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관한 영유아교사의 요구도 분석

        송윤나 ( Song Yun-na ),김새로라 ( Kim Sae-lo-ra ),박희숙 ( Park Hee-su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4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관한 요구도를 분석하고 요구에 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와 C도 소재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 203명이며, 분석 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분석,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 교사들은 민주적인 학급경영의 하위 영역 중 교사와 영유아와의 관계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관한 하위영역별 요구도 분석결과 ‘교육과정 운영’ 영역에서는 영유아의 관심사반영, 교육과정 개발·편성·운영,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수·학습자료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영역에서는 영유아의 필요에 의한 환경 재구성, 유아의 흥미를 고려한 물리적 배치, 영유아의 의견에 따른 작품전시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와 영유아의 관계’ 영역에서는 교사의 지시적인 통제 지양, 영유아와 동등한 의견교환, 함께 만드는 학급규칙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과 안전’ 영역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안전교육 요구, ‘지역사회 연계 및 협력’ 영역에서는 자율적인 직무수행, 동료 교사와 협의, 자율장학,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for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etermine priorities for need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D City and C Province. The analysis method used SPSS 22.0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t-test, Borich deman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highest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mong the sub-area of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sub-area for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are as follows. In the area of ‘curriculum operation’, needs were high in order of reflecting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developing·organizing·operating th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area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needs were high in order of reconstruction of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needs of young children, create a physical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exhibit the children's works reflect their opinions. In the area of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needs were high in order of avoidance of direct control by teachers, exchange of opinions equally with young children, and class rules created together. In the area of 'Health and Safety', needs were high for safety education in daily life. in the area of 'Community connection and cooperation', needs were high in order of Autonomous job performance, consultation with fellow teachers, self-supervision, and community-related programs.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운영사례집의 미술놀이 내용분석: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송윤나 ( Song Yun-n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art-related play and art education content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s play activity case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of life. The analysis criteria was derived from the philosophy and contents of art education of life, an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respect to the play activity casebooks in five volume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The analysis criteria consisted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reative expression utilizing SCAMPER, art based on digital technology, aesthetic inquiry,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rt production.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07 out of 150 play activity case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s play activity casebooks consisted of art-related play activities associated with art education for life. Second, the most frequent and least frequent contents of art education for life were art production, and art history and art based on digital technology, respectively.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explores art-related play activities involved in art education for life as demonstrat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d play activity casebooks. Furthermore, it can also suggest art-related play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hich would need to be supplemented.

      • KCI등재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송윤나(Song, yun-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지역에 소재한 B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6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를 각각 28명씩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구성한 후 실험집단에서는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통제집단에서는 누리과정에 제시된 노래 부르기 활동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열구 결과,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은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공간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공간능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공간능력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on young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music and spatial ability. the subjects were 56 children aged 5 attending B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 to an experimental group of 28 and a control group of 28.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we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whereas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singing activities based on Nuri course. pre-and post-test data between the two group were analyzed with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young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music and spatial ability.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had a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music and spatial ability.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has educational value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help young children improve their ability to express music and spatial ability.

      • KCI등재

        알고리즘 기반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송윤나 ( Song Yun-na ),박희숙 ( Park Hee-su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2

        본 연구는 알고리즘 기반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D지역의 I유치원 만 5세반 유아 42명으로 실험집단 유아 21명(남아 11명, 여아10명), 비교집단 유아 21명(남아 11명, 여아 10명)이다. 연구절차는 알고리즘 기반의 유아수학활동 구성, 예비검사, 실험장소의 선정 및 실험자 교육 실시,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처치는 2017년 8월 21일부터 9월 29일까지 6주간 진행되었으며, 연구기간 중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알고리즘 기반의 수학활동을 매주 2-3회 적용하였다.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누리과정 중심 수학활동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전체는 실험진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 중 측정, 대수, 기하, 통계영역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향상 시켰다. 본 연구는 알고리즘 기반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발달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접근법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gorithm-based mathematic activities to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42 of five-year old children(experimental group 21, comparative group 21) at I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the research proceeded in order that consisted of algorithm - 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activity composition, preliminary test, selection of experiment site, implementation of experimenter education, pre - 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 - tes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August 21 to September 29, 2017 for 6 weeks. The experiment group performed the mathematics activities through the algorithm-based, and the comparative group performed the mathematics activities in the Nuri course based on life top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measurement, algebra, geometry, and statistical domain was improved among sub - area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fore, it has been shown that algorithmic mathematical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algorithm - based mathematical activities can be proposed a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it is a mathematical activity of unplugged learning which learns computer science without using computer.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to a new type of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음악교육가들의 교육내용을 반영한 음악 교수내용지식에 따른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Orff, Dalcroze, Kodály를 중심으로

        송윤나(Yun-na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양성과정에서 활용되는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를 음악교육가들의 교육내용을 반영한 음악 교수내용지식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에 적합한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 7권을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음악 교수내용지식의 구성요소인 교과내용 지식, 교수학습 방법 지식, 교육과정 지식, 학습자 지식으로 구성된 본 연구의 분석준거에 따라 연구대상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교재의 교과내용 지식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통음악에 관한 내용이 가장 적게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교재의 교수학습 방법 지식을 분석한 결과, 교재에 수록된 유아 음악활동 계획안에는 음악감상 활동, 점진적 심화 원리에 따른 음악 활동이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내청연계 노래 부르기, 화음연계 활동, 음이름 또는 계이름으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적게 제시되고 있었다. 셋째, 교재의 교육과정 지식을 분석한 결과, 누리과정 연계 음악교육 내용이 표준보육과정 연계 음악교육 내용보다 평균적으로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넷째, 교재의 학습자 지식을 분석한 결과, 교재에 수록된 유아 음악활동 계획안의 대상 연령은 유아 또는 영유아 통합적으로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양성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를 음악교육가들의 교육내용을 반영한 음악 교수내용지식에 따라 분석하여 추후 개정될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의 개선 및 보완사항을 제안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university textbook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utilized with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according to the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t reflects the educational content of music educators. Methods For this study, seve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university textbooks suitable for research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Next, thes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mains: subject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urriculum, and learner knowledge. The results were presented.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the subject content knowledge revealed that there is a noticeable deficiency in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in the textbook. Second,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knowledge in the textbook showed that the included plans for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predominantly focus on music appreciation and activities following the principle of gradual deepening. Activities such as singing with inner hearing, harmony-linked activities, and singing by note or scale are less frequently presented. Third, upon analyzing the curriculum knowledge within the textbooks, the music education content linked to the Nuri curriculum is presented more frequently on average than the content linked to th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nowledge of leaners in the textbook, the target age for the included plans for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tended to center around young children or toddler-young children integration.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roposals for future enhancements and revisions of university textbooks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요소 분석

        송윤나(Yun Na Song),박희숙(hee suk Park)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5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활동의 STEAM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STEAM 현황을 알고, 이에 적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을 돕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발행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에서 제시된 총 696개의 활동으로, STEAM 활동을 알아보고 STEAM 요소(내용요소 및 지향요소)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STEAM 활동이 과학(S), 기술·공학(T/E), 수학(M)과 같은 이공계 영역간의 융·통합 형태보다는 예술(A)과 이공계 영역간의 융·통합 형태로 주로 나타났으며 5세 누리과정의 STEAM 활동은 결합되는 내용요소간의 수가 많을수록 적게 나타났다. 둘째, 5세 누리과정의 본 활동이 STEAM 내용요소간의 융·통합 형태인 STEAM 활동으로 제시되기 보다는 단순히 분과적인 형태로 주로 나타났으며 누리과정에서 STEAM 내용요소 가운데 예술(A) 영역이 고르게 제시되기 보다는, 언어예술과 미술예술 활동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5세 누리과정 중 STEAM 지향요소에서 창의적 설계의 분석결과 ‘지식의 산출과정’은 ‘작품·제품의 산출과정’과 비교했을 때 ‘지식의 산출과정’에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었으며 5세 누리과정 중 STEAM 지향요소에서 감성적 체험의 분석결과 조작적 경험, 브레인스토밍, 토의활동, 바깥활동의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 STEAM factor of activity proposed by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 book for ages of 5 years old. This study establish research programs as follows: First, what is activity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Second, what is element factor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Third, what is aim factor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This study investigate STEAM activity for 696 activities of 〈activity method〉 proposed by 11th book of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 book] for ages of 5 years old and analyze how STEAM factor such as content and aim factor work. We divide research problems as depending on research problem and comput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EAM activity proposed by Nuri curriculum appears as the combination of art(A), science(S) and technology/engineering(T/E) rather than that of only science and tedmology/engineering. Second, the more the number of combinatorial content factor is, the less STEAM activity appears. Compared to M*A type which appear most frequently, S*T/E A*M type which is combined all STEAM factor appears 27 times less. Third, content factor appear simply as a separate form rather than as a combination form in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Fourth, art(A) element of content factor is not fairly presented. Art(A) element of physical and musical factor tend to appear less than that of linguistic and fine artistic factor. Fifth, when Greative Design of STEAM aimed factor is considered, compared to the result as a work and a product, there is a tendency to appear as that of a knowledge. Sixth, the order of frequency of appearance is as follows: practical experience, brainstorming, discussion activity, and outdoors activity.

      • KCI등재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에 기초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분석

        송윤나(Song, yun na),박희숙(Park, hee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의 본질적 특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기초로 수학을 학습하며 지도하는 방법을 구한해낸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을 기초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분석준거를 마련하고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에 제시된 696개의 활동을 대상으로 수학화 유형, 수학화 과정, 수학화가 나타나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수학화한 수학내용은 ‘기수와 서수’였으며, 가장 낮은 빈도로 수학화한 수학내용은 ‘패턴 대수’였다. 또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수학화 유형은 유아가 직접 경험하는 실세계 또는 유아의 상상을 통해 현실적으로 느껴지는 환상적인 세계 속에서 다양한 수학내용을 도 출해내는 수평적 수학화는 나타났으나 수평적 수학화를 통해 도출한 수학내용을 보다 정교화하거나 발전적인 형태로 나아가는 수직적 수학화는 나타나지 않은 경우였다.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수학화 과정은 ‘양적화하기’ 였다. 또한 수학화가 가장 많이 나타난 상황은 비 허구적인 상황이었으며, 일상적인 이야기 나누기 중심의 다양한 경험적 활동 중에 수학화가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수학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추후 개정될 누리과정 지도서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nuri curriculum teacher s guidebook for age 5 based on Freudenthal s mathematization theory which emphasizes he mathematical education method through mathematization. For this purpose, analysis criteria were set up through analysis of advanced research and this study analysis the 696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about the mathematization type, the mathematization process, and the mathematized Situ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math content i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as cardinal and ordinal and the least analyzed math content was pattern algebra. also The most common type of mathematization i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as horizontal mathematization, which elicited various mathematics contents through the real world directly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or felt realistic in a fantastic world. but it was not connected the vertical mathematization.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the mathematization process was ‘quantified’, and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mathematized situation was a variety of experiential activities centered on daily conversation in the non - fictitious situat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and it can be presented as useful basic data of the nuri curriculum which will be revised in the future.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의 특징 내용분석 -민주적인 교육과정과 운영방식을 중심으로-

        송윤나(Song, Yun-Na),김복화(Kim, Bok-Wha)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교육과정과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부와 보건복지부(2019)에서 발간한 3종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 지원자료이다.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는 민주적인 교육내용(학습자 중심 교육내용, 민주시민 교육내용),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교사와 유아의 참여⋅협력형 교수학습 과정,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방식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는 구성원의 유치원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유아, 구성원 전체), 협력적 교육공동체 기반 교육과정 지원(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은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민주적인 교육내용 순으로 빈도가 높게 제시되어 있었다.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방식에 관한 내용은 협력적 교육공동체 기반 교육과정 지원, 구성원의 유치원 운영 의사결정 참여 순으로 빈도가 높게 제시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될 누리과정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ocratic Kindergarten’ presented i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guidelines. We analyzed the features of a democratic curriculum and ways to manage the democratic early childhood curriculum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Three guideline books of the Nuri-curriculum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were evaluate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 democratic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the guideline books included ‘the democr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curriculum co-created by teachers and children’. The other criteria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emocratic curriculum management included the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community-based cooperative support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mocratic curriculum content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were presen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order of ‘the curriculum co-created by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 democratic educational contents’. Second, the management of the democratic curriculum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were presen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order of ‘the community-based cooperative support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and ‘the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대한 인식과 실태

        송윤나(Song, Yun-Na),김새로라(Kim, Sae-Lo-Ra),박희숙(Park, Hee-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현직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C도를 중심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영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020년 2월 10일부터 2월 29일까지 걸쳐 배부 및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Scheffé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분석한 결과, 영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근무 기관 설립유형에 따라 민주적인 학급경영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교사의 학력, 근무유형, 근무기관 설립유형에 따라 민주적인 학급경영 실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민주적 학급경영에 관한 인식과 실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급경영의 하위영역인 교육과정 운영,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교사와 영유아의 관계, 건강과 안전지도, 지역사회 연계 및 협력에서 실태보다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about the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To this end, it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20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round D City and C Provinc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em and returned from Feb. 20 to Feb. 29, 2020. In the analysis method used SPSS 22.0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é analysi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was revealed according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type of establishment of a working institution. In the actual con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work, and type of institution establis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iculum operation, which is a sub-area of classroom managem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health and safety guidance, and community connection. All in the area of cooperation, the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e actual situ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 KCI등재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1991년~2021년 6월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송영인(Song, Young-In),송윤나(Song, Yun-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유아 극놀이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 극놀이 연구들의 제한점을 살펴보고 향후 유아 극놀이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및 보완되어야 하는 개선점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방법 ‘극놀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이현순(1991)의 연구 기점으로 2021년 6월 까지 발표된 유아 극놀이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자료 250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주제에 따른 교과연계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교차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교육분야의 극놀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 극놀이 연도별 연구 동향은 2006년에서 2010년까지 연구가 급증하기 시작하여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유아 대상 연구가 대부분인 인적대상 연구가 물적대상 연구보다 많이 진행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성 검증인 실험연구에 기초한 양적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연구주제별 동향은 실천연구가 기초연구 보다 현저하게 많이 연구 되었으며 특히, 실천연구에 해당하는 연구물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교수방법의 효과성 검증이었다. 다섯째, 연구주제의 교과연계별 동향은 교과연계에 해당하는 연구물이 교과연계에 해당하지 않은 연구물보다 조금 많이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연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언어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 극놀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앞으로 유아 극놀이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s drama play, which are ongoing so far,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children s drama play research,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fant drama play research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Methods It searched for periods, themes, methods and the subjects of 250 Korean scholarly journals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which have been published until June, 2021, since Lee Hyeonsun (1991) first used the term of ‘dramatic play’, and estimated and analyzed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by subject-connection Results First, the research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had been drastically increased from 2006 to 2010,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and tends to be recently increased,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years. Second, it primarily examines human subjects, rather than material objects,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the subject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publishe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and then,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research method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experimental study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was most often used. Fourth, the action research theme was prominently often used, compared to the basic research theme,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research themes, especially, the test on research methods effectivenes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studies with the action research theme.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subject-connected theses and that of others, though the former is slightly higher than the latter,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subject- connection, and language accounted for the most portion of it. Conclusion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understands the tread of research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and provides the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and a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