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해결 수학활동이 예비 보육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송미정(Song, Mi Jeoung),홍달아기(Hong, Dal Ah Gi) 한국생활과학회 2016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blem-solving mathematical activities on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iency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 We chose 70 pre-service childhood teacher who takes children teaching classes in the department of Home and Child Welfare in the university in I city and provided them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activities for 10th. As a result of pre · post score t-test of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iency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 problem-solving mathematical activities have a meaningful effect on mathematical attitude, mathematical teaching efficiency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 Especially, they have a strong effect increasing interest and confidence among mathematical attitude, and belief of ability among mathematical teaching efficiencies. Therefore, problem-solving mathematical activities will provide active and desirabl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to ameliorate interest and confidence, which support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iency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

      • KCI등재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미정(Song, Mi Jeoung),심성경(Shim, Seong K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위치한 A유치원과 B유치원 만 5세 유아 44명으로 실험집단 22명과 통제집단 22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12주 동안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맞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인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하위요인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유아의 창의적인 표현활동과 친사회적 행동촉진을 위한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의 일반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rosocial behaviors. Forty four 5-year-old children from kindergartens A and B, located in J city in Jeollabuk-do, were chosen as subjects and were divided randomly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had 22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for a total of 12 weeks, whereas the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with normal activities based on the life theme curriculum.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its overall sub-factors, and promoted their creativity; second, the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nd its overall sub-factors, and improved their prosocial behaviors. Such outcomes have shown that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rosocial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explored ways of generalizing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to promote young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인식의 관계

        이선경(Lee seon kyung),송미정(Song mi je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평정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놀이에 대한 인식은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은 수학연한과 학년별 변인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인식은 수학연한 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별 변인에서는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가 2,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놀이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인식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놀이인식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놀이성을 증진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fulness and play recognition. To this end, the scale was rated for 205 pre-school teachers attending in their 3rd/4th year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n Jeollabuk-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fulness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and their recognition of play was high.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chool teacher s playfulness depending on their study year and grad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recognition depending on their study year, but in terms of grad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attending in the 4th grade showed higher levels of play recognition than others in the 2nd and 3rd grad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school teacher s playfulness and play recogni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layfulness of a preschool teacher, the higher the level of play re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raising the level of play recogni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and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playfulness are needed to increase the level of play recogni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전공만족도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이선경(Seon Kyung Lee),송미정(Mi Jeoung Song) 한국보육학회 2021 한국보육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전공만족도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북의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20명을 대상으로 교직 적성, 전공만족도,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전공만족도, 사회적 자기효능감 평균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아졌으며, 전공만족도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 학년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직 적성과 전공만족도,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변인 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직 적성 하위요인 중 자기계발, 긍정적 정서이며, 전공만족도 하위요인 중 관계만족, 교직 적성 하위요인 중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ptitude, major satisfaction and social self-efficacy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For this, we evaluated teaching aptitude, satisfaction level and social self-efficacy of 220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3-year community college in Jeonbuk provinc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verages of teaching aptitudes, major satisfaction, and social self-efficacy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increased with grad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and social self-efficacy according to grade. Second, w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he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ptitude, major satisfaction and social self-efficacy. Third, variables affecting social self-efficacy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f-development and positive emotions from the teachers’ aptitude factors, relationship satisfaction from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and lastly creativity from sub-factors of teaching aptitude.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data could be a basic material for improvement of social self-efficacy of the pre-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입체표현력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선경 ( Seon-kyung Lee ),송미정 ( Mi-jeoung S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입체표현력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위치한 J어린이집과 S어린이집만3세 유아 34명으로 실험집단 17명과 통제집단 17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총 12주 동안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맞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은 만 3세 유아의 입체표현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은 만 3세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입체표현력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의 일반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expressive activities involving the exploration of food on the competence of three dimensional expression and scientific in three-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full three-yea-old children attending J and S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J city, Cheollabuk province. The childr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control group with 17 children each.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expressive activities involving the exploration of food materials for 12 weeks in total,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life theme-focused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expressive activities involving the exploration of food materials generally showed improvement in their three-dimensional expression skills . Second,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expressive activities involving the exploration of food materials generally showed improvement in their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 These results accordingly mean that the expressive activities involving the exploration of food materials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competence in three-dimensional expression and scientific inquir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generalization of expressive activities involving the exploration of food material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수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이선경(Lee Seon Kyung),송미정(Song Mi Jeoung),온은아(On Eun 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teaching flow. We applied three rating scale tools to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209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eonra Buk province, in order to measure their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teaching f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exists between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teaching flow. The higher social support and the lower job stress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he higher teaching flow is observed.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is influenced by emotion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in that order.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has comparatively slight influence on teaching flow. Further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factors is need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increa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also show that high teaching flow may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ife and then contribute toward their improved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직무스트레스와 교수몰입도의 관계는 어떠하며, 사회적 지지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수몰입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유아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 교수몰입도에 대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및 교수몰입도 간에는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적을수록 교수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에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수몰입도에 상대적으로 미미한 영향력을 미쳐 이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높은 교수몰입도는 유아교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육의 질을 증진시켜 수업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발달간의 구조적 관계

        유지은(Ji-eun Ryu),신애선(Ae-sun Sin),김경후(Kyung-hu Kim),송미정(Mi-jeoung S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발달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J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55개 어린이집의 만 1~2세 영아의 부모 3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질은 아버지 양육참여 중 여가지도, 생활지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사회ㆍ정서행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인 활동성/충동성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사회ㆍ정서행동의 주의집중, 모방/놀이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ㆍ정서행동은 영아기질 접근회피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최종모형의 변인 간 경로계수를 통한 적합도 검증결과, 영아기질은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ㆍ정서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영아의 사회․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질과 아버지 양육참여의 역할을 확인하고, 영아기 자녀의 사회․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infant"s temperament,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th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with 330 parents of infants aged 1 and 2 in 55 day care centers located in J city and I city, Jeollabukdo.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First,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equ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fant"s tempera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eisure and guidance, while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tivity and impulsivity, which are external manifestations of their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daptability and mood aspects of the child"s temperament, and also with general anxiety, an internal aspect of his or her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pproach avoidance aspect of the infant"s temperamen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oute between the variables, infant temperamen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route, having a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with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fant"s temperament and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had effects on th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an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having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in terms of its effects on th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 IFRS의 도입 및 적용과 관련된 회사법상의 논점 : IFRS導入․適用に関する会社法上の論点

        코오리야 다이스케,송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1 Ewha Law Review Vol.1 No.2

        This paper was reviewed the issues in company law related to IFRS, begun arbitrary to be applied in Japan. Especially examined the issues related to company law, except problems related to the timing of compulsion application of IFRS. First, reviewed the problems mentioned in "Documents about the application of IFRS in Japan, (interim report)" : troubles that can be incurred when IFRS is applied to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and arbitrarily applied to the unlisted companies. Also, checked whether IFRS can be regarded as 'fair reasonable, generally recognized corporate accounting practices' and looked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IFRS and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In addition, reviewed the problem that IFRS can not be applied to single statements, particularly in terms of calculating divisible surplus. To prove it, inspected the elements affecting Revenue recognition and current income, the concept of fair market value and acquisition cost basis, valuation profit and loss and accumulated other comprehensive income and the regulations of consolidated dividend. 이 논문은 현재 일본에서 임의적용되기 시작한 IFRS와 관련된 회사법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특히 IFRS 강제적용시기와 관련된 문제점 이 외의 논의 중 회사법과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우선, ‘일본에서의 국제회계기준취급에 관한 의견서(중간보고)’에서 지적한 IFRS를 개별재무제표에 적용할 경우와 IFRS를 비상장기업에 임의적용하는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IFRS를 ‘일반적으로 공정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기업회계관행’으로 볼 수 있을지 여부와 개별재무제표와 IFRS와의 관계를 검토하는 실익도 살펴보았다. 또한, 단일계산서류에 IFRS를 적용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특히 분배가능액산정상의 문제점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익인식․기타당기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공정가치개념과 원가취득주의, 평가손익과 기타포괄이익을 둘러싼 문제, 그리고 연결배당규제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 EU solvency Ⅱ에 대해서 : 새로운 자본요건의 방향성

        시게하라 마사키,송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2 Ewha Law Review Vol.2 No.1

        유럽에서 준비 중인 solvency II 중, 자본요건에 대해서는 QIS5라는 계산기준의 형태로 기준안이 제시되어 있다. 계산기준에서의 자본요건판정은 경제가치를 기준(base)으로 한 재무제표의 작성, 필요자본의 계산, 자본의 질을 고려한 자기자본과의 대응에 따른 판정이라는 순서를 밟게 되어 있다. 또한 보험회사의 기업집단(group)에 대한 감독자를 정하고, 기업집단의 지급여력(group solvency)의 판정 등의 감독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solvency II는 다른 나라의 지급여력(solvency) 규제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기업집단(group) 감독을 통하여 유럽 역외의 보험회사에도 직접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시되어 있는 리스크 분류, 리스크 분산의 반영, 자기자본의 도입⋅단계별 기준, 기업집단(group) 감독에 관한 문제 등을 검토하고, 각 논점의 검토 동향을 이후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In solvency II being prepared in Europe, capital requirements have been presented the form of calculation standard called QIS5. Judgement of capital requirements at the calculation standard consists of preparation of financial statement based on the economic value, the calculation of capital requirements and judgement in accordance with equity capital considering the quality of capital. In addition, supervisors will be assigned for group of companies with insurance companies and supervision against solvency of business groups is scheduled to take place. Solvency II will affects solvency regulations of other countries and is likely to directly affect insurance companies suited at out of European area. Therefore, risk category, reflection of risk dispersion, The introduction of equity capital⋅Step-by-step basis of equity capital, issues on group of companies supervision are scheduled to be examined and we must be going to follow up each issues, even 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