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솔,서경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32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age was 21.34 (SD=2.36).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Gratitude Questionnaire-6 (GQ-6),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ut, female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male students, whil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autonomy than female students. Gratitude disposi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lso,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close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ratitude disposition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le students, and the additional accountabilities of initiating relationships and providing support showed significance. Initiating relationships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 students, and the additional accountabilitie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asserting displeasure with other actions showed significa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ositive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ies and clinical meaning of this study were recommended.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 성향, 대인관계 유능성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감사 성향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29명(남: 137, 여: 192)의 대학생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1.34(SD=2.36)세였다. 본 연구에서 감사성향척도(GQ-6),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Ryff의 심리적 웰빙 척도(PWBS)와 같은 심리검사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한 성차가 없었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 대인관계를 더 맺고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율성이 더 있었다.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심리적 웰빙과 밀접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남자 대학생의 심리적 웰빙은 감사 성향이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관계 형성 및 개시 그리고 타인에 대한 배려가 추가적인 설명력이 있었다. 여자 대학생의 심리적 웰빙은 관계 형성 및 개시가 가장 잘 설명하였고, 감사 성향과 권리 주장이 추가적인 설명력이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남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감사 성향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긍정적 효과에 관해서는 선행연구와 몇 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고 추후연구의 방향과 임상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입원 뇌졸중 환자의 질병관련지식과 재활 동기가 일상생활활동,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손솔,김덕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1, 2023 to October 30, 2023,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86 stroke pati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stroke-related knowledge scores, the score for symptoms and recurrence was the highest, and the score for taking medication was the lowest. In rehabilitation motivation, change-oriented motivation was highest, and external motivation was lowest. Factors affect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luded disease-related knowledge related to precautions for daily life and asynchronous among rehabilitation motivation items(p<.05, p<.01).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cluded symptoms and recurrence, risk factors and control methods, disease-related knowledge related to taking medication, and task-oriented motivation and asynchronous among the rehabilitation motivation items(p<.05, p<.01), the variable affecting quality of life was task-oriented motivation among the rehabilitation motivation items(p<.05). In order to improv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and reduce depression, education on self-management as well as knowledge about stroke is necessary, and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that can support psychological aspects should also be applied. Increasing motivation to perform tasks and encouraging active participation will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모화의 매개효과

        조양선,손솔,서경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과 부모화 그리고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262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28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리검사는 Parker의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 부모화 질문지 그리고 LaGreca의 사회불안 척도였다.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방식과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방식 모두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부모양육방식은 사회불안 요인 중에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는 상관이 없었고, 타인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나 일반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은 부모화와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모화도 사회불안과 정적으로 관계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모화는 사회불안 요인 중에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는 상관이 없었다. 부모화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과 사회불안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사회성과 관련된 부모의 역할에 대한 Adler의 개인심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s, parentification,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researchers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negative parental rearing styles and social anxiety. The participants were 26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years to 28 years of age.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Parker’s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arentification Questionnaire, and LaGrea’s Social Anxiety Scale. The correlation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negative rearing styles of both par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However, parental rear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ear of others’ evaluation and fear of general social situation among factors of social anxiety. And, perceived negative parental rearing styles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fication, while parentif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fear of new social situation. It was found that parentification was partially mediating negative parental rearing styles and social anxiety.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rpret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Adler’s theory of individual psychology about roles of parents in sociability.

      • KCI등재

        노년기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및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의 역할

        서경현,김태민,손솔,김혜경 한국건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s of self-disclosure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 in stresses and mental health factors or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Participants were 399 elderly men and women who were at least 65 years of age whose average age was 73.37 (SD=5.78). For this study, stresses in senescence, self-disclosure, downward social comparison,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ere measur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ress in senesc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disclosure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 as well as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However, self-disclosure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elf-disclosure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 were not mediating between the stress in senescence and mental health factors, such a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However, they were mediating between the stress in senescence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downward social comparison was mediating not only the stress in senescence but also self-disclosure to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Meanwhile, direct effect of the stress in senescence on suicidal ideation was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 of mental health factors, such a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downward social comparison is a determinant variable which has negative roles in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Finally, the roles of downward social comparison was discussed with previous studies and Korean collectivism.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요인이나 자살 생각 간의 관계에서 자기노출과 사회비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 399명이며, 평균 연령은 73.37(SD=5.78)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스트레스와 노인의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 절망감, 우울, 및 자살생각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노년기 스트레스는 자기노출이나 하향 사회비교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절망감 및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노인의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 모두 절망감 및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과 정적으로 관계하고 있었다. 그런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는 노년기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요인인 절망감이나 우울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는 노년기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형에서는 하향 사회비교가 노년기 스트레스는 물론 자기노출까지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자살생각에 대한 절망감이나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 요인의 직접 효과보다 노년기 스트레스의 직접 효과가 더 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향 사회비교가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노인의 사회비교를 선행연구와 한국인의 집단주의 성향을 기초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