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이사보수결정의 적법요건과 위반효과 - 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4다11888 판결 -

        송종준1 ( Song Jong Joon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1

        이 사건에서는 피고의 정관에 따라 이사회 결의로 제정된 임원퇴직금 지급규정이 그 후 개최된 정기주주총회에서 통과되었는데, 동 규정은 임원 퇴직금 지급률을 대폭인상하고 이를 전체 근속기간으로 소급하여 적용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또한 피고의 대표이사는 원고 이사들과 과다한 수준의 연봉인상계약도 체결하였다. 이에 따라 퇴직한 원고이사들은 피고회사에 대하여 퇴직금지급규정에 의한 퇴직금 지급과 인상연봉의 지급을 청구하였다. 대법원은 이사의 과다한 보수결정을 위하여 주주총회 결의를 거쳤더라도 원고이사들의 영향력 행사로 그 결의를 성립시킨 것은 이사의 충실의무에 반하여 무효이고, 또한 퇴직금과 연봉의 인상규모가 회사의 재무상황 등에 비추어 현저히 과다한 경우에는 자본충실원칙에 반하여 무효라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처음으로 이사의 충실의무의 독자적 기능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수의 적정성 요건으로서 회사의 재무상황 및 이사의 직무 등과의 합리적 비례기준을 재확인하여 상법상 이사의 보수결정을 위한 절차 및 내용 요건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상판결의 주요 쟁점인 이사의 보수결정을 위한 절차와 실질상의 요건과 그 위반 효과, 대표권 남용의 법리 등에 관하여 일반론을 정리하고 대상판결을 검토하였다. In the defendant company`s shareholders meeting, its executive directors` severance pay provisions, in which the pay was excessively increased against the defendant`s existing bad financial conditions, were approved by the 90% shares-holding controlling shareholder A`s proxy voting which was caused and attracted by the plaintiffs. Moreover, the directors` annual pay was also unreasonably increased by the agreement made only between the defendant`s chief executive director and the plaintiffs without any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shareholders` meeting of the defendant. In such facts,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severance pay provisions are invalid in that the resolution of the shareholders` meeting strongly affected by the plaintiffs is in breach of director`s duty of loyalty to the defendant. And the court also held that both of severance pay provisions and annual pay agreement are invalid not only because they are not reasonably proportionate in comparison with the defendant`s worse financial conditions, called a reasonable proportionality test, but also because they are against the company`s rule of capital maintenance and adequacy in corporate law. In this paper, concept of the director`s compensation, procedural and substantive requirements of proper compensation agreement and the legal effect of the breach, etc., are basically reviewed according to theory and cases and commented in view of holding up the court`s decision.

      • KCI등재

        회사법상 기업지배구조의 적용기준에 관한 적정성 평가와 합리적 지배구조모델의 구상

        송종준(Song, Jong Joon) 한국증권법학회 2014 증권법연구 Vol.15 No.1

        국제적으로 상장회사 지배구조의 기본형태는 소유분산구조에서 적용되고 있는 미국식 1원적 시스템과 소유집중구조에서 적용되고 있는 유럽식 2원적 시스템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1원적 시스템에 속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상장회사는 유럽의 경우와 유사하게 소유집중 현상이 뚜렷함에도 지배구조는 미국식 시스템에 따라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법은 미국, 유럽 등 다른 입법례와는 달리 자산규모를 기준으로 상장회사의 지배구조 형태를 정하고 이를 강제하고 있다. 그러나 1원적 시스템이 적용되는 미국의 경우, 지배주주가 50% 이상의 지분율을 가진 상장회사에는 이사회에서의 사외이사 구성에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소유집중과 지배구조의 연계성이 고려되고 있다. 이것은 소유의 집중으로 주주의 지배력이 뚜렷한 경우에는 경영진 대리비용 문제가 없거나 적다는 점에서 소유집중도와 지배구조 간의 상호 연관성은 지배구조모델의 구성에서 고려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는 의미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장회사 지배주주의 지분율을 중심으로 유럽, 미국 및 한국의 소유지배구조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국 및 유럽 법제의 비교를 통하여 상법상 상장, 자산규모 등의 지배구조 적용기준이 적정한지를 검토하고, 원칙적으로 자산규모 기준은 지배구조의 결정요소로서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무릇 상장회사 지배구조는 그 형태의 다양성과 선택의 자율성을 제고함으로써 기업이 환경 변화에 합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논문에서는 은행, 금융투자회사 등 금융기관을 제외하고 현행 상법상 상장회사 지배구조 시스템의 불합리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이른바 소유집중도에 기초한 상장회사 지배구조 종합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지배주주의 소유 집중도와 상장요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지배구조의 유형을 다양화하고, 아울러 지배주주 지분율이 10% 미만으로 소유의 완전분산이 이루어진 상장회사의 경우에는 공공적 이익의 보호의 관점에서 자산규모와 연계시켜 이에 적합한 새로운 지배구조 형태를 제시하였다. 다만, 이 모델에서는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 추구 등 대리비용이 우려되므로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배주주에게 이사에 상응하는 충실의무를 부과하고, 회사경영에 사실상 영향력을 갖지 않는 10% 이상의 주식을 소유한 주요주주의 사외이사자격제한을 폐지하며, 과정중심의 엄격한 내부경영통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회사법의 개편이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상 강제공개매수제도의 제유형과 그 법적 시사점

        송종준 ( Jong Joon Song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3 상사판례연구 Vol.26 No.2

        The rules on Tender Offer in the Japanese Financial Product Exchange Act have frequently been reformed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in 1971, which was based on the pro-rata rule, modeled after that of the American 1934 Securities Exchange Act. The most reformative change was so called one-third rule, firstly introduced in the 1990 revision of the Act, in which any who acquires more than one-third of all outstanding shares with voting right has to mandatorily buy it by a tender offer even in the privately negotiated control transactions being made out of the open market. Since 1990, the one-third rule has been extended to the after-hours trading of stocks in the exchange market, the controlling shareholder already owning more than one-third trying to buy more than 5% of the target`s all of outstanding shares during a third party`s tender offer period and a speedy and creeping acquisition of more than one-third of all the shares, in which more than 10% has to be bought in both open market and out of the market and also more than 5% has to be bought in the out-of market and by after-hours trading in the exchange market. Moreover, any who owns more than two-thirds after closing of tender offer has to buy all tendered shares exceeding over the projected quantity to buy. After implementation of various mandatory tender offers, Japanese tender offer legal system has become closer to that of the U.K, but is quitely different. It is peculiar and unique with comparison to the international takeover legislation trends. This paper analyses and reviews all types of Japanese Mandatory Tender Offers in legally comparative perspectives and suggests some legislative recommendations. In short, Japanese one-third rule has to be introduced in the private sale of controlling shares, which means private transaction with less than 10 shareholders within six months out of the exchange market under the current Korean Capital Market Act, and also the rule has to be subject to the pro rata basis. The Japanese mandatory duty to buy all the shares more than two-thirds tendered is to be changed to the right of compulsory acquisition, in which tender offeror has to buy all the shares tendered and not tendered under the condition that more than 95% shares are tendered, no matter the quantity of shares to buy. But, the Japanese current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to buy more than 5% by the tender offer is not recommended, because it seems to be illegitimate. In conclusion, the above recommending suggestions are expected to vitalize the market for the corporate control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management control by regulating the privately negotiated control transactions.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Korean Capital Market Act functions to effectively regulate both private and public control transactions being made out of exchange market by a single tender offer rule and also to reasonably balance the conflicts of interests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shareholders in the control shift.

      • KCI등재

        회사법상 기업지배구조법제의 동향과 평가, 그리고 새로운 제언

        송종준 ( Jong Joon Song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1 상사판례연구 Vol.24 No.1

        The corporate governance has been competitively reformed in the corporate world since `90s. The Korean corporate governance has also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world regulatory trends, and the Commercial Act revision Bill, in which the western executive officer is introduced, was finally passed in the Congress, March 11, 2011. But the legal regime of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d in the corporate law and mandatorily executed in the korean companies, has been assessed critically ineffective in controling the corporate management. It`s because the most part of the governance system has been taken after the western stylish model without taking some important factors such as unique culture, tradition and social environmental peculiarity of korean companies into considerations. Futhermore current corporate law provides the companies with only a few model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chances for the companies to adopt the appropriate governance model have been insufficiently given. So it is necessary to design new effective and appropriate governance models for settling the effective management control system in korean companies. This paper analyses the reasonableness and adequacy of the current factors such as listing and size of the asset as an adopting standard of the governance models in the corporate law and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degree of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of the stocks should be fundamentally considered in designing and executing the governance models in accordance with the factors like listing, size of assets and number of shareholders.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a variety of newly designed governance models, based on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rate.

      • KCI등재

        會社法상 LBO의 背任罪 成否와 立法課題

        송종준(Song, Jong Joon) 한국증권법학회 2009 증권법연구 Vol.10 No.2

        신한 LBO 사건에서 대법원은 실질적인 인수자인 피인수회사의 대표이사에게 담보제공행위에 대한 배임죄를 인정하였지만, 한일합섬 LBO 사건에서 부산지방법원과 부산고등법원은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였다. 최근 들어 LBO를 포함한 이사의 업무집행에 대하여 배임죄 등 형사처벌을 자제하여야 한다는 여론이 있는 가운데, 현재 대법원에 계류중인 한일합섬 LBO 사건에 대한 최종판결에 대하여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LBO에 있어서 배임죄의 성부 문제는 형법 소관의 쟁점이긴 하지만 그 실질적인 핵심은 회사법의 영역에 놓여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신한 판결과 한일합섬 판결을 중심으로 각 사건의 사실관계와 판결법리를 비교하면서, LBO에 있어서 이사의 배임죄의 판단에 관하여 회사법상의 몇가지 쟁점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하고 있다. 즉, 특정 기업인수가 LBO인지에 관한 문제는 피인수회사에 대한 인수자금 차입채무의 전가 여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 배임죄의 성립기준으로서 회사에 대한 손해는 주주나 채권자의 손해와는 별개로 법인의 독자적 손익이론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는 점, LBO의 대부분이 실질적 인수자와 피인수회사간의 이해충돌적 자기거래라는 점에서 담보제공 또는 합병의 공정성에 관하여 절차와 내용에 있어서 이사의 선관의무와 충실의무의 이행 여부가 엄격히 심사되어야 한다는 점, 이사의 의무이행이 충분하지 않는 한 이사의 배임에 대한 미필적 인식은 용이하게 인정될 수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LBO거래의 세계적인 보편화 추세와 그 경제적 순기능을 감안하여 LBO의 실행에 장애가 되고 있는 법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향후의 입법과제를 제언하고 있다. 일본의 MBO 보고서와 같이 LBO 공정모범규준을 제정하여 LBO시장에서의 거래안정과 법적 확실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점, 상법상 이사, 주요주주등 제3자에 대한 피인수회사의 신용공여금지를 합리적으로 완화하여야 한다는 점, 그리고 투기적이고 남용적인 LBO에 대한 규제는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Recently a crime of trust breach against the directors was rejected in the Hanil?hapsum LBO case by the Pusan district courts, although it was held guilty in case of the Shin?han LBO transaction by the supreme court in 2008. A legal issue on the crime in LBO transactions is attributable to the area of criminal law, but substantial core issues in deciding it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rporation law. In this paper, facts and legal reasoning of the court decisions between the two cases are compared, and some legal issues on the criminality are thoroughly analyzed in the perspectives of corporate law. This paper stresses that (1) LBO transaction exists depending on the shift of the acquirer’s loan liability from the third parties to the target company, (2) whether or not the loss was caused to the target, which is legally required for a judgment of guilty, sh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real entity theory independent from the loss of shareholders or creditors, and (3) because most of LBO transactions belong to the self?dealing transactions, in which the interests between the real acquirer and the target company are seriously conflicting, whether or not director’s fiduciary duties have been executed in providing target’s asset as a collateral or in proceeding merger between the acquirer and the target should be thoroughly examined by the court, focusing on fulfilling the entire fairness legally required in both procedures and substances.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some legislative recommendations for the reform of some legal barriers to doing LBO transactions under the current law and policies. First, self?regulatory so called ‘Fair Guide line for LBO Transactions’, as in the Japanese MBO report published in 2007, is necessary for securing and maintaining the stability and legal certainty in LBO transactions. Second, current prohibition of the target’s financial assistance to its directors or substantial shareholders, etc. with their purchasing the target’s stocks needs to be reasonably mitigated. Third, regulation of the speculative or abusive LBO transactions should be more quitely strengthened by way of enhancing financial supervising or reforming tax policies.

      • 주주전원동의에 의한 이사의 자기거래의 효력 - 대법원 2017. 8. 18. 선고 2015다5569 판결 -

        송종준 ( Song Jong Joon ) 법조협회 2018 최신판례분석 Vol.67 No.2

        대상사건에서는 원고의 주식전부가 소외1에게 양도되었는지, 이사회의 승인 없는 이사의 자기거래가 원고에 대한 관계에서 무효인지 의 여부를 둘러싸고 원심과 대법원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들 쟁점에 있어서는 상법 제398조가 규정하는 이사의 자기거래에 대한 이사회의 승인을 주주전원동의로 갈음할 수 있는 지가 핵심이지만, 그 이전에 소외1에 대한 주식양도가 법률적으로 성립하였는지도 검토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 평석에서는 상법상 주식양도와 질권의 성립에 관한 일반원칙을 정리하고, 원심과 대법원이 설시한 논거들을 비교하여 주식양도의 성립을 인정한 대법원의 판단이 타당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법 제398조의 이사 등의 자기거래제한의 법리를 정리하고 1인회사에 있어서 주주전원동의로 자기거래에 대한 이사회의 승인을 갈음할 수 있다고 판시한 대법원의 논거에 대하여는 주식회사법의 이념적 기초, 주식회사의 기관간 권한분배질서, 법인격 분리, 주주의 유한책임 등 회사법의 기본정신의 관점에서 타당하지 않음을 논증하였다. 특히, 자기거래의 제한을 강화한 개정상법 하에서는 대상판결의 태도가 변경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In this case, judgments are divided between court of appeal and supreme court on the plaintiff's argument that his or her liabilities to the defendant are not existing in the reason that a self-dealing without approval of board of directors is invalid. The court’s divided decisions are also same in the issue about whether or not all of the issued shares of the plaintiff company are legally transferred to the person, non-party to the suit. In this comment, the divided judgments between the supreme and appeal court are comparatively analyzed in relation to two legal issues in perspective of Commercial Law. First, legal principles on requirements for the share transfer and establishment of pledge right are summed-up and lots of legal reasons suggested by two different courts are reviewed and criticized. In short, the author agrees with the supreme’s holding on the first issue. Second, rules of director’s self-dealing under the article 398 of the Commercial Act are explained on the basis of legal theory and precedent cases. The supreme’s decision, in which shareholders’ unanimous consent in one-man company is legally substituted for the approval of board of directors, is harshly criticized in view of ideological background, distributional regime of power in the corporate organs, separation of corporate and its shareholder’s leal personality and shareholder’s limited liability under the corporation law.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the supreme’s decision on the effect of shareholder’s unanimous consent for director’s self-dealing should be reversed, particularly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Act.

      • 회사 법인격의 형해화 및 남용 여부의 판단기준 - 대법원 2016. 4. 28. 선고 2015다13690 판결 -

        송종준 ( Song Jong-joon ) 법조협회 2018 최신판례분석 Vol.67 No.4

        대상사건에서는 법인격 부인론의 적용요건으로서 피고 1(주주)의 완전지배가 성립하는 지, 소외 회사(기존회사)의 법인격이 형해화되었는지, 그리고 피고 2(신설회사)의 법인격이 남용되었는지의 여부 등이 주요 쟁점이다. 그런데 제1심은 모두 인정한 반면, 원심은 모두 부정하였고, 대법원은 피고 2의 법인격 남용만을 인정함으로써 각급법원이 이들 쟁점에 대한 판단결과에 현저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이 평석에서는 법인격 부인이론의 적용요건에 관한 일반론과 관련 선행판례를 대비하여 대상판결의 적정 여부를 검토하고, 인정사실에 대한 명확한 심리 없이 소외 회사의 법인격의 형해화를 부정한 대상판결의 타당성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기업사회에서 지배주주가 주식회사제도를 악용하여 채무를 면탈하는 행태가 비일비재한 상황에서는 채권자 보호를 강화해야 할 사법정책적인 재인식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사실관계에 대한 법원간의 현저한 견해차로부터 법인격 부인론의 법적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핵심적인 부분에서 법인격 부인을 위한 요소들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지엽적인 요소들의 문제가 남아 있더라도 전체적으로 보아 사회통념상 용인할 수 없는 경우라면 법인격 부인을 유연하게 인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Korean courts have adopted the doctrine of disregarding the corporate legal entity, which is judicial decision of imposing personal liability o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for debts of his or her completely controlled company, despite of the shareholder's limited liability. But, the supreme court appeared overly reluctant to apply the doctrine. In this case, judgments are remarkably divided between courts of appeal and supreme in relation to the judgment criteria for the issues as to whether or not a shareholder had complete control of the company and whether or not it's corporate entity was shelled or abused, all of which are required for disregarding corporate entity. In this comment, general theories on the lifting of corporate veil were briefly reviewed and the feasibility of the divided judgments between the courts were analyzed on the recognized facts, compared to the similar precedent cases and then some questions were raised about the supreme's dismissal decision made without clear legal reasons. In conclusion, the author opinioned that corporate's creditors should be more strongly protected in perspective of judicial policy against the widespread controlling shareholder's actual fraud to avoid the corporate liability for their claims. Finally the author proposed that it is desirable for the courts to actively acknowledge the doctrine of disregarding the corporate entity for securing the legal certainty and stability in case where the key factors for disregarding the entity are satisfied, even though some minor factors remain questionable.

      • KCI등재

        삼각합병의 구조와 관련 법적 문제

        송종준(Jong-Joon Song) 한국기업법학회 2013 企業法硏究 Vol.27 No.3

        The triangular merger has been permitted as one of the corporate reorganizations since 2011 in Korea. Nevertheless, there are lots of interpretational issues in applying the provisions about triangular merger as follows : is the reverse triangular merger permitted?, is the acquiring parent company able to acquire its own shares and sell them to the acquiring subsidiary company at the parent"s own discretion?, until when is the acquiring parent company able to acquire the shares and how to acquire them?, and should the merger synergy effect be considered in calculating the values of the minority shareholders" appraisal right in the target company? Futhermore, there would be some structural limitations in carrying out the flexibility and vitalizations of the triangular merger in comparison with the American and Japanese triangular mergers. In other words, it"s required to legislatively supplement the current provisions about triangular mergers in the following issues such as the acquiring parent"s direct issue of new shares to the target"s shareholders, acquiring subsidiary"s disclosure of material information on the parent company and legal treatment of target"s potential shares like the bonds with stock purchase warrant and convertible bonds as well as stock options. And also there are some legislative issues to be considered in the mid-long term such as in the permission of the reverse triangular merger and extension to the various types of triangular reorganizations from the triangular mergers. Lastly, considering the increasing possibilities of hostile corporate mergers and acquisitions since the revision of the Capital Market Act in 2013, appropriate responses to LBO type triangular merger and cross-border triangular merger should be reviewed in a legislative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e reasonable interpretational directions of current provisions relating to triangular merger and the legislative solutions to the above-mentioned structural limita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헤지펀드의 규제환경 변화와 불공정거래의 규제 강화 방안

        송종준(Song, Jong-Joon),양윤석(Yang, Yun-Seok)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1

        최근 국내에서 헤지펀드 활성화를 위하여 법정책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외국에서는 헤지펀드에 의한 불공정거래행위의 발생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는 헤지펀드가 가지는 절대수익률의 추구, 높은 차입비율과 공매도를 비롯한 자유로운 운용전략, 그리고 운용실적연동형의 보수체계와 같은 특성으로 말미암아 다른 시장참여자보다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유인이 크기 때문이다.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세계 각국은 그동안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헤지펀드를 규제범위에 포섭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헤지펀드에 대한 등록 및 보고의무의 부과, 그리고 헤지펀드의 운용에 필수불가결한 존재인 프라임 브로커에 대한 규제 강화책을 통하여 실현되고 있다. 즉, 금융위기를 통하여 그 한계를 드러낸 헤지펀드의 거래상대방에 대한 간접적인 규제방식 중심에서 헤지펀드와 그 매니저에 대한 직접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가로 도입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최근의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환경의 변화를 살펴보고 우리 자본시장에 도입될 헤지펀드에 의한 불공정거래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책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내부자거래 규제를 위한 정비방안으로 프라임 브로커가 연관된 불공정거래행위의 사례와 헤지펀드에 대한 프라임 브로커의 역할을 감안해 본다면 내부자거래 규제의 대상자에 2차 정보수령자도 포함시키는 등의 내부자범위의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증권의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정보도 내부정보의 범위에 포섭시키는 것은 물론, 신종 파생 상품의 출현에 대비하기 위하여 거래가 금지되는 증권의 범위도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프라임 브로커가 되는 금융투자회사에 대한 불공정거래 감시가 강화되어야 한다. 시세조종과 관련해서는 감독당국의 감시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금융전문가의 확보 및 공적규제의 사각지대를 보완할 수 있는 자율규제 수단의 정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공매도 규제로 인한 헤지펀드 산업의 침체를 우려하는 견해도 있지만, 높은 차입비율과 투기에 가까울 정도의 공격적 투자행태를 감안해 볼 때 헤지펀드는 다른 시장참여자보다 엄격한 규제를 가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has been trying to change the current law and policy to promote the Hedge fund activitie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However, cases of hedge fund's unfair transactions of financial products have unceasingly taken place in the foreign capital markets. It's because hedge funds can make even stronger temptation towards unfair trade due to its characteristics such as a pursuit of absolute returns, higher leverage rate, free operating strategies and compensation system linked to performance, etc. Since the 2008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most of countries have tried to put the hedge fund under the newly made regulation, in which hedge funds have to be registrated and filed with the regulatory authorities and the prime broker has to be supervised more strictly than before. But it is somewhat difficult to prevent hedge funds from the various kinds of unfair trading tactics only with the indirect regulatory measures. In other words, some direct measur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s for enhancing the regulation of the hedge funds' unfair transactions. In this paper, some legislative and interpretative proposals are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tippee should be treated as one of the insider traders to be regulated and the prime-broker who is playing an essential role in operating the hedge funds should also be treated or interpreted as a secondary tippee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Second, market information, which is affecting the stock prices, newly made by hedge funds manag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inside information and be regulated. Moreover, the scope of the securities has to be enlarged in order for responding to the emergence of new derivatives and a close watch on the unfair transactions by the brokers should be strongly kept as well. Third, surveillance by the financial regulatory authorities is to be enhanced and the self-regulatory measures have to be strictly executed to prevent the stock manipulation. Finally, there are some concerns that the stronger restrictions on short selling would bring about a recession of hedge fund industry. Nevertheless more stringent regulation on the hedge funds operations should be required than on other market participants because of the aggressive investment behaviors with the higher leverage and speculation. In conclusion, investors or financial consumers, who are mostly ignorant of the veiled governing practices of unfair transactions by hedge funds, should be protected by both positive legislation and judicial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