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현대 중국 코즈모폴리터니즘에 대한 고찰

        송인재 ( Song Inj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코즈모폴리터니즘을 서양과 비교하면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중국의 진로를 세계적 비전과 맞물려 사유하는 현시점에 유의미한 사상적 시사점을 제시하려 한다. 칸트는 코즈모폴리터니즘을 시민적 상태를 통해 갈등의 자연 상태를 극복하고 이성을 온전히 발현하도록 하는 이념이라고 정의했다. 19세기말 20세기 초 중국에서 코즈모폴리터니즘은 국가를 넘어선 세계, 인류에 대한 소속감, 기여의식을 표방했다. 최근에는 코즈모폴리터니즘이 천하, 전통 사유의 자원을 기반으로 보다 나은 세계질서를 형성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는 대국의 문명적 책임감의 차원에서 논의된다. 중국과 서양의 코즈모폴리터니즘의 극명한 차이는 그것을 수행하는 주체에 있다. 칸트는 시민을 내세우고 중국에서는 국가를 내세운다. 따라서 중국의 코즈모폴리터니즘은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국가가 구현하는 세계주의 이념이다. 그 결과 인류의 질서를 형성하는 주체로서의 시민, 그들이 구현할 이성에 대한 관심을 사실상 결여한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China’s cosmopolitanism by comparing it with that of West. Recently Chinese way has been combined with a global vision. This study intend to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at current point of view. Kant presupposes cosmopolitanism as an ideology that overcomes the natural state of conflict and manifests reason perfectly through civil status. In the nineteenth century, China’s cosmopolitanism was expressed as a world beyond national boundaries, a sense of belonging and contribution to world human society. In recent years, it is discussed as part of the civilization’s sense of responsibility that the cosmopolitanism sh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better world order based on the resources of traditional thought.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Chinese and Western cosmopolitanism is the subject who practice it. Kant proposed a citizen and China proposed a country. Therefore, China ’s cosmopolitanism is defined as the idea that consider a nation based on history and culture. As a result, China’s cosmopolitanism virtually lacks interest in citizenship as a subject forming the order of mankind and do not concern on the ration of human.

      • IEEE 802.21 Media Independent Handover 프로토콜의 설계 및 구현

        송인재(InJae Song),이성원(Sungw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D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모바일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네트워크 과부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WiFi 핫스팟 등의 인프라 증설을 통해 트래픽 분산(off-loading)효과를 기대 하지만 3G, WiFi 등 이기종 네트워크간 이동성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네트워크간 심리스 핸드오버를 위한 IEEE 802.21 Media Independent Handover(MIH) 표준을 기반으로 MIH 프레임워크에 대해 살펴보고 구현 관점에서 MIH 프로토콜을 위한 시스템 설계와 프로토타입을 제시한다.

      • KCI등재

        ‘문명’의 발견과 해석, 그리고 중국의 비전

        송인재 ( Song Injae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8 No.-

        중국의 4부상’에 힘입어 ‘문명’이 중국지식계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때 ‘문명’은 세계가 주목하는 경제성장으로 일군 중국의 자신감을 유지ㆍ보완할 수 있는 가치로 간주된다. 쉬지린은 ‘부강’과 4문명’이라는 벤자민 슈워츠의 근대화 해석 도식을 도입한다. 그는 중국이 경제적 ‘부강’만으로는 세계적 대국이 될 수 없고 여타 세계 각국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문명’을 창출할 때만 진정한 세계적 대국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한다. 간양은 역사적 연속성과 특수성에 기반을 둔 ‘문명’을 중국의 시대적 과제로 제시한다. 그는 이를 ‘민족-국가에서 문명-국가로’라는 슬로건으로 정식화해서 국가적 고유성이 국가 존립의 필수요소라고 지적하고 그 고유성의 원천으로 중국의 고전문명을 제시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19세기에 ‘문명’은 서양에서는 진보의 실현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이었고, 동양에서는 서양에 열등한 동양이 따라서 배우고 실현해야 할 지향태였다. 그런데 현대세계에 와서 ‘문명’은 세계대전 등 각종 부작용을 거치면서 진보 실현의 대명사로 추앙되는 대상이 아닌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쉬지린과 간양은 이러한 ‘문명’ 개념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그것을 세계사적 보편성, 중국의 고유성을 대변하는 개념으로만 사용한다. 그런데 오늘날 중국이 실현한 성장은 서양에서 한 차례 근본적인 비판을 받은 문명을 낳은 세계질서에 적극적으로 편입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고려 없는 ‘문명’에의 지향은 그 개념적 기초부터 흔들리고 있으며, ‘부강’을 넘어서는 것이 아닌 ‘부강’이 이룬 결과나 그 행위를 포장하는 가치에 머물 가능성이 있다. Going along with the rise of China, ’Civilization’ rise as the new topic of the society of intellectuals in China. In this time Civilization means the value which can the confidence of the strong China. Xu juin introduced the diagram of Benjamin Schwartz’s interpretation on the modernization. He consist that China cannot be the powerhouse only with the power of economy in the world, and only when China construct the universal ’Civilization1 she can be the real powerhouse in the world. Gan Yang proposes that the Civilization which is based on the continuity and uniqueness can be the purpose of this times. He developed this thoughts to the slogan of 'From nation states to civilized state' and insisted that uniqueness is necessary to the maintain this country. He also proposes that the uniqueness is originated from the classical civilization of China. In the vision of the Historical view, Civilization was the presentation of the confidence of the realization of progress in the western society. It was also the purpose that eastern society which was inferior to the western society must fellow and realize. By the way, ’Civilization’ was changed to the object to criticize not to fellow. Xu Jilin and Gan Yang didn't consider this contexts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just use this concept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university and uniqueness of China. But Chinas development is the result of the incorporation to the world-order which is criticized in this times. Therefore, if they don't consider this aspect, the concept of civilization must be agitated and it cannot go beyond wealth', but can just glamorize the activity or the result of 'wealth’.

      • KCI등재

        재난과 중국의 근대 전환 ― 과분의 위기부터 코로나19 대응까지 ―

        송인재 ( Injae Song ) 한림과학원 2021 개념과 소통 Vol.- No.28

        이 글에서는 재난이 중국의 근대 전환과 관계 맺는 양상을 살펴본다. 중국의 재난은 근대 전환 초기인 19세기 말부터 2020년 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 국면까지 광범위하게 관찰된다. 이 시기 재난은 자연적 현상을 넘어서 국가의 존립, 사회체제의 근본적 전환, 세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요청하는 계기로 작동했다. 우선 19세기 말 전통국가의 붕괴와 근대 전환에서는 국가의 존망 위기라는 재난이 큰 비중을 갖는 변수로 작용했다. 재난에 직면한 중국의 상황을 두고 유럽에서는 상반된 은유가 형성되었다. 한편에서는 중국을 서구 열강의 세력 확장의 피해자로 묘사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과거 유럽에 위협을 준 역사적 기억이 중국을 재난으로 묘사하며 유럽의 강한 대중국 전략을 요청한다. 둘째, 전통 시대에 거의 상시적으로 발생한 재난은 근대에도 빈번하고 강도 높게 발생했다. 이 시기 서구 선교사들은 수재, 가뭄의 소식을 해외에 알리고 구제 활동을 하는 동시에 전통 중국의 미신과 주술을 비판했다. 민국 시기 지식인은 재난 담론을 통해 문명화되지 못한 중국의 현실을 비판하고 과학적 대응으로의 전환을 촉구했다. 이들의 바람과 달리 민국 시기에는 재난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대응체계는 형성되지 못했다. 도리어 전쟁의 상황에서 정부는 민중을 극도의 고난에 빠뜨리는 인재를 일으키기도 했다. 셋째,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은 전국가에 걸쳐 발생한 재난에 대응하는 체제의 특성을 드러냈다. 아울러 중국과 서구의 상반된 재난 대응 과정은 새로운 거버넌스 논의를 촉발했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응 과정에서 중국 정부는 과거처럼 무감각하거나 무기력하지 않았다. 오히려 중국의 ‘성공’과 서구의 ‘혼란’이 대조되었다. 오늘날 중국에서 비롯한 전 세계적 재난은 중국에도 재난이었지만 중국 자체를 재난으로 보는 오래된 입장을 소환했다. 더 나아가 전 세계의 공통된 현상 속에서 보여준 다른 행태와 결과는 서구 절대주의적 인식에 균열을 가하고 체제의 장단점에 대한 판단을 근거로 한 체제 경쟁의 국면을 조성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s and China’s transition to modernity. Disasters in China are analyzed betwee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the early stage of the transition to modern times, and the ongoing COVID-19 global pandemic. During this period, disasters have prompted a struggle for nationhood, a fundamental change in the social system, and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wider world and China’s place in it; effects which extend well beyond natural phenomena. With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stat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re was a crisis of national survival which many Chinese experienced as a formidable disaster. A variety of contrasting metaphors were been formed in Europe to describe China's catastrophic situation: China was portrayed as a victim of colonialist expansion by Western powers, but there was also a historical memory of past threats to Europe, which portrayed China in similar terms and called for a strong European strategy to constrain China. Although great disasters had occurred repeatedly throughout the traditional era, they continued to recur at high intensity even in modern times. During this period, Western missionaries reported the news of floods and droughts abroad and conducted relief activities, while criticizing the traditional Chinese understanding of the world as backward and superstitious. Chinese intellectuals also used a discourse on disasters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to criticize the inadequacy of Chinese so-called civilization, calling for a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ponse to disasters. The government failed to heed their wishes, however, and indeed in the context of war, the extent and severity of suffering and hardship actually increased during this period. And most recently, the COVID- 19 pandemic shed some light on the current Chinese system for responding to disasters occurring across the whole country. This drew attention to the different approaches for dealing with disasters between China and the West, prompting renewed discussions about comparative governance. In its response to the pandemic, the Chinese government has demonstrated greater competence, and arguably also greater sensitivity, than to the disasters of the past, and some have contrasted China’s ‘success’ with the ‘chaos’ in the West. Today’s global disasters are also disasters in China, but the old view of China itself as a disaster is no longer applicable. Moreover, the distinct policies and outcomes during this global disaster, between the West and China, have provided some leverage for Chinese commentators to compare the two systems of governance, based on judgments of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llowing them to present the Chinese system in a more favorable light than was previously possible.

      • KCI등재

        동아시아 개념사와 디지털인문학의 만남

        송인재 ( Injae Song ) 한림과학원 2016 개념과 소통 Vol.0 No.18

        최근 한국 학계에서 디지털인문학이 새로운 경향으로 부상하고 있다. 2012년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한 후 2014년부터 디지털인문학이 정부지원사업의 항목으로 지정되었으며, 전국단위 학술행사에서 디지털인문학을 다루는 횟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기존의 관심 대부분은 연구 성과를 콘텐츠로 가공해서 대중화하는 작업, 디지털시대에 발맞춘 교육과정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것과 차별화되는 사례로 대만의 디지털인문학은 연구의 설계와 과정에서 방법론적으로 디지털기술을 활용하는 연구에 중점을 둔다. 한편 본질적으로 디지털인문학의 방법은 개념사연구와 친화성을 지닌다. 언어분석을 통해 개념의 형성과 변천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개념사 연구에 디지털인문학의 언어정보분석과 빅데이터분석이 그 성격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인문학은 개념사 연구의 혁신을 성취하는 계기가 된다. 한국과 대만의 개념사 연구자들은 이미 상당 기간 개념사와 디지털인문학의 결합이 갖는 긍정적 의미에 공감하고 장기적 전망 속에서 지속 발전과 협력을 도모해 왔다. 한국에서 디지털인문학과 개념사의 결합은 디지털인문학의 외연을 기존의 문화/ 인문콘텐츠, 자료전산화, 디지털인문학 교육에서 연구 혁신 분야로 확장한다는 의미도 갖는다. 궁극적으로 개념사와 디지털인문학의 결합은 개념사와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모두에게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된다. Recently, the Digital Humanities (DH) have arisen as a new trend in Korean academic studies, starting from 2012, when the Korean Government launched a DH project. The focus of these efforts has been in the cultural sphere, transforming our understanding of the achievements of the humanities b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DH has also flourished in Taiwan, where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all kinds of research processes, and in particular to conceptual history, which has a natural affinity with DH. The main methods of conceptual history, language analysis and macro-analysis, are closely related to the analysis of linguistic information and big data investigated by DH. Conceptual history researchers in both Korea and Taiwan have already found the combination of conceptual history and DH to be a fruitful partnership which shows long-term potential. This combination also promises to help enlarge the area to which DH is applied in Korea, by examining cultural content through digitizing texts and constructing databases; and DH education should provide a spur to innovation in academic research. Ultimately it is hoped that the combination of conceptual history and DH can raise the profile of both fields.

      • KCI등재

        부분상관을 이용한 저 복잡도의 주파수 오차 추정기법

        박지은,정용원,송인재,정의림,Park, Ji-Eun,Jeong, YeongWeon,Song, InJae,Jeong, Eui-Rim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8

        주파수 오차는 송 수신기내의 발진기의 오차와 송수신기의 이동속도에 의한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오차는 수신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수신기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주파수 오차의 정밀한 추정 및 보상은 송 수신기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주파수 오차를 부분 상관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는데, 기존 방식에 비해 낮은 복잡도를 가진다. 또한 제안하는 방식은 주파수 추정 정확성의 손실 없이 주파수 오차 보상 범위의 조절이 가능하여 넓은 주파수 오차가 존재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다. 제안 방식의 검증을 위해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를 수행하고, 기존의 기법과 비교 분석하여 성능 및 복잡도에 이득이 있음을 보인다.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 frequency offset exist at the received signal due to the transmitter-receiver oscillator mismatch and Doppler effect in mobile environments. Those offsets rotate the received signal's phase and degrade the receiver performance. Hence, estimation and compensation of the frequency offset is crucial at the receiver. This paper proposes a new frequency offset estimation technique based on partial correlation. The proposed method requires less computational complexity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In addition, since the proposed one can estimate a wide range of frequency offset without estimation accuracy loss,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is desirable for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s that have a large frequency offset.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scheme, a series of computer simulations have been carried out and compared against tho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