stack insulation for heat loss and stack operation.

      • KCI등재

        AdBlock에 의한 광고차단의 법적 문제에 대한 고찰

        송태원(TAEWON SONG),이희옥(HEUIOK LEE)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19 No.2

        인터넷광고는 다른 광고매체 수단에 비하여 적은 비용으로 광고효과의 직접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으며, 양면시장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의 주요 수익원이 되고 있다. 그러나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한 이용자에 대한 광고노출의 인위적인 강요는 이른바 성가신 광고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대하여 해외에서는 AdBlock과 같은 광고차단도구의 설치를 통해 이용자가 스스로 광고를 차단하는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용자의 자력구제는 광고 안 볼 권리의 내용이 무엇인지 명확히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이루어지는 측면이 있어 권리관계의 불명확에서 오는 비효율성이 있다. 특히 인터넷이라는 공유(共有)의 공간에서 권리의 부재에서 오는 불확실성은 사업자가 과도하게 성가신 광고를 내보내는 원인이 된 측면이 있으며, 또한 이용자의 AdBlock 설치에 의해 성가시지 않은 유형의 광고까지 과도하게 차단할 우려가 있으며, 종국적으로 인터넷 양면시장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인터넷공간에서 자유롭게 정보에 접근하려는 이용자의 광고차단 시도를 둘러싸고, 이를 이용해 수익을 얻고자하는 이들과 매체의 광고수익원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사업자의 다툼은 치열하다. 본고는 AdBlcok에 의한 광고차단으로 해외에서 발생한 법적 분쟁사례를 바탕으로, 광고 안 볼 권리의 내용을 어떻게 확정할 것인가를 숙고하고 본건과 같은 사안이 국내법적으로 어떠한 쟁점들을 야기하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Compared to other advertising media means, Internet advertising has its own economic advantage so that it has become a main income source of the Internet advertising industry and Internet-based business. However, in order to enhance the advertising effect, the contents provider offers ads indiscriminately in the region of the users, so it brought the inconvenience of a user by annoying ads. Under the situation which has no regulation of this type of advertising, the user is likely to block ads through installing some ad blocking tools, such as “AdBlock”. But such kind of self-help measure is composed randomly even while the content of right to see was not confirmed. So it may causes inefficiency from the unclear of legal relationship. In particular, the uncertainty, which comes from the absence of the right, extended to the situation that the content provider displayed too much annoying ads in the sharing space of the Internet. Also the extension of installing AdBlock by users, who wants to make information access easier personally, reduced the efficiency of internet double-sided market. About the attempt of advertising block by the user, who wants to access information freely in Internet area, there is a fierce struggle between some who try to obtain the profit through it and other enterprises who don’t want to lose the profit source of media. This paper, based on the legal disputes in the case of advertising block by AdBlock which occurred in the overseas, ponder how to confirm the contents of the right not to see and consider the various derived legal issue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may give help to restrict annoying ads and develop the sound internet advertising industry even a little.

      • KCI등재

        공정거래위원회 경고조치의 법적 성격에 대한 검토 -대법원 2013. 12. 26. 선고 2011두4930 판결을 중심으로-

        송태원 ( Taewon So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2

        The Fair Trade Commission issues warning decision in case where the violation of law is minor. The resolution issu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states that the FTC warns the party against a specific action but it is uncertain whether the warning has any legal effect. It is clear, however, that the warning is a confirmation of the fact that the business operator who received warning violated the law. In this regard, what matters is what kind of mean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available if the business operator wants to challenge the illegality of the warning. Traditionally, the court judged that warning is simply a factual act and not an act of disposition, which can become the subject of revocation litigation. However, the ruling by the Supreme Court, Ruling Number 2011두4930, issued on December 12, 2013, acknowledged the dispositive nature of warning and made a decision on the merits of the case accordingly in the revocation litigation.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in this ruling, the Supreme Court acknowledged warning as an administrative act in a narrow and theoretical sense or as a powerful factual act, which is an act of disposition subject to revocation litigation. In any case, it seems difficulty to acknowledge warning itself as an administrative act in the narrow sense for two reasons: Firstly, the issuance of warning does not result in change in any rights and obligations. Secondly, imposing penalty points according to warning does not immediately change the legal status of the other party. Therefore, the reason the warning issued by the FTC is subject to revocation litigation is that the warning is considered a powerful factual act. What matters now is which means of relief should be used-revocation litigation or party litigation in public law. Under the situation where other type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besides revocation litigation are rarely used, expanding the concept of “disposition” to enable revocation litigation may be an effective legal remedy. However, if party litigation is used more actively, revocation litigation would not be necessary and the parties concerned could remedy their own rights more effectively since there is no limit to the period for party litigation. Moreover, it is desirable to facilitate the use of party litigation with no limit to litigation period considering that the legal effect of warning will be produced if there is any additional violation of law and the party concerned is subject to penalty.

      • KCI등재

        해킹사고 주의의무 판단기준으로서 최선의무 도입에 관한 일고

        송태원(Taewon So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2

        법원은 해킹으로 인한 정보유출에 대한 일련의 민사판결에서 정보처리자의 배상책임을 부정하고 있다. 손해배상이 인정되지 않는 이유는 정보유출만으로 실질적 권리침해가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 사업자의 주의의무 위반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 등 다양한 이유가 있다. 본 논문은 이중 해킹 방지를 위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주의의무 측면을 논의하였다. 정보통신망법과 그 하위규정인 방송통신위원회의 고시는 해킹 방지를 위한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 수준을 정하고 있다. 동 고시는 사업자가 지켜야할 주의의무 수준에 대한 하나의 기준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것만이 사업자와 서비스 이용자간 계약으로 정하여지는 정보보호 수준을 정하는 척도가 될 경우에는 이용자 정보보호에 미흡할 수 있다. 종래 판례는 옥션 해킹 정보유출 사건과, KT 해킹 정보유출 사건에서 공법상기준을 사업자가 준수하면 책임이 없다는 태도로 판단하여 많은 비판을 받았다. 네이트·싸이월드 정보유출 사건에서는 종전보다 진일보하여, 공법상 주의의무 위반이 없더라도 사회통념상 요구되는 일반적 주의의무 위반이 있는 경우 배상책임이 인정될 수 있음을 판시하였다. 대법원 판결이 해킹으로 인한 정보유출 손해배상 사건에서 정보유출만으로 배상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그 책임이 과실책임의 영역이고, 또한 해킹 방지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이용자간의 이익균형이 필요한 문제이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다만 앞으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가 더 많아지고 정보보호 필요성은 더욱 부각된다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본 KT 해킹 정보유출 사건의 하급심 판결인 서울중앙지방법원 2017. 2. 17. 선고 2014가소413127 판결의 이유에 착안하며, 정보처리자가 자율적으로 정보보호에 대한 주의의무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정착될 수 있도록 사업자에게 정보보호에 관한 최선의무를 부과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court denies the informant’s liability for damages in a series of civil rulings on information leakage due to hacking. There are various reasons such as the fact that infringement of actual rights is not recognized solely due to information leakage, and that a violation of the duty of care by the operator is not recognized. This paper discusses the careful aspec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to prevent double hacking. The notification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which is the information network law and its subordinate regulations, establishes the level of technical and managerial safeguards to prevent hacking. The notification may provide a single standard for the level of attention required of the operator, but it may be insufficient to protect the user’s information if it is a measure of the level of information protection defined by the contract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service user. The previous case was judged by the attitude that the auction hacking information leakage case and the KT hacking information leakage case are not responsible if the company adheres to the standard of the public law. In case of Nate Cyworld information leak, it was found that the liability of compensation can be recognized even if there is no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pay attention to public law. The Supreme Court ruling does not recognize liability for information leakage due to hacking because it is a matter of fault liability and prevention of hacking is a problem that requires balance of profit betwe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user. However, since more information-based services are needed in the future and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protection is more emphasize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asons for the subordination of this KT hacking information leakage case, And discussed ways to impose the best efforts obligation on information security to businesses so that measures to raise the level can be settled.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수평적 기업결합 연구 -배달앱 기업결합 사례를 글감으로 하여-

        송태원(Taewon So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3 No.1

        본 논문은 배달앱 회사의 기업결합 사례를 글감으로 하여 플랫폼 기업의 수평적 기업 결합 규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정거래법상 기업결합 규제는 다른 경쟁법적 규제수단과 달리 사전규제적 성격을 갖고 있다. 사전규제는 미래예측적인 규제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집행의 오류 가능성이 높다. 과대집행의 오류와 과소집행의 오류 중 과대집행의 오류를 피하는 것이 더 낫다는 판단에 따라 기업결합규제에서 경쟁제한성을 엄격히 분석하도록하는 경우 경쟁당국은 경쟁제한성 추정조항을 통해 경쟁제한성을 입증하고, 형태적 시정조치 부과를 통해 기업결합은 허용하면서도 경쟁제한행위를 막았다는 절충적인 선택을 하기 쉽다. 그러나 기업결합 규제는 애초에 그 목적이 경쟁제한성을 유발하는 경쟁구도를 형성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경쟁의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규제이다. 플랫폼 시장에서도 경쟁구도가 고착화되는 경우 경쟁압력이 낮아져 경쟁저해행위가 발생할 수 있다. 기업결합을 통해 기업결합 당사회사의 시장점유율이 현저히 높아지는 경우 잠재적 경쟁사업자에게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한다. 이에 플랫폼 기업의 수평적 기업결합에 대해서는 경쟁사업자의 신규진입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경쟁제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형태적 시정조치를 할 것이 아니라 시장경쟁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구조적 시정조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horizontal business combination regulation of platform companies using the example of business combination of delivery app companies. Under the Fair Trade Act, business combination regulation has a pre-regulatory nature. Due to the nature of the forward-looking regulations, it has a relatively high probability of execution errors. So for regulatory authorities it is easy to make an eclectic choice to prevent corporate restrictions while allowing business combination through imposing formal corrective actions. However, the regulation of business combination is a regulation in the structural aspect of market competition. In the platform market, if the competitive structure is solidified, competition pressure may be lower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competition. When the market share of companies increases significantly through business combination, it acts as a high barrier to entry for potential competitors.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hat structural corrections are needed to restore market competition, rather than morphological corrective action.

      • KCI등재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확률적 이웃 탐색 기법

        송태원(Taewon Song),박현희(Hyunhee Park),백상헌(Sangheon Pack) 한국통신학회 201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9 No.9(네트워크)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이웃 탐색 과정은 네트워크를 초기화하는데 먼저 수행되어야 하고, 라우팅 알고리즘이나 토폴로지 컨트롤, 그리고 MAC 계층 설계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므로 효율적인 분산적 이웃 탐색방법 설계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적 이웃 탐색 기법 (PND: Probabilistic neighbor discovery)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MIMD (Multiplicative-increase, multiplicative-decrease) 정책을 통해 광고 메시지의 전송확률을 제어함으로써 이웃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임의의 기기가 광고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그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충돌 감지 기법 (CD: Collision detection)을 도입함으로써 확률적 이웃 탐색 기법의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 기법이 모든 이웃을 탐색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15.6%~57%까지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wireless ad hoc networks, neighbor discovery is essential in the network initialization and the design of routing, topology control, and medium access control algorithms. Therefore, efficient neighbor discovery algorithms should be devised for self-organization in wireless ad hoc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babilistic neighbor discovery (PND) algorithm, which aims at reducing the neighbor discovery time by adjusting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of advertisement messages through the muiltiplicative-increase/multiplicative-decrease (MIMD) policy. To further improve PND, we consider the collision detection (CD) capability in which a device can distinguish between successful reception and collision of advertisement message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ransmission probabilities of PND and PND with CD converge on the optimal value quickly although the number of devices is unknown. As a result, PND and PND with CD can reduce the neighbor discovery time by 15.6% to 57.0% compared with the ALOHA-like neighbor discovery algorithm.

      • KCI등재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인지형 재전송 기법

        김나명(Namyeong Kim),송태원(Taewon Song),김원중(Wonjung Kim),백상헌(Sangheon Pack) 한국통신학회 201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9 No.2(네트워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Scalable Video Coding: SVC)의 경우 가변적인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기본 계층과 향상 계층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송하게 된다. 특히 향상 계층의 디코딩은 기본 계층의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재전송 기법은 기본/향상 계층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재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재전송 기법은 기본 계층과 향상 계층을 나누어서 채널상태에 따라 디코딩에 필요한 수 만큼의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불필요한 재전송을 방지하고 총 전송시간을 감소시킨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한 재전송 기법이 기존의 재전송기법보다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12.6%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전송 시간도 6.6~19.1% 만큼 감소됨을 보여준다. Scalable video coding (SVC) encodes multimedia data into a base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to cope with variable network conditions in an adaptive manner. In SVC, enhancement layers can be decoded only when the base layer is successively received. However, existing works on SVC transmissions in IEEE 802.11 WLANs do not fully investigate this characteristic and thus their performance can be degra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VC-aware retransmission (SAR) scheme in IEEE 802.11 WLANs. The SAR scheme applies different retransmission policies for base and enhancement layers by obtaining the optimal number of frames to be retransmitted. As a result, the SAR scheme can reduce unnecessary retransmissions and minimize the transmission latency.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AR scheme can reduce unnecessary data transmission by 12.6% and the transmission latency by 6.6~19.1% compared to conventional retransmission schemes.

      • KCI등재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의 확률적 컨트롤러 선택 기법

        신민수(Minsu Shin),송태원(Taewon Song),백상헌(Sangheon Pack),신명기(Myung-Ki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9 No.11

        본 논문은 다수의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Software-defined network: SDN)에서 전체 네트워크의 부하를 균형적으로 분산시키고, 동시에 개별 플로우의 처리 지연시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확률적으로 컨트롤러를 선택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에서는 새로운 플로우 발생 시 확률적으로 컨트롤러를 선택하며 컨트롤러의 선택 확률은 큐잉 모델을 통하여 유도되고, 유도 과정에서 전체 네트워크 부하의 균형적인 분산과 개별 플로우의 처리 지연시간 성능 향상이 모두 고려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 기법을 통해 네트워크 부하 분산과 처리 지연 시간을 균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babilistic controller selection scheme to attain both the networkwide load balancing and the flow-specific latency performance improvement in a software-defined network (SDN) with multiple controllers. In the probabilistic controller selection scheme, a new flow selects its serving controller in a probabilistic manner, and then requests its processing to the chosen controller. The controller selection probability is based on the queuing model by considering the network-wide load balancing and the flowspecific latency minimiza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improve both the networkwide load balancing and the flow-specific latency compared to the random controller selection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