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지홍수 심도예측을 위한 새로운 홍수지수의 개발

        조덕준,손인욱,최현일,Jo, Deok Jun,Son, In Ook,Choi, Hyun Il 한국수자원학회 201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6 No.1

        최근 들어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양상에 따라 짧은 시간에 큰 유출양상을 보이는 국지적 돌발성 홍수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규모 지역의 집중된 강우로 발생하는 국지적 돌발성 홍수는 빠른 수문반응으로 인하여 홍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예 경보 시간이 부족한 것이 특징이다. 국지 홍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한계유량을 초과하여 제내지의 피해발생 가능성이 있는 홍수사상에 대한 심도예측이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소규모 유역에서 발생하는 홍수사상의 심각성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홍수지수(New Flood Index)를 개발하고 새로운 홍수지수와 강우특성과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국지 돌발홍수예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2개의 시범유역들에 대한 홍수유출수문곡선은 장기간 관측된 연최대치계열 실측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유출 모형을 통하여 산정하였다. 새로운 홍수지수 NFI는 2년 빈도 홍수량으로 가정된 한계유량을 초과하는 홍수사상에 대하여, 첨두홍수량비, 상승부경사, 초과홍수지속시간 등 홍수 유출수문곡선의 특성을 이용한 3가지 상대심도계수의 기하학적 평균값으로산정하였다. 분석결과 3시간최대강우가 새로운 홍수지수NFI와 가장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홍수지수와 강우특성과의 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최적 관계식은 소규모 미계측 유역에서의 국지적 홍수 심도예측을 위한 예비정보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an increase in the occurrence of sudden local flooding of great volume and short duration due to global climate changes has occasioned the significant danger and loss of life and property in Korea as well as most parts of the world. Such a local flood that usually occurs as the result of intense rainfall over small regions rises quite quickly with little or no advance warning time to prevent flood damage. To prevent the local flood damage, it is important to quickly predict the flood severity for flood events exceeding a threshold discharge that may cause the flood damage for inland area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NFI (New Flood Index) measuring the severity of floods in small ungauged catchments for use in local flood predictions by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NFI and rainfall patterns. Flood runoff hydrographs are generated from a rainfall-runoff model using the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of long-term observations for the two study catchments. The flood events above a threshold assumed as the 2-year return period discharge are targeted to estimate the NFI obtained by the geometric mean of the three relative severity factors, such as the flood magnitude ratio, the rising curve gradient, and the flooding duration time.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3-hour maximum rainfall depths have the highest relationships with the NFI. It is expected that the best-fit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NFI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can provide the basic database of the preliminary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local flood severity in small ungauged catchments.

      • KCI등재

        격자기반 Common Land Model을 이용한 고해상도 지표 모의

        이종석(Lee Jong Seok),손인욱(Son In Ook),최현일(Choi Hyun Il)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기후변화는 수자원을 비롯한 자연자원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기후모형과 연계되는 지표모형의 격자기반 적용이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신 지표모형 중에 하나인 CoLM을 이용하여, 낙동강 수계의 한 소유역에 대하여 일 지면온도를 모의하였다. 격자기반 CoLM을 이용한 고해상도 지표 모의를 위하여, 지표경계조건 및 기상입력 자료를 1km 격자망에 대하여 구축하였다. 2009년에 대하여 모의된 유역평균 지면온도의 일변화는 MODIS 지면온도 관측값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적용한 고해상도 지표모형은 지면온도를 평가에 사용되어, 지역 및 대륙 규모의 수문학적 연구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물-에너지 순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climate change already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water and other natural resources, a grid-based configuration of Land Surface Models (LSMs) coupled with a climate model is necessary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s. This study has therefore implemented the Common Land Model (CoLM), one of state-of-the-art LSMs for daily land surface temperature simulations for a small study basin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Both surface boundary conditions and meteorological forcing data were constructed at 1-km spatial grid spacing for high resolution land surface modeling by the grid-based CoLM. The time series of basin-wide daily land surface temperature results simulated in 2009 from the CoLM can successfully capture observations from MODIS LST (Land Surface Temperature) observat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high resolution LSM simulation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which can provide a basic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impact on surface water and energy fluxes for regional and continental hydrologic studies.

      • KCI등재

        부영양화 평가 방법에 따른 계절별 대청호의 수질분석

        김응석 ( Eung Seok Kim ),심규범 ( Kuy Bum Sim ),양상용 ( Sang Yong Yang ),윤조희 ( Jo Hee Yoon ),갈병석 ( Byung Seok Kal ),손인욱 ( In Ook Son ),최현일 ( Hyun Il Choi ) 한국물환경학회 2012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8 No.6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trophic state in Daecheong Lake by Carlson (1977) method, Aizaki (1981) method, Yang and dickman (1993) method, and Korean trophic state index method. For estimating the trophic state index from each analysis method we use water quality factors such as COD, TN, TP, Chl-a, and SD provided by the water information system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easonal lake trophic state results denote the mesotrophic state lake from Carlson (1977) method, Aizaki (1981) method, and Korean trophic state index method and the high relation between Carlson (1977) method and Aizaki (1981) method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greater than 0.9 for all the seasons. Although Korean trophic index method has relatively weak relation to other methods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ranging from 0.419 to 0.701, we propose that Korean trophic index method is suitable for use in domestic lakes since Korean trophic index results show the similar periodicity and tendency with other method results. Hence, Korean trophic index method incorporating domestic lake characteristics is expected to can contribute to seasonal wate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in lak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