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밀 시각을 위한 오류 요소 분석 및 일반 PC에서의 측정 방법

        송정애(Jung-ae Song),김종성(Jong-sung Kim),황소영(So-young Hwang),김영호(Young-h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일반 컴퓨터 시스템에서 CPU 이용률이나 디스크 입출력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소요되는 시간 계산이나 빈번한 스크린 갱신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시각을 제공하는 시각 장치의 정확성을 정밀도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컴퓨터 시각 장치들의 자체 오류 요소로 인해 이런 높은 정확성과 정밀도를 요구하는 시간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각 장치의 정확성과 정밀도가 우선, 보장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시각 장치들의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오류 요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컴퓨터 시스템의 시각 장치들에서 나타나는 오류 요소들을 알아보고, 일반 PC에서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莊子철학에 있어서 언어와 실재의 문제

        송정애(Song, Jung-Ae)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3 No.3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욕망 문제의 바탕에는 언어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언어는 시작도 끝도 약속도 없이 증식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이나 사회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언어의 본질을 탐구함으로써 이러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으리라는 희망으로 시작하였다. 장자는 기존의 언어관을 해체하고 기억의 언어, 죽어버린 말이 아니라 ‘살아있는 말’을 표현하고자 했다. ‘살아있는 말’은 화용적話用的, 즉시적卽時的, 사실적事實的, 부정적否定的, 부지적不知的인 표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언어 표현은 존재에 다가가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장자가 이상의 언어표현을 구사한 데에는 소통疏通·생生·존재存在·양행兩行·관조觀照의 언어관이 숨어있다. 장자는 대상과 나를 구별하지 않으면서도 그들의 다양성을 전제한다. 그는 말의 숨은 뜻을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소통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런 소통을 위해 지금·여기의 말인 생명력 넘치는 생의 언어를 추구한다. 또한 구체어·감각어를 사용하여 추상적 관념이 아닌 구체적 이미지를 통해서 참된 존재를 대면하려 한다. 그런데 이러한 존재의 언어를 즐기기 위해서는 언어의 규정성에 얽매이면 안 되므로 시비를 조화시킨 ‘양행’의 언어를 추구하게 된다. 이런 언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자기 물음’이며, ‘허심虛心’의 상태를 관조하는 것이다. 우리가 인식하는 사물은 원래부터 거기에 그렇게 있었던 것이 아니라 언어적 표상으로 우리가 인식하는 순간 거기에 생겨날 뿐이다. 이렇게 언어로써 인식되는 대상이 인식하는 주체와 주객 분리 상태에서 벗어나면 그때 그것은 ‘참된 존재’가 된다. 장주에게는 참된 언어 인식이 곧 존재이며, 세계로 파악된다. 이것은 ‘무기無己’를 통해서 증명될수 있다. 보는 주체가없으면 대상도없으므로 언어로 인식되는존재와 세계는 있다고도 없다고도 확언하기 어려운것이 된다. 자기동일성이나 항상성을 지닌것을 실재로 본다면 장자에게 실재는 없으나, 나타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변화, 운동성을 지닌 존재를 실재로 본다면 장자에게 실재는 있다. 장자의 실재는 바로 ‘변화하는 실재’이다. 결국 장자는 언어의 본질을 꿰뚫음으로써 참된 실재를 드러내 보이고자 한 것이다. 언어의 본질을 꿰뚫는 지혜를 가질 때, 자신을 관조하고 세계를 통찰하는 길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언어는 더 이상 물질로서 소비되는 대상이 아니라 참된 존재로서 우리에게 다가오게 된다. The desire problems in modern society are based on language problems. The language is proliferating without startm end, or promise, entering the late 20th century and it causes many problems to individuals or societies. This study starts with hope that we can find a solution by searching for the essence of language. Chuang-Tzu took th existing view of the language apart and tried to explain the language of memory and not dead words, but ‘living words’. ‘Living words’ are made up of language expressions utilized, instant, realistic, negative, and ignorant. Those language expressions are the best way to approach existence. There are views of the language of communication, life, existence, sameness, and contemplation in the reasons why Chuang-Tzu used those language expressions. Life builds with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Chuang-Tzu didn’t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object and himself but premised diversity. He showe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y presenting a way to grasp the hidden meaning of the language. He pursued the living language that has life as the language of here and now. He tried to meet true presence not through abstract notion, but concrete image using specific and sensory words. We seek the language of sameness that harmonize right and wrong to enjoy that existent language because we don’t need to be bound by language regulations. What make that language possible are ‘self questioning’ and contemplation of disinterestedness. The object that we recognize exists by recognizing linguistic representation, not because it subsists by itself in the first place. The object can become a ‘true presence’ when the recognized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cognizing subject. Chuang-Tzu understood that awareness is both existence and the world. This can be proved through ‘nonexistence’. It means that there is no recognized object because there is no recognizing subject. It’s hard to make sure that there is existence and the world recognized as language. If Chuang-Tzu sees something that has perpetual self-identity, he doesn’t believe in it’s existence. But if he sees a change or the motility that sometimes comes and goes, he believes in it’s existence. The existence that Chuang-Tzu described is ‘constant existence’. Chuang-Tzu proposed the way to contemplate oneself using wisdom, having an insight into the essence of language and to read the world. Language comes to us not as a thing that we use, but as a true presence when we understand it correctly.

      • KCI등재

        장자 철학에서 지止와 행行의 역설

        송정애(Song, Jung-Ae)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8 No.2

        현대사회는 기호화된 욕망을 소비하는 사회로 전락하고 개인은 그 속에서 근원도 모르는 욕망에 매몰되어가고 있다. 욕망에 매몰된 개인은 육체적·정신적으로 피폐해지고 고통과 소외를 경험하게 된다. 욕망의 근원을 인식함으로써 그것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여기에 본고의 문제의식이 있다. 장자가 살던 전국시대에도 문명이 조장하는 욕망으로 인한 고통이 극심하였고, 장자 철학은 그러한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기氣’ 개념을 통해 모색하였다. 따라서 장자 철학의 ‘기氣’ 개념을 해명하는 것은 욕망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전국시대에 기의 개념이 분화 발전하면서 인간과 자연을 포함한 우주의 질서를 기를 통해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장자에게 기는 정신이면서 물질인 개념이며, 자연의 질서와 인간과 우주의 운동성을 아우르는 이미지였다. 장자는 기를 통해 현상세계의 존재를 설명하고, 기를 최고의 인식으로 나아가는 중간고리로 삼았다. 인간의 생명은 기의 취산聚散이라고 생각했으며, 최고의 인식 상태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마음을 비우고 기로써 대상을 만나야 한다고 생각했다. 기를 통해 만난다는 것은 주체가 무화되어 대상과 하나가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최고의 인식 상태로 지금·여기에서 호흡하는 것이 장자가 생각한 참된 생명이었다. 그래서 장자 철학은 양형養形보다 양신養神을 더 중요시한다. 욕망이 정신과 몸을 지배하는 상태는 기의 운동이 격렬해진 상태이다. 기의 운동이 격렬해지면 막히게 된다. 공간을 꽉 채운 격렬한 에너지가 흐름을 막아버리는 것이다. 기가 다시 흐르려면 정신과 몸이 안정되어 고요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고요한 상태가 되었을 때, 기는 유유히 흐르게 된다. 여기에 기 운동성의 특성이 있다. 고요한 흐름, 곧 ‘지止의 행行’이라는 역설적 운동이 기 작용의 특성인 것이다. 이것은 무위無爲한 작용이다. 자연과 우주의 운동성도 이와 같다. 인간이 인식 능력을 가지고 외부 세계와 접촉해야 하는 존재인 이상, 욕망의 생성을 원천적으로 막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우리는 욕망을 원천적으로 없애려 애쓰기보다는 욕망에 얽매이지 않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외부에서 부여되는 욕망과 내부에서 일어나는 욕망을 기로써 만난다면, 그것을 자각하는 순간 그 욕망이 소멸되어버리는 고요한 멈춤의 상태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기는 다시 생명력 넘치게 흐르게 될 것이다. The modern society is degraded to a society that consumes symbolized desires, and individuals are being buried in a desire even whose origin is unknown. The philosophy of Chuang-tzu was formed in the direction of searching for a way to escape from the pain caused by desire. Therefore, by looking at how Chuang-tzu’s philosophy explains desire, we can find clues to solve the problems we face today. The uniqueness of the Chuang-tzu’s philosophy associated with the desire problem is well revealed through the concept of ‘Qi’. For Chuang-tzu, Qi is a concept that is spirit and a material, and is an image that encompasses the order of nature and the mobility of man and the universe. Chuang-tzu explained the existence of the phenomenal world through Qi and used Qi into a middle ring moving forward the highest awareness. He thought the human life is gathering and scatting of Qi, and also thought we had to meet the subject as Qi by emptying my mind in order to experience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Life as the best awareness state is the true life that Chuang-tzu thought The state in which this desire dominates the mind and body is a state where the movement of Qi becomes violent. It becomes blocked when movement of Qi becomes violent. To make Qi flow again, the mind and body should be stabilized and Qi should become calm. Qi flows freely in a calm state. Here,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Qi motility. The calm flow, that is, the paradoxical movement of ‘stop and flow’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action of Qi. And this is an function of doing-nothing. The same is true for nature and the universe. It is almost impossible to prevent the creation of desire at the source, since the human being must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with his cognitive ability. Therefore, we must search for a way that is not bound by desire, rather than trying to eliminate it at its source. If we meet externally given desire and inner desire as Qi, we will experience a state of calm pause where the desire disappears at the moment of awareness. And our Qi will flow with full of vitality.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송정애 ( Jung Ae Song ),장정순 ( Jung Soon J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전문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2008년 12월 2일 현재 신흥대학에 재학 중인 전문대학생 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분석에는 368부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은 모두 대학생활 적응 요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즉 연구 결과 대학생의 가족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대학 내에서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할 수 있는 대학생들이 대학생활 적응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는 가족기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가족기능과 대학생활과의 관계를 대인관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가족적응성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하위변인인 공감, 신뢰감, 진심, 자기노출, 위안이 매개변인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의사소통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도 대인관계의 하위 변인은 공감, 신뢰감, 진심, 자기노출, 위안이 매개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for community college students to effectively adapt themselves to college lif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 correlation between community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s and family functions. The subjects were 368 students of Shinheung College on December 2nd, 2008.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llege life adjustment factors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th family function fact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 factors. As college students have better family functions, they turn out to adjust themselves better to college lives. Moreover, they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college life adjustment as they have better relationships with others within campuses. Second, this research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 correlation between community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s and family functions. As a result, interpersonal relation is prov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s and college life. Variables of sympathy, trust, sincerity, self-exposure, and solace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 factor turned out to be the mediating variables of correlation between the family adaptability factor within the family function factor and the college life adaptability variable. Furthermore, variables of sympathy, trust, sincereness, self-exposure, and solace within the interpersonal relation factor also turned out to be the mediating variables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variable within the family function factor and the college life adaptability variable.

      • KCI등재

        장자 철학에서 인식의 본질과 그 깨어남에 대한 고찰

        송정애(Song, Jung Ae)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1 No.3

        기계화 · 기술화는 인간 또한 ‘소비사회’ 의 동력으로써 한 방향을 향해 쉼 없이 작동하도록 하는 데 기여하였다. 기호화된 욕망에 길들여진 자기 자신을 알아채지도 못한 채, 인간이 바로 기계가 되어버린 것이다.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가장 뚜렷한 특징은 변화가능성이다. 이때의 변화는 인식의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으로서의 삶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인식의 본질과 그 변화의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변화의 철학이라고 일컬어지는 장자의 철학을 연구하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장자가 생각하는 변화가 필요한 인식은 ‘지知’ ‘성심成心’ 에 의한 인식이다. 지와 성심은 자아와 타자의 나누어짐에서 비롯된 대상화되고 주체화된 인식이며,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을 구조화하듯 자아 내부를 구조화하는 인식이다. 이처럼 외부 세계에 맞춰진 인식 형식이 본질적 인식을 막아버린다. 장자가 본 인식의 본질은 ‘무위無爲’ 이다. 무위는 ‘무기無己’ 의 상태, ‘견독見獨’ 의 상태에서의 작용인데, 이는 대대對待 관계를 벗어난 인식이자, 정해진 형식이나 구조가 없는 ‘혼돈混沌’ 상태의 걸림이 없는 인식이다. 무위한 인식은 연장되지 않고 ‘끊어짐’ 이 있는데, 결코 ‘끊음’ 이 아니다. 끊음은 유위이기 때문이다. 유위의 인식에서 무위의 인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장자의 ‘꿈이야기’에서 잘 드러난다. 이 이야기에는 두 번의 꿈과 깨어남이 있다. 꿈에서 깨어 자기를 나비로 인식한 것은 현실성의 측면에서 환등상을 인식한 것이고, 장주임을 인식한 것은 현존의 상태인 환등상을 인식한 것이다. 이러한 환등상을 인식하자 그에게는 의혹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 의혹을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가. 나비가 꿈에 장주가 된 것인가’ 라는 정확한 물음으로 명확하게 인식하여 표현함으로써 모든 것이 ‘물화物化’ 임을 깨달으며 참으로 깨어난다. 인식의 변화는 이러한 ‘깨어남’ 으로 은유될 수 있다. 깨어남을 위한 요건은 불안과 두려움에 대한 자각, 그로 인한 의혹, 정확한 물음, 자기 본연의 모습을 봄, 기존 인식 방식의 그침, 본질적 인식 작용으로서의 통함, 그에 대한 믿음[확신]과 얻음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지극히 능동적인 ‘물음’ 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물음을 통해서만이 ‘대불혹大不惑’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불혹의 상태, 기존 인식 방식이 멈춘 상태에서 ‘직관’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직관의 상태가 진정한 ‘생명’ 이요, 그러한 존재가 엄정한 의미에서의 ‘인간’ 이다. 인간으로 살기 위해서 우리는 변화해야 할 숙제 앞에 놓여있는 것이다. Mechanization and technicalization contributed to that people work with no pauses toward one direction as power of ‘a society of consumption(La societe de consommation)’. People did not sense themselves trained by a symbolized desire, and became a machine. The clearest characteristic of human to be human is the potential for change. This change means the change of cognition. Chuang-tzu urged to stop an objectified and discretized cognition, and a structuralized cognition, and to turn into ‘doing nothing’, an essential cognition. ‘Doing nothing’ is a cognition that human being stands alone without leaning and stumbling over by cognizing ‘absence of ego’. Inactive judgment or verbal expression is conducted by knowing a simple reason ‘That is from this, and this is from that’, because judgment or language has no fixed true nature but coincides relatively and mutually-exclusively. A process to turn into such cognition of ‘doing nothing’ can be known through a dream story of Chuang-tzu. There are two dreams and waking up in this story. After a dream, Chuang-tzu said he is a butterfly, because he cognized pantasmagorie in an aspect of reality. He realized that he is Chuang-tzu, because he cognized pantasmagorie, an existing condition. Chuang-tzu realized by doubting whether he is Chuang-tzu or a butterfly so asking. The change of cognition can be metaphorically expressed by ‘awakening’. Requirements for ‘awakening’ are ‘having a doubt’ by realizing anxiety and fear, ‘asking’, ‘seeing’ true character, ‘stopping’ an existing cognition, and ‘getting’ to be the very thing by conviction. The point of such ‘awakening’ can be an extremely active ‘asking’. Through this, ‘intuition’ becomes feasible. Such condition with intuition is a real ‘life’, and such existence is a ‘human being’ in the strict sense of the world. We are in front of a task ‘change’ to live like a human being.

      • PC에서의 인터럽트 지연 측정을 통한 실시간성 분석

        송정애(Jung-Ae Song),황소영(Soyoung Hwang),김영호(Youngh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A

        최근 들어 IBM 호환 PC의 성능이 급속도로 향상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실시간 제어 시스템이 특별하게 설계된 하드웨어를 요구하는 것에 반해 널리 사용되는 하드웨어를 이용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의 이식성을 높여 주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PC를 실시간 시스템으로 개발하게 위해서는, PC에서의 실시간 분석이 선행 되어야 한다.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중요한 요소는 인터럽트가 발생 하였을 때 빠른 시간에 인터럽트 핸들러를 불러 주는 것이다. 즉, 인터럽트 발생에서 인터럽트 핸들러가 불리기까지의 시간인 인터럽트지연(interrupt latency) 시간이 짧아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시스템의 성능에 영항을 주는 인터럽트 지연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PC에서의 인터럽트 특성 및 실시간성을 분석한다.

      • KCI등재

        지역주민의 가정건강성이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송정애(Song, Jung Ae),조금랑(Cho, Geum Rah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지역주민의 건강가정지원사업에 대한 요구도와 가정건강성, 지역사회애착수준을 살펴보고 가정건강성이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검정하였다. 경기도의정부시지역주민을 연구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조사한 후 435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가정지원사업에 대한 요구도는 3.89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5개 영역사업 중 가족역량강화사업(4.09)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센터이용경험에 따라 가정건강성과 지역사회 애착도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센터이용경험은 지역사회 애착도의 모든 하위영역과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건강성과 지역사회 애착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가정건강성은 지역사회 애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hecked the requirement, the health of family and the local society attachment for the support project of health of family of local residents, established and certified the study issu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 of family on the local society attachment. 435 copies of questionnaires have been analyz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fter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the local residents of Uijeongbu-si, Gyeonggi-do. As a result of study, first, the requirement for the support project for the health of family appeared to be 3.89; the reinforcement project for family ability (4.09) out of 5 fields of projects appeared to be the highest. Second, the difference appeared between the health of family and the local society attachment level according to the use experience of center, especially the use experience of center appeared to be substan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ll subordinate scopes of local society attachment. Third, there i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health of family and the local society attachment, the health of family appeared to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local society attachment.

      • KCI등재

        생명윤리의 새로운 길 : ‘부모-되기’교육론 제안 - 장자莊子의‘위일爲一’을 중심으로 -

        송정애 ( Song¸ Jung-a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0 No.59

        생명윤리학이 생명의료공학의 윤리적 검토에서 시작되다보니 오늘날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는 생명의료윤리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생명경시가 사회 전반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생명의 가치를 깨우치는 생명교육은 절실히 요구된다. 가정과 사회 차원에서 생명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생명윤리 담론의 범위가 확대되고 그 교육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장자의 생명사상을 바탕으로 생명의 의미를 살펴보고, 장자의 ‘위일爲一[하나-되기]’의 개념과 원리를 변용하여 ‘부모-되기’ 교육론을 제안한다. ‘하나-되기’는 ‘무기無己’의 이치를 깨달음으로써 스스로 생명이 되는 과정이다. 또한 인식의 깨어남을 거쳐서 ‘몸’의 깨어남에 이르는, 인식과 행위가 일치되는 사태이기도 하다. ‘부모-되기’는 생명이면서 생명을 기르는 부모를 내세워, 보다 직관적이고 현대적으로 변용한 교육론이다. 그 세부단계는 생명의 의미를 깨닫는 ‘부모-알기’, 존재의 본질과 대면하며 본연의 생명을 발견하는 ‘부모-보기’, 생명으로서의 삶을 사는 ‘부모-되기’로 이루어진다. 교육대상은 주로 교사와 학부모, 예비부모를 설정했다. ‘부모-되기’교육은 교육자가 먼저 참된 생명이 되어야 하는 실천교육이기 때문이다. 생명교육은 교육자의 삶 자체가 교재가 될 때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다. In a situation in which disregard for lives becomes an overall social problem, education in bioethics that arouses the value of life is urgently required.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life is reviewed based on the philosophy of Zhuang-tzu, and the educational theory of ‘Becoming-parents’ is present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Zhuang-tzu’s ‘becoming one (爲一)’ principle. The concept ‘becoming-one’ is the process that one becomes a life by oneself by realizing the logic of ‘No subject (無己)’. In addition, it is a condition that the recognition and act become consistent through the awakening of recognition to the awakening of ‘body’. ‘Becoming-parent’ is an educational theory that is transformed more intuitively and modernly, as a life and a parent that raises the life. The detailed steps are ‘Knowing-parents’ of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Viewing-parents’ of discovering the original life by confronting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Becoming-parent’ of living as a life. The objects of education are teachers, parents and pre-parents. The education in bioethics can be fully accomplished when the educator’s life itself becomes a textbook.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내·외현적 자기애와 분노 간 우울의 매개효과

        강민준(Min Jun, Kang),송정애(Jung Ae, Song)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0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경기지역의 대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개인의 분노에 미치는 영향으로 자기애를 내/외현적 자기애로 구분하여 우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내/외현적 자기애와 분노와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내/외현적 자기애, 우울, 분노 변인 간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학생의 내/외현적 자기애, 우울은 분노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고, 대학생의 내/외현적 자기애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내/외현적 자기애와 분노간 우울은 유의미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함의점은 대학생이 표현하는 분노는 내/외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정도의 크기에 따라서 개인차가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하여 확인이 되었다는 것과 대학생들이 표현하는 분노는 대학생 개인의 외현적 자기애보다 내현적 자기애의 성향이 클수록 더 크게 분노로 표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활에 부적응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대안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대학의 학생상담센터에서는 개인 상담이나 집단프로그램에서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에 대한 상담 전략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took 223 university student subjects in the Gyeonggi-do region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narcissism and depression by distinguishing covert/overt narcissism as factors that impact individual anger,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overt narcissism and anger.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covert/overt narcissism, depression, and anger variables are positive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covert/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of the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while covert/overt narcissism appeared to significantly impact depression. Depression was confirmed to play a significant partially mediating role between covert/overt narcissism and anger.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that the anger expressed by students varies by the individual depending on the disposition toward covert/overt narcissism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that anger is expressed as greater anger when the individual college student’s disposition toward covert narcissism is greater than that of overt narcissis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one of various alternatives that can help students struggling with adjusting to college life. Furthermore,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s of each university can use this as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a counseling strategy for ‘how to intervene’ in individual counseling or group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