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송규호 ( Song Kyu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에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이 점점 고도화되어 미국 SAE 기준 자율주행 단계인 ‘완전 자율주행’의 시대가 점점 가까워짐에 따라(Lee, & Ban, 2020) 근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의 실내 공간의 디자인 방향성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연구에서 지칭하는 ‘근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는 친환경적인 전기를 동력으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수준의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일반화된 시대를 말한다. 근미래에는 모빌리티가 더 이상 이동수단의 기능에만 머물지 않을 것이며, 사람들은 모빌리티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 스마트 모빌리티의 실내 공간 변화를 예측하여 정리해보고 우리 사회에서 모빌리티 실내 공간이 갖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관련기사, 포털사이트, 통계청, 교육청, 문부과학성 자료 등을 바탕으로 자동차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될 것인지 분석, 예측한다. 설문조사, 인뎁스 인터뷰, 아이데이션 워크숍 등의 방법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결과)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은 편안한 휴식 및 여가활동, 개인 업무에 최적화 된 비즈니스 활동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크게 이 두 분류에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가 결합되어 자연스러운 사용자 경험으로 이어져야 한다. 모빌리티 실내 공간에서 좌석 시트는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사용자의 동선 및 공간의 사용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모빌리티 실내 공간의 연결성과 확장성에 대해 인지하고 모빌리티 공간을 이동만을 위한 공간이 생활 공간으로 재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이 빠른 속도로 발전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정의를 하고 모빌리티 실내 공간의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은 사용자 기반을 중심으로 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며, 단순 이동수단이 아닌 인간의 생활 공간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그 변화의 가장 중심에는 운전대가 없어진 실내 공간이 될 것이다. 자동차 안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액션 콘텐츠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은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이어 향후 스마트 모빌리티에서 사용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가구 시스템 뿐 만 아니라 모빌리티 스토어 및 모빌리티 오피스 등 다양한 영역의 모빌리티 생활 공간으로 연구 범위를 넓혀보고자 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With smart mobility technology expected to advance further in the near term, and the era of “completely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US SAE standard, approaching (Lee, & Ban, 2020),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the design direc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automobiles, in line with the smart mobility era. The “smart mobility era” refers to a period in which vehicles are capable of fully autonomous driving powered by eco-friendly electricity, transforming into a generalized transportation system. Mobility will no longer be limited to the function of transportation, and will start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inside the automobil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changes in the inside space of smart mobility in the future, and examine the meaning of mobility space in our society. (Method) This study analyzes and predicts the direction in which automobiles are expected to develop, based on related articles, portal site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the upcoming mobility industry. Through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idea workshops, meaningful insights are derived, which can be used for smart mobility space design. (Result) It is predicted that the interior space of smart mobility will develop into a comfortable space for resting and leisure, and a personal work space optimized for business activity. For these two purposes, various services should be combined which leads to a natural user experience. The seating arrangements will move flexibly, but it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user scenario according to the purpose. In the mobility interior space, the seats occupy most of the space and take up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user’s movement and space. Recognizing the connectivity and scalability of the interior space of automobiles, the space for transporting should be reinterpreted as a living space. (Conclusion) This study defined smart mobility and studi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mobility space while the advancement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is developing at a rapid pace. The smart mobility space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user and recognized as a living space rather than just a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biggest change is expected to be the interior space without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various activities available in the vehicle, the interior space of smart mobility should be a flexible and expandable space.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not only to a new furniture system used in smart mobility, but also to a new space such as mobility stores and mobility offices.

      • KCI등재

        반려동물 분리불안 해소를 위한 스마트 기기 개발

        송규호 ( Kyu Ho S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반려동물 케어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 제품의 개발 사례를 및 특성을 분석하고, 반려동물 케어 중 분리불안 해소를 위한 반려동물 스마트 기기를 디자인하고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이론적 고찰을 위해 반려동물 인구와 시장 동향 관련 기사, 문헌, 마켓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용자 및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스마트 제품을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반려동물 케어 스마트 제품의 디자인 및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해보고 적정 기술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스마트 제품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반려동물 시장이 커짐에 따라 반려동물 용품 시장도 규모가 커지고 있다. 1-2인 가구의 반려동물 인구가 늘어나면서 편리와 스마트한 케어를 중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려동물 인구가 늘어난다는 것은 반대로 반려동물을 책임져야 하는 책임감의 크기가 사회적으로 그만큼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반려동물의 권리를 뜻하는 동물권이라는 단어가 나올 만큼 반려인들에 대한 책임감에 대한 이슈가 커지고 있다. 회사를 다니는 1-2인 가구의 반려인이 늘어나면서 분리불안 및 모니터링, 산책 및 운동 등 반려동물 케어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반적으로 굉장히 높아지고 있다. 주인이 한 명 혹은 두 명이고 산책을 매일 나가지 못하는 반려견은 사회성이 저하되고 독립적이지 못해 주인에게만 의지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반려견의 분리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놀이에 집중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주인이 떨어져 있어도 괜찮다는 안도감을 훈련하여야 하는데, 이것을 놀이와 접목시켜서 놀면서 자연스러운 분리불안 훈련이 되도록 하였다. 커버 케이스에 따라 제품에 아이덴티티를 부여하여 확장성과 재미를 더했다. 커버 케이스에 따라서 제품의 성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반려동물은 지겨워하지 않고 놀이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products that are being transmitted in the pet care product, and to design and develop the pet smart devices for eliminating separation anxiety between the pet and its owner.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s; articles, literature, markets related to the pet population and trends were researched. Furthermor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et owners and the ones who have tried using pet care smart products, and non-domestic pet care smart products cases were additionally analyzed. Based on these researches and using reasonable technology, this smart pet product was able to be developed. As the pet market is growing, the pet supply market is also increasing.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pets in the household of 1-2 people are increasing, and convenience and smart care are highly needed. Increasing the number of pets means that the weight of the responsibility they have for their pets is growing. Even a word “animalist” came out, which reveals how much responsibility one takes for their pet became an important issue in this society. As the most of the 1-2 households has to go to work, their interest in pet care such as monitoring, walking, and how to keep their pets healthy has expanded. Pets with only one or two owners who cannot go for a walk every day tend to rely on their owners because they are not independent and nonsocial. In order to resolve the pet’s separation anxiety, it’s important to focus on their independent play time which will help to pets to realize it is okay to be without their owner. And combining the product and the natural way of spending their play time will help lessen separation anxiety. Expandability and fun was added by absorbing product’s identity based on its cover case. Because the product is able to change its character based on its cover case, the pet is able to play continually without feeling disregarded.

      • KCI등재

        언택트 홈 오피스 체제의 업무효율 개선을 위한 홈 오피스 가구 시스템 개발

        송규호 ( Song¸ Kyu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해 인류 최대의 위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감염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이 바이러스는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바이러스로 인해 홈 오피스 시대가 도래하면서 효율적인 업무를 위한 홈 오피스 가구 시스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해 보고자 한다. 특히 홈 오피스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하기 위해 최적화된 공간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디자인 개발에 앞서 오피스의 개념 및 기능, 역할에 대해 정리하고 오피스가 변화하는 이유와 목적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오피스와 집의 공간 및 가구에 대해 조사하고 인뎁스(in depth) 인터뷰를 통해 구체적인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홈 오피스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적합한 가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실제 디자인 결과물로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 스케치와 인체공학적인 부분을 고려한 1:1스케일의 3D 모델링 설계, CMF(Color, Material, Finish)를 적용한 렌더링을 진행하여 실제 공간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시뮬레이션 렌더링까지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홈 오피스에서 좀 더 원활한 업무를 위한 공간의 구성 및 중요 요소를 찾아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결과) 비대면 시대의 스마트 워크의 중심은 이동의 용이성이 아닌 공간의 제약이다. 오피스 밖에서 업무를 진행하지만, 업무 공간을 집으로 한정한 홈 오피스 체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사무환경에서의 기능적 효율성을 가져오면서 디자인 및 CMF는 홈 인테리어 및 사용성에 조화롭게 디자인하였다. 홈 오피스 가구 시스템의 포인트는 업무의 효율과 홈 인테리어와의 조화이다. 그리고 휴식 공간과 업무 공간과의 분리이다. 공간의 디바이드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뿐만 아니라 업무 시 집중도를 높여준다. 재택근무를 원룸에서나 침실, 거실 등에서 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홈환경에서 공간을 디바이드 할 수 있는 파티션을 데스크와 결합 혹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이제까지 집이라는 공간이 휴식과 가족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목적이 있었다면, 이제부터는 홈 오피스라는 하나의 목적을 더해야 할 것이다. 이제는 집의 의미와 업무가 결합 된 새로운 형태의 공간과 가구 디자인이 지속적으로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홈 오피스 공간 및 업무효율성 개선을 위해 가구 및 공간의 활용방안을 찾는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며, 사용성 및 실제 업무 효율성의 변화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를 이어나가고자 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spread of COVID-19 is progressing very fast enough to say that it is the biggest crisis of mankind. Originating in Wuhan, China, the virus has spread across Asia and throughout the whole world.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home office furniture system design for efficient work with the advent of the home office era due to the COVID-19 virus. In particular, it aims to provide an optimized space for home office users to work efficiently. (Research Method) Prior to design development,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office were summarized, and the reason and purpose of office changes were studied. In addition, by looking into the space and furniture of offices and houses, and deriving specific insigh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ttempted to develop furniture suitable for working in the home office. In order to derive the actual design result, a 1:1 scale 3D modeling design which considers various structural sketches and ergonomics, and CMF (Color, Material, Finish) were applied to the rendering to simulate how it should be used in real space. Composition and important elements of space were considered in the new form of home office, to make it efficient to work in. (Result) The key point of smart work in the non-face-to-face era is not the ease of movement, it’s the constraints of space. Now one is working outside the office, and this new space should be a home office where work space is limited at home. Functional efficiency were brought into the office environment, And design and CMF were harmonized with home interior and usability. The importance of home office furniture system is work efficiency and harmony with home interior, also the separation of the rest area and work area. The division of space not only gives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creases concentration when working. Working from home in a spare room, bed room, living room, or etc., partitions that can divide space in various form and can be combined with another desk or used alone. (Conclusion) Until now, the space called home was used to rest and communicate with family, but from now on, the purpose of home office should be added. New forms of space and furniture design which combines the meaning of home and work should be proposed continuously. In order to improve home office space and work efficiency, constant interest and research are needed, and changes in usability and actual work efficiency is going to be analyzed continuously.

      • KCI등재

        LTCC용 Glass Frit의 결정화 특성 및 유전 특성에 대한 PbO 함량의 영향

        박정현,김용남,송규호,유재영,Park, Jeong-Hyun,Kim, Yong-Nam,Song, Kyu-Ho,Yoo, Jae-Young 한국세라믹학회 200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9 No.5

        본 연구에서는 $PbO-TiO_2-SiO_2-BaO-ZnO-Al_2O_3-CaO-B_2O_3-Bi_2O_3-MgO$계의 유리를 $1,400{\circ}C$에서 용융시킨 후, 급랭, 분쇄하여 glass frit을 제조하였다. Glass frit 분말을 일축가압성형한 후 $750~1,0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2시간 동안 소성 및 결정화 하였다. Glass frit의 결정화는 $750{\circ}$ 전후의 온도에서 시작되었고, 저온에서의 주된 결정상은 $Al_2O_3$와 hexagonal celsian($BaAl_2Si_2O_8$)이었다. 소성온도가 높아지면서 monoclinic celsian, $ZnAl_2O_4,\;Zn_2SiO_4,\;CaTi(SiO_4)O,\;TiO_24 등이 주된 결정상으로 나타났고, 특히 celsian은 hexagonal에서 monoclinic으로 상전이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15wt%의 PbO를 첨가한 glass frit에만 $PbTiO_3-CaTiO_3$ 고용체가 나타났다. 1MHz 대역에서 유전특성을 살펴본 결과 유전상수는 11~16이었고, 유전손실은 0.020 미만이었다. 그러나 15wt%의 PbO를 첨가한 glass frit의 경우는 $PbTiO_3-CaTiO_3$ 고용체 결정상의 존재로 유전상수가 17~26으로 높았고, 유전손실은 0.010~0.015로서 다른 조성들에 비하여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the glass frit of $PbO-TiO-2-SiO_2-BaO-ZnO-Al_2O-3-CaO-B_2O_3-Bi_2O_3-MgO$ system was manufactured. The glass was melted at $1,400{\circ}C$, quenched and attrition-milled. The glass frit powder was pressed and fired for 2h at the range of $750~1,000{\circ}C$. The crystallization of glass frit began at about $750{\circ}$ and at low temperature, the main crystal phases were hexagonal celsian($BaAl_2Si_2O_8$) and alumina. As the fir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crystal phases of monoclinic celsian, zinc aluminate, zinc silicate, calcium titanium silicate and titania appeared. And the increase of firing temperature led to transformation of hexagonal celsian to monoclinic. The only glass frit containing 15wt% PbO had the crystal phase of solid solution of $PbTiO_3-CaTiO_3$. At the frequency of 1 MHz, the dielectric constant of glass frit crystallized was in the range of 11~16 and the dielectric loss less than 0.020. But the glass frit containing 15wt% PbO had the dielectric constant of 17~26 and loss of 0.010~0.015 because of crystal phase of solid solution of $PbTiO_3-CaTiO_3$.

      • KCI등재

        스마트 기반의 의류 청정시스템 가구 디자인 개발

        김미숙 ( Misook Kim ),송규호 ( Kyuho S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예로부터 동, 서양을 막론하고 오랜 시간 동안 옷은 장롱이나 붙박이장과 같은 수납가구에 보관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가구는 수납 뿐 아니라 바이러스와 미세먼지에 대응하는 항균과 청정 기능까지 가구에 필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가구와 스마트 기술의 융합은 가구업계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변화하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의 대응 및 가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점차 악화되고 있는 생활환경 변화에 따라 스마트 항균 시스템의 의류 수납 가구 디자인 개발을 하고자 한다. 또한 영세 가구제조 기업에서도 스마트 가구 라인업을 구성할 수 있도록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적정 보급 기술을 활용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의류 청정시스템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옷장 가구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스마트 가구시장 동향을 비롯하여 시장분석, 그리고 사용자 조사 및 인구 변화의 추이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적용 가능한 스마트 기술을 검토하여 선정한다. 가구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 범위는 사용자 트랜드 조사와 적용 가능한 스마트 기술 검토 및 시험분석, 그리고 디자인 기획 및 설계와 의류관리 청정 시스템과 가구개발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상품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까지 포함한다. (결과) 앞서 인테리어 트렌드 리서치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옷장 가구에서도 다양한 컬러 플레이를 진행하는 것으로 콘셉트를 설정하였다. 또한 옷장 내부를 디바이드 함으로써 소형 의류 청정기가 옷을 충분히 케어 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옷장 가구는 의류 청정시스템 모듈이 작동하기에 적합한 내부 부피와 설치 가이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는 배선 등을 고려하여 옷장 가구를 디자인하였다. 의류 청정시스템 모듈은 옷장 가구 내부 벽면에 부착되는 디바이스로 습도센서, 온도센서, 미세먼지 감지센서, 조도센서, 가습기 모듈, 펜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온도와 습도, 미세먼지 농도 등을 센싱하여 반자동으로 작동되며, 옷장 내부의 습도, 미세먼지, 온도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디바이스 내부에는 3종류의 필터가 내장되어 있어 옷에 묻어있는 메세먼지 및 각종 불순물, 냄새까지 제거한다. (결론) 본 연구는 손쉽고 저렴한 적정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접근성이 좋은 스마트 가구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첨단 IT기술은 굉장히 빠른 속도로 발전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기존의 경험보다 조금 더 나은 경험을 위해서 고도의 첨단 IT기술이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저렴한 기술로 스마트 가구에 활용 가능하다. 기술은 대규모 상용화 단계에 들어서면 기술적인 주목도는 감소하지만 가격은 급속하게 내려간다.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대부분 영세한 국내 가구 제조업체들이 접목 가능한 보급기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구매가 용이한 스마트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시한다면 새로운 품목의 스마트 가구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적정 기술을 적용하여 홈에서 사용하는 가구 뿐 만 아니라 공공공간이나 오피스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가구개발의 범위를 넓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물을 참조하여 적정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가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From old times, regardless of where in the East or the South, clothes have been stored in cabinets such as wardrobes or built-in cabinets. However, today's furnishing is becoming a necessary element not only for storage, but also for antibacterial and cleaning functions in response to viruses and fine dust. The convergence of furniture and smart technology is expected to create new opportunities in the furniture industry, respond to changing consumer lifestyles, and present a new paradigm.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the design of a smart antibacterial system for clothing storage furniture in response to the worsening in the living environment. Proper distribution technology. And a closet which can be used by small furniture manufacturers.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amines smart furniture market trends, market analysis, user surveys, and demographic changes to review and selects appropriate smart technologies. The process of furniture design development includes user trend surveys, applicable smart technology reviews and test analysis, and design planning. Moreover, clothing purifying system and the actual furniture prototype is produced to specify commercialization of furniture development. (Result) Based on the insights obtained through the interior trend research. First, the concept is to play various colors in the wardrobe furniture. The inside of the closet is divided to make it easier for the small purifier to take good care of each piece of the clothes. The wardrobe furniture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ior volume, suitable for the clothes cleaning system module to operate, and for the installation quide and electricity wire to fit inside. The clothing purify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wardrobe and consists of humidity, temperature, fine dust, illuminance sensor, and humidifier, pen module and more. It operates semi-automatically by sensing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can manage all these conditions inside the closet. Three types of filters are built inside the device to remove fine dust, various impurities, and odors on wardrobes.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ccessibility to smart furniture. With convenient technology and friendly price, it can give customers a better experience in life. When technology enters the stage of large-scale commercialization, the technical attention decreases, but the price decreases. Taking advantage of this fact, if many small domestic furniture manufacturers continue to present more convenient and affordable smart furnishing to users, it will be possible to form a new smart furniture market. In the future, we intend to expand the field of furniture development which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public spaces and offic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mart furniture development with applicable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