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지피복 및 지형특성을 고려한 항공라이다자료의 3차원 표면모형 복원

        송철철,이우균,정회성,이관규,Song, Chul-Chul,Lee, Woo-Kyun,Jeong, Hoe-Seong,Lee, Kwan-Kyu 한국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1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좁은 지역에서도 다양한 토지피복분포와 복잡한 지형기복을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항공라이다 관련 외국의 선행연구사례들은 대부분 토지피복이나 지면경사가 일정한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토지피복 및 지형기복의 분토특성에 따라 3차원 표면모형을 재구성하는 방법의 탐색을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로는 설악동매표소 인근에서 지형기복이 다양한 산림, 하상이 드러난 암석지 및 가로수와 건물, 주차장 등의 인공시설물이 분포하는 지역을 선정하였다. 자료처리절차는 우선, 정사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피복 및 지형기복에 따라 영역을 구분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항공라이다 자료를 분할하였다. 분할된 각각의 자료들은 토지피복 및 지형특성에 따라 상이한 처리절차를 거쳐 3차원 표면모형을 별도로 구성하고 이를 통합함으로써 전체적인 3차원 모형을 복원하였다. 이러한 토지피복 및 지형특성을 고려한 3차원 표면모형은 경관관리, 산림조사 및 수치지도 작성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대용량의 항공라이다 자료처리 시, 전체 자료를 방형의 격자구획으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한계를 보완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Usually in South Korea, land cover type and topographic undulation are frequently changed even in a narrow area. However, most of researches using aerial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in abroad had been acquired in the study areas to be changed infrequently.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xplore reconstruction methodologies of 3D surface model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land cover type and topographic undulation. Composed of variously undulatory forests, rocky river beds and man-made land cover such as streets, trees, buildings, parking lots and so on, an area was selected for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area was divided into three zones based on land cover type and topographic undulation using its aerial ortho-photo. Then, aerial LIDAR data was clipped by each zone and different 3D modeling processes were applied to each clipped data before integration of each models and reconstruction of overall model. These kinds of processes might be effectively applied to landscape management, forest inventory and digital map composition. Besides, they would be useful to resolve less- or over-extracted problems caused by simple rectangle zoning when an usual data processing of aerial LIDAR.

      • 산림조사에서의 항공라이다 취득인자에 따른 영향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송철철(Chul-Chul Song),이우균(Woo-Kyun Lee),곽두안(Doo-An Kwak),곽한빈(Han-Bin Kwak)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상용화된 항공라이다 기술을 이용한 자료취득의 비용소요는 여전히 큰 부담이어서 다양한 자료취득조건에 따른 자료취득 및 그에 따른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3차원상에서 산림모델 및 항공라이다의 자료취득모델을 구현하여 이들을 토대로 다양한 자료취득조건에 따른 가상의 자료취득과 그에 따른 산림생장특성의 추정을 통해 적정한 자료취득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우선, 3차원의 입목모델을 규정하고 이 입목들의 식재간격 및 산림내 식생층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가상의 산림모델들을 작성하였다. 아울러, 항공라이다 자료취득활동을 반영한 모델을 구현하고 주요 자료취득인자인 비행고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취득밀도를 지닌 가상의 자료를 획득하였다. 이 자료들로부터 3차원 임관의 체적, 표준지 내 최대수고를 추정하여 자료취득밀도에 따른 추정결과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료취득밀도가 높을수록 산림생장특성의 추정결과가 기대치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성과는 향후, 산림조사에서의 정확성 대비 항공라이다 취득비용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면 다양한 산림생장특성의 정확성 수준에 따른 적정 예산수립 등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Although aerial LiDAR had been launched commercially several years ago, it is still difficult to study data acquisition conditions and effects with various datasets because of its acquisition cost. Thu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study data acquisition conditions and effects with virtually various datasets. For this research, 3D tree models and forest stand models were built to represent graded tree sizes and tree plantation densities. Also, a variable aerial LiDAR acquisition model was developed. Then, through controlling flight height parameter, one of the data acquisition parameters, virtual datasets were collected for various data acquisition densities. From those datasets. forest canopy volumes and maximum tree heights were estimated and the estimated results were compared. As the results, the estimated is getting closer to the expected during the data acquisition density increase.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to perform further studies on relations between forest inventory accuracy and LiDAR cost.

      • KCI등재

        직경생장패턴에 따른 강원도 소나무의 생장권역 구분

        송철철(Chul Chul Song),변우혁(Woo Hyuk Byun),이우균(Woo Kyun Lee) 한국산림과학회 199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4 No.1

        This study on Pinus desiflora in Kangwon Province has been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classifying its growth area by geographical factors. To classify its growth area, the basic data which had were the measured values for annual ring width from cores were used.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measured values were removed through the standardization. Regional mean chronologies were estimated from the standardized values. The growth area was classified by the cluster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gional mean standardized ind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n that annual growth patterns to be clustered similar to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Kangwon Province. And the regional variations of annual growth patterns in the western. part of Kangwon province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eastern part of Kangwon province.

      • 시간 및 공간인자를 고려한 임관투영모델의 개발

        송철철 ( Chul-chul Song ),이우균 ( Woo-kyun Lee ),정동준 ( Dong-jun Chung ) 산림경영정보학회 1998 산림경영정보 Vol.1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canopy projection model, considering influences of temporal and spatial factors. First of all, a geometric mode1 was designed to estimate canopy projection surface with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emporal and spatial factors, and a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model. In order to test the model performance, in each 9 virtual sample plots with different spatial characteristics, canopy projection surfaces were estimated at 12 levels of temporal factors using a simulation method. And it is tested, if the estimated canopy projection areas are coincident with given temporal and spatial factors. As a result, it is showed that the canopy proje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high performance in projecting the crown and canopy according to the spatial and temporal influences. This canopy projection model is expected to make useful information for the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canopy projection and micro environmental changes in forest stands.

      •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 변화예측 및 변이성

        이민아,이우균,송철철,이준학,최현아,김태민,Lee, Min-A,Lee, Woo-Kyun,Song, Chul-Chul,Lee, Jun-Hak,Choi, Hyun-Ah,Kim, Tae-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현상의 징후가 발생함에 따라 이의 영향 예측을 위해 많은 모델들을 개발 및 적용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분야의 기후 영향모델 활용이 증가하면서 모델의 입력자료 중 특히 기후자료의 구축 방법 및 한반도 기후의 특성 파악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간을 위하여 공간통계학방법 중 IDSW(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ting:거리자승역산가중)를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미관측지점의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주변 관측지점들을 고려하며, 그 영향은 거리에 반비례함을 반영한다. 여기서 주변 관측지점 선정시 반경 100km내의 가장 인접한 순으로 최대 3개의 관측지점을 선택하게 제약을 두었다. 그 결과 한국의 기온과 강수량 모두 과거 30년 동안에 연평균 약 $0.4^{\circ}C$, 412m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에도 2007년에 비해 2100년의 기온이 $3.96^{\circ}C$, 강수량이 319m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이성의 특성은 과거 30년 동안 기온의 경우 강원도 일부지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강수량의 경우 남부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변화 경향은 기온의 경우 강원도 지역이 변이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수량의 경우 남동부부지역이 변이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래 30년간의 변이성 분석결과 기온은 중서부 지역에서, 강수량은 동부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변화경향은 기온의 경우 남서부로 갈수록 변이의 정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수량의 경우 중서부와 남부 일부가 변이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Internationally many models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predict the impact of the climate change, as occurring a lot of symptoms by climate change. Also, in Korea, according to increasing the application of the climate effect model in many research fields, it is required to study the method for preparing climate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mate. In this study IDSW (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ting), one of the spatial statistic methods, is applied to interpolate. This method estimates a point of interest by assigning more weight to closer points, which are limited to be select by 3 in 100 km radius. As a result, annual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had increased by $0.4^{\circ}C$ and 412 mm during 1977 to 2006. They are also predicted to increase by $3.96^{\circ}C$, 319 mm in the 2100 compared to 2007. High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for last 30 years shows in some part of the Gangwon-do an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Besides in the study of the variable trend, the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s inclined to increase in Gangwon-do and southern east part, respectively. However, during 2071 to 2100 variability of temperature is predicted to be high in midwest of Korea and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in the east. In the trend of variability, variability of temperature is apt to increase into west south, and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increase in midwest and a part of south.

      • Quickbird 영상에 의한 소나무의 유역단위 식생탄소저장능력 추정

        김태민 ( Tae-min Kim ),송철철 ( Chul-chul Song ),이우균 ( Woo-kyun Lee ),손요환 ( Yowhan Son ),배상원 ( Sang-won Bae ),김춘식 ( Choonsig Kim ) 산림경영정보학회 2007 산림경영정보 Vol.10 No.0

        일반적으로 산림에서의 탄소저장능력은 식생탄소저장량(Vegetation Carbon Storage, VCS)과 토양탄소저 장량(Soil Carbon Storage, SCS)의 합으로 볼 수 있다. 이 VCS 및 SCS는 임목의 크기, 나이, 임분밀도 등과의 관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임분의 VCS를 유역단위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Quickbird 영상의 감독분류를 통해 소나무의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화소단위의 소나무 분포를 GIS기반으로 구축된 유역단위로 구획하였다. 각 유역단위의 소나무 입분에서 평균 수관직경을 추정한 뒤, 이를 전체 소나무림 면적에 대비시켜 유역별 소나무 본수를 추정하였다. 평균 흉고직경은 지상조사를 통해 유도된 수관직경에 대한 흉고직경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이와 같이 추정된 평균 흉고직경과 본수를 기존의 VCS추정식에 대입하여 유역별 VCS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VCS추정 접근방식은 향후, 표본점 단위의 VCS를 유역단위 VCS분포로 확장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Total forest carbon storage can be classified into vegetation carbon storage (VCS) and soil carbon storage (SCS). These VCS and SCS can be indirectly estimated by tree size and age and stand density. This study suggested an approach for estimating VCS of Pinus densiflora in watershed level. Spatial distribution of P.densiflora was prepared through supervised classification of Quickbird imagery. The pixel based distribution of P.densiflora was segmented in watershed level which was prepared in GIS. Mean crown diameter for each watershed was estimated and used for estimating number of P.densiflora for each watershed. DBH was estimated using relationship between DBH and crown diameter which was prepared by field survey. VCS could be estimated in watershed level in the way that the DBH and number of P.densiflora in each watershed fit to the VCS estimation function. Our approach can be used for up-scaling plot based VCS to the VCS distribution in watershed level.

      • 서울시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변이성 분석

        최현아(Choi Hyunah),송철철(Song Chul-Chul),이우균(Lee Woo-Kyun),곽한빈(Kwak Han-B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본 연구에서는 1997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의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31개 자동기상관측망(AWS: Automatic Weather Stations)에 의한 지표 근처 기온(℃) 및 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지역 기상인자의 시ㆍ공간 구조 분석 및 변화경향과 변이성을 도출하였다. 미관측지점의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주변 관측지점들을 고려하여, 그 영향은 거리에 반비례함을 반영하는 공간통계학적 방법 중 IDSW(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ing:거리자승역산가중)를 적용하여 보간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의 기온과 강수량 모두 1997년에 비해 2006년의 기온이 약 1.03℃, 강수량이 약 483mm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이성의 특성은 과거 10년 동안 기온의 경우 산림지역에서는 변화의 폭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거 지역의 경우 변화이 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강수량의 경우 산림지역과 주거지역의 변이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