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감과 반감의 심리적 이중성에 대한 고찰 - 「만횡청류」에 드러난 여성 화자를 중심으로

        성은혜 ( Seong Eunhy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1 No.-

        『진본 청구영언』의 「만횡청류」에는 남녀관계와 삶에 대한 진솔한 인간의 감정과 표현이 잘 드러나 있다. 그 중에서도 본고에서는 여성이 화자로 등장하면서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4작품을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녀 관계 속에서 등장하는 여성의 신분이 대개 기생인 경우와 달리, 여성화자-대상의 관계 속에서는 가족 관계가 중심이 된 작품이 3작품이었다. 이는 특이할 만한 것으로 가족 관계가 바탕이 된다는 것은 당시 가정의 모습과 여성들의 관계성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러한 심리를 공감과 반감의 심리로 나누어서 4작품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공감의 심리에서는 고부 사이에서 프로이트가 이야기한 `자기애적 동일시에 의한 공감`, 기생들 사이에서 `목표 지향적 동일시에 의한 공감`이 잘 드러났다. 반면, 반감의 심리에서는 한 남자를 대상으로 한 `처첩 사이에서의 반감`, `고부 사이에서의 반감`이 드러나고 있었다. 이러한 심리를 통해 당시 여성들의 생활과 심리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남성에 의해 지배당하거나 종속적인 관계에서만이 아니라 여성 대 여성으로서의 관계 형성과 또 여기에서 비롯된 감정과 심리를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nthropological meaning of `Manhoeng-Cheong-Ryu`(four works) on women as a speaker and subject by method of psychological criticism. Women who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works are usually parasitic one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s woman and the subject, three works focused on the family relations mainly. Especially,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divided these characters into psychological dimensions-sympathy and antipathy-and analyzed four works in this way. The result was as the following: Firstly, in the psychological dimension on the empathy, which Freud defined as emotional connection. Secondly, in the other psychological dimension, antipathy, which is revealed by jealousy.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작가론의 활용방안 연구

        성은혜 ( Seong Eunhy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8 No.-

        본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작가론이 지식과 정보로 머물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작품 이해의 한 관점으로서의 작가론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문학교육과정에서는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불가분의 관계로 인식하여 관련성 속에서 작품을 이해하도록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방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문학교과서의 작가론은 크게 작가 정보와 학습활동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작가소개’는 거의 대부분의 교과서가 천편일률적으로 작가의 기본적인 인적 사항과 작품 경향, 대표작들을 나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본시 학습에서 다루는 작품과의 관련성이나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라기보다는 피상적이고 형식적으로 제시되고 있어 교육적으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학습활동 역시 주로 시대적 배경과 관련된 작가의 상황을 제시하여 작품을 한정적으로 이해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작가를 시대성, 대표성의 관점에서 생각하기보다는 한 인간으로서, 작품을 창작해 내고 작품 속의 인물의 삶과 문제를 풀어나가는 생산자적 존재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 또한 ‘작가소개’와 ‘학습활동’ 역시 본시 학습 대상인 작품과 관련하여 어떤 고민과 문제적 상황, 심리가 작품의 창작 및 작품 속 인물의 삶의 구현과 관련이 되었는지에 대한 탐구를 통해서 작가론을 인간의 문제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ays to apply the theory on authors in literature education. This is by bringing up the instructional problem in the literature education, where the theory on authors is treated only as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learning content, especially on authors or their works. In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present the relation between authors and their works perceived as inseparable in the classroom but this instructional condition is not embodied in the textbook, which is operated as a data source, for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The theory on author in the textbook is used through information providing and learning activity which is equivalent to learning content, but information on authors is enumerat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items, the tendency of their works, representative works, etc.. oreover, in teaching theory on authors, teachers must approach it as a problem of human being and learning participants may explore the source of authors’ trouble, problem of the time, psychological mechanism by authors.

      • KCI등재

        타자(他者)에 대한 사랑과 자아(自我)의 발견 - 한용운의 「알 수 없어요」에 대한 고찰

        성은혜 ( Eunhye S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8 No.-

        본고는 한용운의「알 수 없어요」를 작품 내적 요소와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알 수 없어요」는 문장의 종결형, 감각적 표현으로 나타난 ‘누구’, 변형된 문장 구조에서 드러난 ‘누구’와 ‘나’의 관계 등을 통해 사랑하는 대상에 대한 탐구의 의지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1-5행에서 반복되는 의문형과 6행에서 변형되어 나타나는 평서형의 문장 종결, 문장 구조, 수식어, 감각어로 느끼는 구체적 대상에 대한 갈망 등은 이러한 화자의 마음가짐과 태도를 표출한다. 또한 이 시는 모든 자연물과 자연 현상에서 사랑하는 대상(‘누구’=‘님’)에 대한 ‘나’의 집중과 몰입을 보여준다. 이는 스탕달이 언급한 사랑의 결정 작용과도 일맥상통하는 심리이며, 사랑에 대한 소유 욕망과 연결된다. 시의 1-5행은 여러 자연현상을 통해 타자의 긍정적이고 초월적인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 6행에서 화자인 ‘나’는 사랑하는 ‘타자’를 통해 자신을 발견하고 ‘약한 등불’을 통해 ‘밤’이라는 부재의 상황, 미지의 상태에서 탐구의 의지를 드러낸다.「알 수 없어요」는 사랑과 탐구라는 가치를 보여주며, ‘누구’와 ‘나’에 대해 끊임없이 발견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작품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 I can``t know`` of Han Yong-Un with the way of the internal constituent and Psychological criticism and reveal this detail and meaning. This poem appears for the sentence final ending and sensuous description. It is exposed in the other and transformed syntax about ``somebody``(님) and ``I``. The will of the exploratory about the loved object is strongly shown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etc. Moreover, the concentration of the speaker about somebody love in all natural objects and natural phenomenon and immersion are shown. This is the same as the crystallization of the love. And it is connected to the possession desire for the love. 1-5 line emphasizes the attitude of which is positive and transcendental the others through the natural phenomenon. In 6 line, the speaker discovers me through the other and Expose the will of the exploratory through the weak lamp. `` I can``t know`` shows the value called the love and exploratory. And it is the poem which it puts the will which comes out and which it is trying to discover constantly about the ``somebody`` and ``I``.

      • KCI등재

        ADS-33 평가기준에 따른 소방헬기 비행시뮬레이터의 비행조종성 예비평가

        윤석준(Sugjoon Yoon),김동현(Donghyun Kim),성은혜(Eunhye Seong),박태준(Taejun Park),황호연(Hoyon Hwang),안존(Jon Ahn),이정훈(Junghoon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4 No.9

        본 연구는 헬리콥터 비행 시뮬레이터 개발의 첫 번째 단계의 일환으로 비행 운동 모델의 비행조종성을 해석적으로 평가한다. 비행 운동 모델은 시뮬레이터의 목표 항공기인 AS365 N2의 공개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해당 비행 시뮬레이터는 소방 임무에 대한 조종사 교육 및 연구 도구로 개발 중이다. 모델의 평가는 비행 시험 데이터를 통한 검증이 이루어지기 전에 모델의 비행 특성과 다음 개발 단계로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평가는 항공기분류, 임무 및 환경을 고려하여 ADS-33E-PRF(Aeroautical Design Standard Performance Specification Handling Qualities Requirement)의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한다. 항공기의 해석적 비행은 규정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위해 요구되는 혹은 권장되는 비행시험절차를 따른다. 평가 결과는 ADS-33E-PRF에 명시된 조종성 등급에 따라 평가되는데 RotorLibFDM을 기반으로 생성된 비행 운동 모델이 헬기 비행에 대한 기본 교육과 연구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헬리콥터 시뮬레이터에 대한 만족스러운 플랫폼을 제공함이 확인되었다. As a part of the first stage in the helicopter flight simulator development, this study numerically evaluates handling qualities of the dynamics model. The flight dynamics model was generated using public information for AS365 N2, the target aircraft of the simulator. The flight simulator is under development as a pilot training and research tool for firefighting missions. The assessment of the model intends to valid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before the model is enhanced with flight test data. The evaluation is based on the ADS-33E-PRF(Aeroautical Design Standard Performance Specification Handling Qualities Requirement) criteria, with consideration of category of the aircraft, missions, and environment. The numerical operations follow required or recommended procedures of flight test for compliance demonstration. Evaluation results a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rating specified in maneuverability ADS-33E-PRF. Results have identified to provide a satisfactory platform for flight dynamic model in the general helicopter simulator generated based on the RotorLibFDM, and can be used as a base for basic training an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