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명과 문장

        손유경 ( Son Youkyung ) 민족문학사학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3 No.-

        이 글은 명문(名文)과 혁명(가)의 관계를 사유하는 최인훈의 독특한 관점을 『화두』 (1994)의 문장론으로 재구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조명희와 이태준의 텍스트를 새롭게 독해한 것이다. 『화두』의 지적 오디세이는 아름다운 문장과 비참한 현실의 간극에서 괴로워하는 지식인이 아니라, 역사와 운명에 대한 `치명적 예언`을 수행하는 명문을 무한히 신뢰하고 아끼는 예술가의 정신을 담은 텍스트이다. 『화두』 후반부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진 주인공의 러시아 여행에서 `나`로 하여금 다시 글을 쓰게 만든 것은 다름 아닌 죽은 레닌이었음이 밝혀지는데, `나`에게 레닌은 “레닌의 높이에까지” 올라갔던 출중한 저술가이자 탁월한 혁명가였다. (2장) 명문에 대한 `나`의 이러한 심미적 감동과 믿음은 사실 포석 조명희의 「낙동강」(1927)에서 비롯된 것인데, 『화두』 주인공의 관점을 따라 다시 읽는 「낙동강」의 핵심은 `농이 참 된다`는 주인공 박성운의 대사에 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과연 농(말)은 참(현실)이 되어 박성운의 애인 `로사`는 북행 열차를 타게 되고, 자기가 창조한 문장의 주술에 걸린 작가 조명희는 러시아로 망명하게 된다. (3장) 명문에 대한 『화두』 주인공의 심미적 취향은 이태준의 단편소설에 대한 깊은 공감에서도 확인된다. 그러나 이태준의 『소련기행』은 그 소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화두』에서 단 한 번 언급된 것으로 그친다. 중요한 것은 이 텍스트에서 `조명희 찾기`라는 이태준의 알리바이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의 문제인데, 조명희의 행적을 묻는 장면들에서 포착되는 것은 사실을 알고 싶은 욕망이 아니라 알게 될 것에 대한 두려움이다. 요컨대 「낙동강」이 `농(말)이 참(현실) 되는` 명문의 세계였다면 『소련기행』은 현실이 말을 집어삼키는 황량한 문장의 세계였다고 할 수 있다. (4장) This paper newly reconstructs the works of Cho Myunghee and Yi Tae Jun, based on the writing style displayed in Choi In-hun`s novel Hwadoo (1994), through which Choi explored the relation between great writings and revolutions (or revolutionaries). The intellectual odyssey in Hwadoo is not of an intellectual who suffers from the gap between beautiful prose and the grim reality. Rather, the text reflects the thoughts of an artist who has infinite trust and appreciation towards great writings, which serve as the “fatal prophecy” on history and destiny. In the protagonist`s trip to Russia, which is the main theme of the latter part of Hwadoo, what motivated “I” to write again was none other than the late Lenin; it is revealed in the passage that to “I,” Lenin was a great writer and an outstanding revolutionary who “reached the level of Lenin” (Chapter 2). “I`s” aesthetic impression and belief in great writings is in fact based on Cho Myung-hee`s (pen named Poseok) short story “Nakdong River” (1927).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a rereading of “Nakdong River” should be focused on the protagonist Park Seong-un`s comment that “A joke can become reality.” Jokes (words) become true (real) indeed as Park Seong-un`s lover “Rosa” takes the northbound train and the novelist Cho Myung-hee, bewitched by his own sentences, defects to Russia (Chapter 3). The aesthetic taste of Hwadoo`s protagonist on great writings can also be found in his heartfelt appreciation of the short story by Yi Tae Jun. Yi`s Accounts of the Visit to the USSR, however, was only mentioned once in Hwadoo, in spite of its significance. The important issue is how Yi`s alibi of “searching for Cho Myung-hee” could be interpreted. What can be sensed in the passage where Yi asks for Cho`s whereabouts is not the urge for knowledge but actually the fear of knowing. In conclusion, if “Nakdong River” represented the world of great writings where “a joke (words) become true (real),” the Accounts of the Visit to the USSR portrays a world of dreary writings where reality devours writings (Chapter 4).

      • KCI등재

        사후(事後/死後)의 리얼리즘 -김향숙 소설의 “살아남은 딸”들을 중심으로

        손유경 ( You Kyung S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1980년대 문학이라는 연대(年代)의 강한 구속력과 암시성은 그 시기에 활약한 개별 작가들의 문학적 성취에 관한 논의를 매우 조심스러운 작업으로 만드는 한 요인이 된다. 당대 주류 비평가들로부터 ‘일종의 리얼리즘’이라는 모호한 평가를 받았던 1980년대 작가김향숙(1951~ )의 문학적 성취를 본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이 글은 그의 주요 작품들을‘사후의 리얼리즘’이라는 시험적 개념에 비추어 살펴본다.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를 ‘살아남은 자’의 시선으로 포착한 김향숙의 1980년대 작품에는 역사라는 무대의 주인공이 떠난 사후(死後/ 事後)에도 고통에 찬 관객의 삶은 계속된다는 엄연한 사실이 촘촘히 형상화되어있다. 변혁의 주체이거나 역사의 주인공이었던 적이 없는 무대 바깥의 인물들은 자신이 살아남았다는 것에 부끄러움을 느끼지도 않지만 자기 한 목숨 지키는 것만을 최고로 여기는비루한 존재도 아니라는 점에서 김향숙 소설은 후일담소설의 문법과 뚜렷이 구별된다. 이인물들은 비겁해서가 아니라 관객이었기 때문에 살아남았을 따름이다. ‘자기의 극소화’를꿈꾸는 인물들이 등장하는 등단작 「기구(氣球)야 어디로 가니」 에서는 1980년대 현실을 뒤집어 보는 김향숙 특유의 관점이 일찌감치 감지된다. 이후 김향숙은 ‘누이 잃은 오빠’들이차지했던 저항 주체로서의 위상이나 나르시시즘에 기반을 둔 살아남은 자의 슬픔과 구별되는 ‘오빠 잃은 누이’의 자리 찾기에 집중하면서 살아남은 딸들이 죄의식에 사로잡히지 않고생기 있는 삶을 살기 위해 고투한 장면들을 여러 각도에서 포착했다. 이처럼 세상의 중심인물 되기를 거부하거나 그로부터 소외된 인물이 형상화되고 특히 주인공(아들)이 떠난 후 살아남은 딸들이 생기 있는 삶을 살기 위해 몸부림치는 장면이 복원됨으로써 폭력과 대항 폭력이 닮을 수밖에 없었던 1980년대 현실의 한 부면이 아프게 환기된다. ‘치밀한 심리 묘사’라는 다분히 문제적인 창작의 비결로써 1980년대 문학 장에 존재했던 작가 김향숙은 인물의내면에서 발생하는 슬픔이 아니라 그 내면을 파괴하는 현실의 가공할만한 위력을 담담하게묘사한다. 그가 인물의 심리 묘사에 집중한 것은 사후의 리얼리즘을 형성하는 인물들에게는 지극히 역설적으로 그 어떤 개인적인 것 즉 외부 세계와 분리된 자기만의 고유한 내면이허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김향숙이 그리고자 했던 1980년대의 현실이었는지도 모른다. It is very complicated to discuss each individual writers` literary achievements in the 1980`s due to the strong implication of ``literature in the 1980s`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Hyangsook Kim`s literary works in the 1980`s through the fresh lens of ``Realism after the death of heros.`` Kim depicts deep grief and sadness of survivors who were behind the scene of history. Kim`s works starring these characters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well-known genre of ``reminiscence literature`` in terms of the characters` perspectives on the self in the given socio-historical circumstances. They neither suffer from ``survivor`s guilt`` nor pursue the snobbish value. Among these characters ``sisters who lost their brothers`( daughters left behind) play the most crucial role in Kim`s literature. Going beyond the politically active male survivor`s narcissistic sense of guilt, these female characters try to live their lives with strong self-esteem as well as energetic attitude toward the surrounding world. By portraying tortured mind of people Hyangsook Kim suggests that it was impossible for many individuals to possess their own safe inner worlds in Korean society of the 1980`s.

      • KCI등재

        구찌 패션 필름에 나타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특성 연구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알레산드로 미켈레를 중심으로-

        손유경(Son Yoo-Kyung),김미영(Kim Mi-Young) 한복문화학회 2020 韓服文化 Vol.23 No.1

        Gucci is one of the best successful rebranding examples through the creation of fashion films delivering a designer’s philosophy and a brand identity after changing a creative dir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hrough Gucci fashion films that reflect the new creative director’s vision. The previous literature was reviewed. This study classified types of fashion films and identified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 fil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Building up a brand story in films was enabled to communicate with Millennials and Generational Z, and with the new Creative Director’s arrival, Gucci refocused on creating brand value that supports diversity. In the ear of visual communication, a fashion film is one of the critical drivers of brand image creation. The key enablers of Gucci’s success are a rapid response to consumers’ needs, a commitment to gender diversity, and an integration of young culture into product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