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보존료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저장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희섭(Hee-Seop Lee),이성진(Sun-Jin Lee),손요한(Johann Sohn),유희종(Heui-Jong Yu),조홍연(Hong-Yon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대해 천연보존료인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복합 황금추출물은 H2O2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있어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cetaminophen에 의한 급성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시료에 첨가된 복합 황금추출물은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 효능에 있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 고찰할 때 복합 황금추출물은 기능성 원료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액상제형 건강기능성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연보존제로 판단되었다. The natural preservative “complex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BHC)” contains Scutellaria baicalensis, Glycyrrhiza uralensis (liquorice), Zizyphus jujube (jujube), and Astragalus propinquus (milk vetch root). BHC has been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 for more than 10 years to increase storage duration and quality of food with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BHC has been added into functional foods as a subsidiary ingredient.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test whether or not BHC affects the activity of main functional ingredients. In this study, we tested whether or not BHC has any effect on the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 (LAFGE) when formulated in a clinical test supplement. H2O2-induced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s was not attenuated by BHC, indicating that BHC had no influence on the protective effect of LAFGE against oxidative damage. Furthermore, BHC had no effect on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LAFGE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rats, as indicated by no changes in alanine transaminase an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s. In conclusion, BHC, formulated in the clinical test supplement with LAFGE, had no effect on hepatoprotective activity, indicating BHC could be considered as a suitable natural preservative for liquefied functional food materials.

      • KCI등재

        발효우슬, 두충, 당귀 복합물의 Primary Chondrocyte 항염 효과 연구

        김다경(Dakyung Kim),이다솜(Dasom Lee),윤정문(Jeong Moon Yun),정현철(Hyun Cheol Jeong),이성진(Sung-Jin Lee),손요한(Johann Sohn),이정민(Jeo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6

        골관절염은 통증을 동반한 만성질환으로 염증성 cytokines, 금속단백분해효소, 단백질가수분해효소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 골관절염의 주요 치료 목표는 관절 운동유지 및 통증감소이며 치료 약물로는 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를 처방하고 있으나, 이러한 약물은 장기 복용 시 부작용이 따른다는 보고가 있어 장기간 복용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개발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염에 효능이 알려진 우슬, 두충, 당귀를 소재로 선정하였고 그중 우슬을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시켰으며, 이를 복합물로 사용하여 연골세포의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Primary 한 연골 세포에 발효우슬, 두충, 당귀 복합물을 처리한 후 NF-κB와 COX-2 유전자 발현, 염증성 cytokine의 활성 및 유전자 발현, MMPs 유전자 발현, 연골 형성 인자의 유전자 발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발효우슬, 두충, 당귀 복합물 처리 시 MMP 발현(MMP-3, MMP-13)을 감소시키고 aggrecan 및 collagen type Ⅱ의 발현은 증가시켜 연골 보호 효과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염증 반응에 관하여 NF-κB 활성 및 염증성 cytokines 의 발현을 억제시켜 항염증 효과에도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발효우슬, 두충, 당귀 추출 복합물이 연골세포에서 항염증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Osteoarthritis (OA) is a chronic disease characterized by degeneration and cartilage pain. Improvement of joint health using functional materials has become an area of active research due to the side effects of drugs used in treatments. Fermented Achyranthes japonica Nakai, Eucommia ulmoides Oliver, and Angelica gigas Nakai compounds (FAEAC) are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cartilage protection effects, and fermentation is known to potentiate active ingred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FAEAC on arthritis using chondrocytes. An animal model of arthritis H₂O₂ and LPS were used to cause apoptosis and inflammatory reactions in chondrocytes.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IL-6), catabolic (PGE2, NF-κB, COX-2, MMPs), and anabolic (aggrecan, collagen type Ⅱ) factors were measured by PCR, ELISA, and morphological analyses. FAEAC in chondrocytes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aggrecan and collagen type Ⅱ, and activities of NF-κB, COX-2, and MMPs as well as secretion of cytokines (TNF-α, IL-1β)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nclusion, FAEAC seemed to be active in cartilage protection by reducing factors associa.

      • KCI등재

        콩발아배아추출물이 난소적출 랫트의 기억력 손실, 체중 증가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정현철(Hyun Cheol Jeong),서우덕(Woo-Duck Seo),윤민규(Min-Kyu Yun),권민영(Min Young Kwon),이성진(Sung-Jin Lee),이승훈(Seung Hun Lee),유희종(Heui-Jong Yu),최식원(Sik-Won Choi),김선림(Sun Lim Kim),오성훈(Sung-Hoon Oh),손요한(Johann So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6

        많은 폐경기 여성들이 기억 감퇴, 체지방 증가, 골다공증 및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고지혈증과 같은 증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 적출 rat 모델을 이용하여 SGE의 갱년기 증상 개선 평가를 진행하였다. SGE를 4주간 13 ㎎/㎏, 26 ㎎/㎏ 및 51 ㎎/㎏의 농도로 처리하면 OVX에 의한 체지방, 렙틴 및 심혈관 관련 지표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는 SGE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비만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OVX 모델에서 기억력 및 인지기능이 현저히 저해되는데, 본 연구를 통해 기억 인지기능은 OVX군에 비해 모든 SGE군에서 개선되었고 SGE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SGE가 OVX로 인한 기억 인지기능 감퇴를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골다공증은 폐경기여성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며, 이 증상은 OVX rat에서도 확인된다. 뼈건강의 생화학적 지표인 ALP는 골다공증의 병리학적 지표로 간주하는데, SGE 투여군에서 OVX군에 비해 ALP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특히 대두이소플라본 섭취군보다 통계 유의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GE가 ALP의 농도를 낮추고 골다공증을 개선하여 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로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뼈의 미네랄 밀도를 측정했으며, 골다공증 진단에 사용되는 진단기준인 BMD는 OVX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SGE를 4주 동안 처리하면 OVX의 효과가 반전되고 BMD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골 강도의 평가를 위해 BV/TV를 측정하였는데, 모든 SGE 투여군에서 BV/TV가 OVX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SGE는 OVX로 인한 기억력 감퇴 및 체지방 개선에 효과적이며, 특히 골다공증에 있어서는 대두이소플라본보다 통계 유의적 개선을 보여주어, 향후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 기능성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well-known that soybeans relieve hormone deficient symptoms in postmenopausal women. In recent studies, germination of soy germ was shown to increase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aglycone isoflavones, γ-amino butyric acid, and soyasaponin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germinated soy germ extract (SGE) on memory loss, obesity, and osteoporosis in an ovariectomized (OVX) animal model. We foun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SGE improved memory function in OVX rats using a passive avoidance test. Levels of leptin and alkaline phosphatase and adipocyte siz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GE-treated group. Moreover, administration of SGE significantly prevented OVX-induced bone loss in OVX rats compared to the isoflavone-f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GE is effective for treatment of memory loss, obesity, and osteoporosis caused by ovariectomy in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