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분야 질적연구의 자료 분석 절차 탐색

        송연옥 ( Yeonok Song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공학 분야 질적연구의 자료 분석 절차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2018년까지『교육공학연구』와『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실린 질적 논문 중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논문 110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연구는 크게 ‘자료 수집 및 정리’, ‘자료 분석’, ‘결론 도출’ 등 3단계의 절차를 거쳤으며, 자료 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료검토와 감사추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공학 분야 질적연구의 자료 분석 절차는 ‘조직하기’,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심층적으로 사고하기’, ‘검토하기’, ‘공유하기’ 등 총 5개의 범주와 26개의 코드로 정리되었다. 주요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참고한 분석 기준의 대부분이 해외 학자에 의해 제안된 것이었으며, 자료의 유형과 연구문제에 따라 다양한 분석 기법을 유연하게 적용하고 있었고, 연구과정과 결과가 충분히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하려는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료 분석 절차를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에 비해, 모호하게 기술하거나 축약하거나 생략한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내부로부터 산출되는 질적 결과물에 대한 가치를 발견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학회 차원의 노력, 개별 연구자들의 새로운 방법론적 도전을 적극 지지하고 권장할 수 있는 실천적 노력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ata analysis procedures of qualit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a content analysis in reference to the examples in 110 qualitative studie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from 2000 to 2018. The study was largely carried out in three stages of ‘Data Collection and Organization’, ‘Data Analysis’ and ‘Conclusion’, and peer debriefing and expert audit review were conduct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data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identified five procedures of ‘Structuring’,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n-depth thinking’, ‘Checking’, ‘Sharing’ and 26 codes. The main result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analysis standards were proposed by foreign scholars decades ago, that various analytical methods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research topics, and that there is a visible trend of working to prove that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were sufficiently reliable and valid. However, there was still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udies where the data analysis procedures were vaguely worded, abbreviated or omitted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ies where the data analysis procedures were explain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including academic-level efforts from associations to discover and spread the value of qualitative results from within the association, as well as practical efforts to actively support and encourage new methodological challenges of individual research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육정보화 정책 분석: 교육정보화백서를 중심으로(2008~2019년)

        송연옥 ( Song-Yeon O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정보화 정책의 주요 이슈와 전개양상을 입체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2019년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발행한 교육정보화백서 12건을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정보화 정책 주요 이슈는 교육 및 학습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정부에서만 확인되는 주제어는, 이명박 정부 ‘가정’, ‘원격’, ‘품질’, 박근혜 정부 ‘기술’, ‘온라인’, ‘정책’, ‘활동’, 문재인 정부 ‘ICT’,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학교’ 등이었다. 둘째, 의미 연결망의 경우 역대 정부 모두 교육, 학습, 지원에 대한 연결성이 가장 높았다. 셋째, n-gram의 경우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는 원격, 사이버, 온라인과 학습, 수업 활동에, 문재인 정부는 ‘소프트웨어-교육’, ‘서비스-지원’에 보다 더 강조점을 두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CONCOR 분석 결과 정부별 상위 키워드의 수가 가장 많이 포함된 군집으로 이명박 정부 ‘학생 지원 시스템’, 박근혜 정부 ‘온라인 학습’, 문재인 정부 ‘정보화 연수’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변동성 측면을 고려한 논의, 정책적 공조 체계 마련, 학습격차 완화를 위한 제도 마련, 정부에서 먼저 손 내미는 소통노력, 교육의 기본가치를 지키기 위한 내실 다지기 등 향후 교육정보화 정책 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issues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Korean government's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o this end, a total of 12 white papers on th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policy-issued annually from 2008 to 2019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were classified in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d the current Moon Jae-in administration for network text analysis (NTA).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issue of the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common to the three administrations was education and learning support. Keywords that appeared only in the policy of a specific administration were as follows: “home,” “remote,” and “quality” for the Lee administration; “technology,” “online,” “policy,” and “activities” for the Park administration; and “ICT,” “software,” “program,” and “school” for the Moon administration. Second, in terms of the semantic network, all three administrations showed the highest connectivity for education, learning, and support. Third, the n-gram analysis revealed that the two previous administrations placed more emphasis on remote, cyber, online and learning, class activities, while the Moon administration focused more on software education and service support. Finally, through the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CONCOR) analysis, the clusters containing the highest number of top keywords for each administration were as follows: “student support system” for the Lee administration, “online learning” for the Park administration and “informatization training” for the Moon administr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 분석

        송연옥 ( Yeon Ok Song ),노혜란 ( Hye Lan Roh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을 양적ㆍ질적방법으로 분석하여 대학 교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수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S대학교 교원 59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조사를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차적으로, 교원 23명을 대상으로 행위사건면접조사(Behavior Event Interviews: BEI)를 실시하였다. 1차 자료는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하여 요구도를 산출하였으며, 2차 자료 분석은 해석적 판독 방식인, 문장단위로 사례 절편화하기, 개념화하기, 범주화하기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1차 자료 분석결과, 교수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행도가 가장높다고 생각하는 역량은 ‘학생과의 의사소통’으로 동일했으며, 개선 요구도가 가장 높은 교수역량은 ‘교수학습 자료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의준비 영역(방향이 서지 않는 수업목표 설정,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 강의진행 영역(소통되지 않는 수업, 수업에 몰입하지 못하는 학생들, 학습내용 소화에 대한 의문, 열심히 가르쳐야 한다는 강박), 강의정리 영역(평가 및 피드백에 맞서는 학생들, 강의에 대한 매너리즘) 등 총 3개 영역에서 8개의 강의 저해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에게 유용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마련에 대한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mprovement needs and lecture inhibiting factors by identify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throug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and to deriv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CTL support program. To this end, prim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eaching competency survey given to 59 faculty members of “S University,” and second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Behavior Event Interviews (BEI) with 23 faculty members.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on the primary data to analyze needs, while the secondary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terpretive reading methods consisting of the fragmentation,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of examples by sentence units. The results of the primary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faculty evaluated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s both the most important teaching competency and the competency that is presently being practiced best.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most needed improvement was the “development of faculty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condary data, the following eight lecture inhibiting factors were deduced in three areas: lecture preparation (lack of direction in lecture objective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lecture progression (lack of communication during lectures, students’ lack of concentration, questionable internalization of learning, compulsive need to teach zealously), and lecture conclusion (students disagreeing with evaluation and feedback, attitudes towards the lecture). Based on these results, detailed plans for support programs that would be useful to faculty are proposed.

      • KCI등재

        학생 피드백에 기반한 교수활동 질 관리 방안 연구: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송연옥 ( Yeonok Song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활동에 대한 학생 자발적/비자발적 피드백의 내용을 고찰하고 향후 교수활동 질 관리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C대학교 교직과목 수강생 283명(2011-2학기, 2012-1,2학기, 2013-2학기, 2014-2학기, 2015-1,2학기, 2016-2학기)을 대상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절차는 교수자가 학기초 계획한 ‘학생 피드백 기반 교수활동 질 관리 체계’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1차 자료는 ‘자발적 피드백’으로, 중간고사 전/후 학생들로 하여금 강좌에 대한 피드백을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2차 자료는 ‘비자발적 피드백’으로, 학교 차원에서 진행된 학기말 서술형 강의평가 내용을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원 자료 전사, 원 자료 반복 읽기, 사례 절편화, 주제의 생성, 코딩의 절차를 따랐다. 그 결과 자발적 피드백은 794개, 비자발적 피드백은 338개의 개념이 추출되었다. 이 개념은 6개의 자발적/비자발적 피드백 공통 상위 범주(강의설계, 강의운영, 시청각 및 기타 학습도구, 학습평가, 학습성과, 종합평가)로 분류되었으며, 각 범주별 유사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개념들을 하나로 묶는 과정을 통해 자발적 피드백 23개, 비자발적 피드백 18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자발적 피드백의 경우, 강좌에 대한 학생 개인의 경험을 매우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교수활동 질 관리 측면에서 활용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비자발적 피드백은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표현과 함께 교수자에 대한 ‘인사글’에 치우쳐 있어 교수활동 질 관리 측면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수활동 질 관리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oluntary/involuntary feedback from students on teaching activities and explore quality management plans of teaching activities.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from 283 students taking courses in teaching at C University (2nd semester in 2011, 1st and 2nd in 2012, 2nd semester in 2013, 2nd semester in 2014, 1st and 2nd semester in 2015, and 2nd semester in 2016). The primary source is “voluntary feedback” regarding the lecture that was written and submitted by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midterm. The secondary source is “involuntary feedback” using the contents of descriptive lecture evaluations perform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t the school level. Data was analyzed by transcribing raw data, reading descriptions by participants, clipping cases, generating topics, and coding. As a result, there were 794 concepts from voluntary feedback and 338 concepts from involuntary feedback. These concepts we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of voluntary/involuntary feedback (lecture design, lecture management, audio-visual and other learning tools, learning evaluation, and learning outcomes, summative evaluation). By grouping the concepts that imply a similar meaning in each category into one, 23 subcategories for voluntary feedback and 18 for involuntary feedback were created. The voluntary feedback realistically and specifically expressed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students in the lecture, thereby showing a high value of use in terms of quality management of teach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involuntary feedback, with a few exceptions, mostly consisted of abstract and comprehensive expressions, focusing too much on “greetings” to the instructor, thereby not providing enough meaningful information in terms of quality management of teaching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pecifically provides quality management plans for teaching activities based on the voluntary feedback from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아동문화콘텐츠에 재현된 전통문화

        宋蓮玉(Song, Yun-Ok)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0 No.-

        현재 세계 최대의 아동도서 시장인 중국에서 가장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분야는 그림책이며, 그중에서도 전통문화 그림책은 글로컬리즘의 실천방식으로 가장 각광받으며 다양한 문화콘텐츠로도 변용되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문화 그림책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기 정체성을 규정하며, 그 고유성을 구조화하고 있는지, 그것이 아동에게 어떻게 설득되며 어떠한 콘텐츠로 소비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전통문화의 특성을 재현성, 현재성, 소비성이라고 개념화하여,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전통문화 그림책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그림책의 텍스트와 파라텍스트를 통해 그림책에서 재현되고 있는 전통문화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무엇을 전통문화라고 보여주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전통문화 그림책 주인공의 욕망과 행동결과를 통해 전통의 이데올로기의 현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의 기대독자를 통해 전통의 소비성에 주목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중국 전통문화 그림책의 서술자는 대부분 3인칭 성인 서술자였으며, 계몽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었다. 그림 서술자는 전통예술 형식을 차용하여 전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다양한 전통예술 형식을 활용한 파라텍스트는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그림책에는 순종을 전제로 한 훈계, 혹은 검증된 지식을 전달하는데 유리한 수직적 서열이 존재했다. 둘째, 주인공의 욕망과 갈등을 고찰하여 전통이 누구의 욕망을 대변하고 있는가, 지금 왜 전통이 필요한가를 통해 전통의 현재성을 고찰하였다. 그림책은 전통적인 윤리관과 처세를 강조하고, 가부장적 질서를 옹호했으며, 한족 중심의 농경문화를 민족의 정체성으로 삼았다. 문화유산 경쟁에서 24절기를 선점하려는 국가적 욕망도 있었다. 셋째, 기대독자와 문화콘텐츠 변용양상을 통해 전통의 소비성을 고찰한 결과 “게임⋅만들기+그림책” 형식의 명절선물 세트, 모래그림 쇼, 입체 북, 오디오 북, 유치원의 미니수업(微課), 초등 교과과정, 박물관의 문화강좌, 체험활동으로 변용되어 소비되고 있었다. 중국의 전통 이데올로기는 성인 중심의 계몽의도, 도시인을 위한 문화 마케팅, 톱다운 방식의 중국 문화정책을 의도하며, 다양하고 재미있는 아동문화 콘텐츠로 변용되어 소비되면서 아동에게 내재화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raditional Chinese ideologies being reproduced in picture books. The reason is that the most remarkable growth area in China, the world’s largest children’s book market, is picture books, and among them, traditional culture picture books are in the spotlight as a practice of glocalism, and are being transformed into various cultural cont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e of the text narrat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picture, and the reproducibility of tradition through paratext. The narrators of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picture books are mostly third-person adult narrators holding to an enlightening attitude. The pictorial narrators wanted to show tradition by borrowing traditional art forms. Paratexts use various traditional art forms very well. However, in the picture books, there are discipline for obedience or vertical hierarchy in favor of delivering proven knowledge. Second, the nowness of tradi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questions of whose desire the tradition represents and why the tradition is needed now. The picture books emphasize traditional ethics and the trend, defend patriarchal order, and make the Han Chineses’ agrarian culture Chinese identity. There is also an attempt to preempt the 24 seasonal divisions in the cultural heritage competition. Third, the consumption of tradition was examined through expected readers and cultural content transformations. There are various forms of cultural transformation: sand painting show, three-dimensional book, audio book, kindergarten mini clas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useum cultural lectures, hands-on activities, and holiday gift sets consisting of game, making kits and picture books. Chinese traditional ideologies in picture books are shown in the aspects of the enlightenment in the viewpoint of adults, cultural marketing for urbanites and top-down Chinese cultural policies, and are consumed in the various forms of interesting children’s cultural content.

      • KCI등재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의 컴퓨팅 사고력 인식수준 분석

        송연옥(Song, Yeon 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이 인식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관련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H대학교 ‘창의적사고와코딩’ 강좌를 수강하는 신입생 113명을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9월 1주 동안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①t 검정을 통해 중요도와 현 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②Borich 요구도 공식을 활용하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수치를 산출하였고, ③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가 높은 항목을 4사분면으로 구분된 좌표명편에 결과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고, ④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영역과 LH영역에 속한 항목과 개수를 확인한 다음, 해당 개수만큼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 신입생이 인식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의 중요도와 현 수준은 8개 하위 요소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은 자신이 인식하는 중요도 대비 현 수준을 매우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요구도의 최우선 순위는 ‘구현’과 ‘적용’이, 차 순위는 ‘정보 분석’, ‘모델 설계’, ‘알고리즘 표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공계와 비이공계 학생 모두 공통으로 ‘구현’과 ‘적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한편, 이공계 학생의 경우 비이공계 학생과 달리 정보나 데이터의 특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 분석하여 핵심 요소를 추출할 수 있는 ‘정보 분석’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신입생 대상 컴퓨팅 사고력 교육의 가치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sessment of needs for computational thinking perceived by university freshmen, and provide basic data for relevant education. To this end, computational thinking of 113 freshmen taking the “Creative Thinking and Coding” course at H University was measured. Data were collected for a week in September 2019. Using SPSS 25.0, this study ① statistically analyzed a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through a t-test, ② calculated the figures to set priority using the Borich needs formula, ③ visually presented the results on the coordinates in which items with high needs are divided into quadrants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④ checked the number and items that belong to HH and LH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n prioritized the Borich needs to the relevant number and presented them in a table. Key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8 subfactors between the importa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perceived by university freshmen and the current level—students tended to rate the latter much lower than the former, and the top priority needs wer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followed by “information analysis,” “model design,” and “expression of algorithm.” Second, both engineering and non-engineering students showed high needs for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The difference was, unlike non-engineering students, the engineering ones showed higher needs for “information analysis” through which they can process and analyze information or data characteristics in various methods and extract key ele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methods to fulfill the value of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for freshmen in universities.

      • KCI등재

        대학에서의 성찰기반 코딩교육 수업설계와 적용: H대학교 `SW와컴퓨팅사고`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송연옥 ( Yeonok Song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성찰기반 코딩교육의 적용가능성 및 적용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H대학교 `SW와컴퓨팅사고` 강좌 수강생인 1학년 학생 79명을 대상으로 학습 성찰일지, 중간 수업 피드백 및 학기말 수업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원 자료의 전사, 읽기, 문장단위로 절편화하기, 코딩, 주제의 생성 등 5단계 분석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총 5개의 성찰기반 코딩교육 효과 범주(내용 재생 및 파지,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성취감, 창의력, 소통 및 협업능력)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성찰기반 코딩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복습활동을 촉진하였고 이는 학습 내용을 장기기억으로 보내는데 긍정적 기여를 하였으며, 둘째, 당면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기록하는 활동이 학생들의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찰일지를 통해 학기 초 대비성장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성취감이라는 긍정적 경험으로 이어졌고, 넷째, 제시된 결과물을 토대로 세부동작을 유추하며 기록하는 과정은 학생들의 상상력과 아이디어를 자극하여 창의력 향상으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료 학습자와 성찰일지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상호 학습 촉진자로서의 역할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성찰기반 코딩교육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and application strategies for reflection-based coding education in undergraduate curricula. To this end, 79 freshmen enrolled in the “SW and Computational Thinking” course at H University were asked to write a learning reflection journal, and mid-term feedback and final course evaluation were administ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five-stage content analysis, involving transcription, reading, segmentation, coding, and topic generation of the original data. Five categories were identified to be improved by reflection-based coding education (content reproduction and understanding,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sense of accomplishment,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ability). First, reflection-based coding education promoted students to review their learning, which contributed to converting the learned contents to long-term memory. Second, recording their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solving problems had beneficial effects on improving students`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ird, students were able to ascertain that they had achieved personal development since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this benefited them by giving them a sense of accomplishment. Fourth, the process of inferring and recording detailed actions based on the presented outcomes stimulated students` imagination and ideas, ultimately improving their creativity. Finally, the process of sharing feedback about the reflection journal with fellow students reinforced their roles as learning facilitators and improved their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levant implica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reflection-based coding education in universit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