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영일 동시(童詩)에 나타난 어린이 방어기제 심리에 관한 연구

        성현주(Seong, Hyun-Ju),권순만(Kwon, Soon-Man),,고재욱(Ko, Jea-U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김영일의 아동자유동시집《다람쥐》(고려서적, 1950), 증보판 동시집《다람쥐》(人文閣,1963),《봄동산에 오르면》(서문당, 1979)의 작품 속에 나타난 고향의식을 역사전기주의방법으로 고찰하고, 방어기제의 ‘퇴행’을 중심으로 시간적 퇴행, 공간적 퇴행, 행동적 퇴행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창작자들의 동시 창작과 교사들의 아동지도에 하나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김영일은 자신의 결핍된 고향의식을 방어기제인 퇴행의 방법으로 그려냄으로써 자신의 건강한 나르시시즘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창작기법은 창작자들에게 창작 방법론을 제시하 는 계기가 되며, 아동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겐 아동들의 욕구불만 또는 결핍된 심리 이해와 건강한 나르시시즘 지도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is about children’s poem book ≪Daramji(Squirrel)≫(Goryeo Publication, 1950), revised edition ≪Daramji(Squirrel)≫(人文閣, 1963) and ≪Rise in the spring garden≫(Seomundang, 1979). This study premises the historical biographic method to consider hometown consciousness in the writing and analyze regress as a defense mechanism by temporal, spatial and behavioral regre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 use of index about writing children's poem for creators and instructor's guide to children. [Research of regressive hometown consciousness of Kim Young Il] discussed in this paper tells us that it is helpful to create author’s healthy narcissism by expressing author’s deficiency of hometown consciousness as a regressive way which is a defensive mechanism. Like this creative techniques is helpful not only the opportunity to present creative methodology for creators but also children's frustration, deficiency psychology and a healthy narcissism for instructor's guide to children.

      • 경상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성현주(Seong Hyeonju) 국립광주박물관 2018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1

        경상지역은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전국 139개의 자기소(磁器所) 가운데 단 4군데뿐인 상품자기소(上品磁器所) 중 3개소가 있었고, 분청사기 표기지명 대부분이 경상지역의 것으로 나타나는 등 분청사기 연구에 있어 매우 높은 가치와 비중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또 일반적으로 조선 전기 공납자기 생산 가마터 연구에 가장 널리 활용되는 『세종실록지리지』(1454) 외에 『경상도지리지』(1425), 『경상도속찬지리지』(1469) 등 전후 시기의 지지자료가 남아있어 타 지역에 비해 15세기 자기공납의 흐름 파악이 용이한 곳이 바로 경상지역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선 전기 대일 개항장으로서의 삼포가 모두 경상도지역에 있었고, 삼포왜관과 서울 동평관을 오가던 倭使의 상경로도 경상도 전역에 걸쳐 있었으며, 일본 무역품 창고 및 중개무역 장소에 해당되는 왜물고도 경상도 화원현에 있는 등 다양한 루트로 왜인들과의 접촉이 매우 잦았던 곳이 바로 경상도지역이었으므로, 다완을 비롯한 물자교류 또한 매우 활발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경상지역 분청사기 가마터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는데, 이에 앞서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발굴조사는 물론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적들도 모두 망라한 경상도지역 전체의 분청사기 가마터 목록을 작성하고, 지명고찰을 통해 각 가마터가 조선 전기 소속된 군현을 명확히 밝혀내었다. 발굴조사가 실시된 12개 지역 19개 가마터를 비롯한 지역별 주요 가마터에 대한 내용을 차례로 살펴본 다음, 조선 초의 각종 지지자료 및 채집품의 제작시기, 명문, 읍치를 중심으로 한 방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각 시기별 공납자기 생산지 추정을 시도해 보았다. 또 경상도지역의 분청사기 가마터의 성격을 공납자기 생산 가마터, 대일교역자기 생산 가마터, 민수용자기 생산 가마터라는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 살펴보고, 주요 가마터의 운영시기를 도표로 만들어 비교하였다. Gyeongsang-do Province was home to three of the four kilns producing the finest ceramics among the 139 kilns nationwide manufacturing porcelain and buncheong ware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jiriji(世宗實錄地理志,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Moreover, most surviving buncheong ware bears an inscription indicating that it was created in the Gyeongsang-do region. Clearly, this area is a key location for studying such ware. The fifteenth-century ceramics tribute system in Gyeongsang-do is more easily traceable compared to that in other provinces due to the multiple available sources, including Sejong sillok jiriji(1454) which is widely used to study kiln sites producing ceramics as tribute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Gyeongsang-do jiriji(慶尙道地理志, Geography of Gyeongsang-do Province)(1425), and Gyeongsang-do sokchan jiriji(慶尙道續撰地理志, Revised Geography of Gyeongsang-do Province)(1469). Furthermore, frequent contacts with Japanese people took place via various routes throughout Gyeongsang-do Province. All three ports open to Japan in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situated in the province. Japanese envoys used routes that passed through the entire length of the region when they traveled from the Japanese quarters at the three ports to Dongpyeonggwan (Hall of Eastern Peace), the accommodations for Japanese envoys, in Seoul. Furthermore, the warehouse where Japanese trade goods were stored and bartered was located in Hwawon-hyeon in Gyeongsang-do. Accordingly, products, including tea bowls, are presumed to have been actively exchanged. This paper lists the kiln sites producing buncheong ware in Gyeongsang-do Province by examining relics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surveys and ground surveys conducted sinc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county and prefecture in which each kiln was situated is identified by studying place names. By doing so, this paper attempts to characterize buncheong kiln sites in Gyeongsang-do. In this paper, I speculate about the areas producing ceramics as tribute in respective periods by investigating major kiln sites, including nineteen sites in twelve regions where excavation surveys have been conducted. Diverse documentation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production dates and inscriptions of found relics, and the directions in which the kilns were located relative to the centers of counties are also examined for this purpose. Moreover, this paper scrutinizes buncheong kilns in Gyeongsang-do Province by classifying them into those producing goods for tribute, those producing goods for trade with Japan, and those producing goods for private use, as well as by diagrammatizing and comparing the operating periods of major kilns.

      • KCI등재

        분리불안 5세 어린이의 어머니 상담사례 연구

        권순만(Kwon, Soon-Man),성현주(Seong, Hyun-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모-녀관계에서 분리불안으로 모와 떨어지지 않으려는 문제로 상담을 하게 된 5세 어린이의 사례이다. 분리불안장애가 있는 아동과 모간의 건강한 애착형성 및 관계 개선을 위하여 상담과 놀이를 통하여 연구자가 불안을 유발하는 가족 내에서 아동에게 불안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 가족 내의 역동성, 모-녀간의 관계양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사례연구이다. 아동이 태어나서 모와 신뢰로 애착관계를 맺지 못하여 불안이 높아지고 분리되는 것이 어려우며 더 나가서 신체적 증상 및 유치원 등교 거부가 나타났다. 이에 연구자는 아동에게 신뢰로운 인간관계를 경험하게 하는 놀이치료를 실시하였 고 모-녀간의 건강한 애착형성 및 관계 개선이 되도록 모와 상담을 병행하였다. 상담결과 모는 위로와 정서적 지지를 통하여 모는 통찰이 생기고 모와 아동의 관계가 나아진 것을 통하여 아이와 교류하는 방법을 알아갔다. 아동은 놀이치료를 통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방법을 알았으며, 유치원에서도 적응이 되면서 친구도 생겼으며, 아이들과 활발하게 어울려 놀고 자신감도 생겼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분리불안 장애 아동을 이해하고 이러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을 위한 가족개입을 통한 상담사례관리는 아동복지실천의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about a case of a five-year-old child with separation anxiety disorder having an issue of separation from her mother i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is is a case study to identify the family dynamics and aspect of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e researcher aimed to figure out the elements that caused anxiety of the child within the family through counselling and play therapy so that the child can build a healthy attachment and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her mother. The child became more anxious and had difficulties in separation due to the failure of bonding with her mother, and furthermore, had physical symptoms and denied to go to the kindergarten.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play therapy where the child can experience reliable human relations and provided counselling services to the mother for forming a healthy attachment and improving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Counselling sessions, the mother gained insights from comforts and emotional supports and learned how to communicate with the child by improving the relationship with her daughter. The child learned how to express her feelings through play therapy. She made friends, actively played with them and gained confidence as she adapted to the kindergarten.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understanding children with separation anxiety disorder and counselling case management through fami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such a disorder can become a useful tool for the practice of child welfare.

      • KCI등재

        구기지황탕 투여 후 호전된 경도인지장애 환자 1례에 대한 증례보고

        박미소,강석만,유대원,채인철,김경순,성현주,정광렬,유호룡,Park, Mi-so,Kang, Seock-man,Yoo, Dai-won,Chae, In-cheol,Kim, Gyeong-soon,Seong, Hyun-joo,Chung, Kwang-yeol,Yoo, Ho-ryo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21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42 No.5

        Objective: Alzheimer's disease i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irreversible brain damage and cognitive decline. Although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prodromal symptoms of dementia are important, no treatment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has been currently established.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an 80-year-old female patient with memory complaints treated with Gugijihwang-tang,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erbal formula, as an add-on medication. Case Presentation: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clinical examinations us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Scale, Global Deterioration (GDR) Scale, an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Scale. She was treated with Gugijihwang-tang bis in die for 12 months while continuing her original medications, including 5-mg donepezil and 590-mg acetyl-l-carnitine. The MMSE score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CERAD Assessment Packet increased from 21 to 27 during the 12-month treatment period, and the CERAD 2 score increased from 33 to 62. The instrumental ADL scale score improved from 11 to 5. Other clinical examination results also showed improvement. The patient was satisfied and experienced no significant adverse events related to the Gugijihwang-tang treatment. Conclusion: This case suggests that Gugijihwang-tang could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method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스마트폰 이용이 일상생활 도움과 과다몰입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개입방안에 관한 연구

        권순만(Kwon, Soon-Man),김종상(Kim, Jong-Sang),성현주(Seong, Hyun-Ju)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6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이용이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 과다몰입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개입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K대학교 대학생 554명이었고, 자료는 질문지법으로 수집하여 SPSS ver 18.0을 이용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이 스마트폰을 오락휴식으로 이용할 경우 대인관계, 생활의 편리, 정보습득, 개인정보유출, 습관적, 불안초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 위축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스마트폰을 태도행동결정으로 이용할 경우 편리성, 건강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생이 스마트폰을 이해인지와 태도행동결정으로 이용할 경우 소외감,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오락휴식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할 경우 소비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생이 스마트폰을 통하여 일상생활에 도움이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과다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몰입된 대학생뿐만 아니라 범국민을 위한 집단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스마트폰 이용 관련 매뉴얼을 제작 및 배포하여 몰입 관련 요인에 따른 사례별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있도록 하며, 스마트폰 이용 관련 교육을 실시하여 잠재적 위험에 있는 몰입한 대상으로 예방적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질적 증대를 도모하고 무분별한 이용으로 야기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거버넌스 개입 방안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s of the use of smartphones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ir daily life and reviewed governance intervention to reduce their immersion in smartphones. The study targeted 554 students of K University in G city, collected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and conducted the statistical data processing using SPSS ver 18.0. As a result, first, the use of smartphones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recreation had impa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venience in life, information acquisition,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habitual anxiety but the awareness of social withdrawal was low. Second, the use of smartphones for the purpose of attitude-behavior decision had direct impacts on convenience and deterioration in health. Third, while the use of smartphon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recognition and attitude-behavior decision had impacts on a sense of alienation and consumption, the awareness of consumption was low when using smartphone for the purpose of recreation. The research finding should be used to conduct the collective psychological treatment programs for the public as well as university students who are excessively immersed in smartphones by reviewing the factors that can help the students’ daily life through smartphones; provide the customized case management services depending on the immersion factors by creating and distributing the manual on using smartphones; and come up with the preventive services for the immersed people who are in a potential danger by providing education on the use of smartphones. This study is considered significant as a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smartphone use that highly affects the daily life of university students and establish the measures for governance intervention to prevent various social issues that may be caused by reckless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