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 사례연구: 사회계열 교과목과 공학계열 교과목을 중심으로

        성미영(Miyoung Sung),박용한(Yonghan Park),정세윤(Se-Youn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사회계열 교과목과 공학계열 교과목을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COVID-19라는 사상 초유의 상황으로 인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면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되면서 기존의 플립러닝 수업이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진행된 사례를 사회계열 교과목과 공학계열 교과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본 결과, 전면 비대면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온라인 수업으로만 진행하더라도 기존 플립러닝 수업과 유사한 효과성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집중이수제 등 대학의 학사제도 유연화와 연계하거나 융복합 교과목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운영한다면 플립러닝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the untact online classes, focusing on thr social and engineering subjects of universities. Due to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COVID-19, the professors and learners were unable to conduct the face-to-faceclasses, and the existing flipped learning classes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the social and engineering subjects.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post-corona-era university classes in that i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f it is linked to the flexibility of the universitys academic system such as intensive course.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인식과 자기효능감,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미영(Sung Miyoung),서주현(Suh Joohyun),민미희(Min Mi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서울시의 아동을 가구원으로 포함한 아동가구의 남성가구주를 대상으로 하여 자녀 및 가족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그들의 삶의 만족도 및 일-가정 양립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일-가정 양립 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바람직한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 정립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복지실태조사 2013 자료를 이용하여 이 중 아동가구의 남성가구주 85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SPSS ver.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우 울감과 삶의 만족도는 권역별로 차이가 있어서 권역별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둘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 삶의 만족도 모두 연령대별로 유 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 인식 및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 도와 정적 관계를 보였고,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우울감을 낮출 수 있는 세부방안의 수립 및 실행이 필요하다. 넷째, 서울 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 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 중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 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이고, 다음으로 우울감, 일-가정 양립 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 인 식의 영향력은 세 변인 중 가작 작았으나 일-가정 양립 인식의 제고를 통한 가족 내의 자녀 및 부부간 바람직한 관계의 정립과 역할갈등의 감소, 그리고 역할만족도의 향상을 통한 자기효능감의 향상이라는 간접적 영향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To promote better family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focused attention to father’s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and examined the causal effect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self- efficacy,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The subjects were 851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life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Seoul are fairly high and the level of depression is fairly low. But, the results are different by district suggesting need for differentiated policy. Second, the level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are different by age group. Seco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s a negative effects on it. Third, the most effective factor explain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were also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Suggestions for the policy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and better family relationship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식이 자전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

        성미영(Sung, Miyoung) 한국생활과학회 201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 knowledge, negative emotionality, and autobiographical memory in a sample of 131 three- to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otion knowledge exerted negative effects on their negative emotionality. Second,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Finally, the effect of childrens emotion knowledge o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negative emotionality, These findings provide a preliminary evidence that childrens emotion knowledge and negative emotionality may predict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 KCI등재

        중·고등학교 학교급 전환기 ‘가족 및 가정생활’ 내용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 차이 분석

        성미영(Miyoung Sung),권유진(Yoojin Kwon),류계라(Gyera Ry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교과 내용 흥미도는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 학생보다는 교사 측면에서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 전환기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생활 연계 차원에서 매우 의미있는 가정과 내용을 중심으로 중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고등학교에서 배운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를 알아보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가정과 내용 17문항, 고등학교 가정과 내용 10문항으로 구성된 흥미도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성별 및 성취 수준별로 흥미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고 전환기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경우 청소년 발달 등 자신에 관한 관심은 가족의 요구나 가정생활에 관한 관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취 수준에 따라 내용 흥미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발달과 학교급 전환기라는 학습자의 상황, 대학 입시 등 다양한 변인들을 함께 고려하여 내용 흥미도를 해석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육과정 개정, 교과서 개발 및 교과 수업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공하며, 학습자 중심 관점을 토대로 교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 정도를 세심하게 분석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Curriculum content interest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teachers rather than students in ways that help revise curriculum and develop textbooks. In this study, 227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ested in what they learned in middle school and what they learned in high school, focusing on meaningful assumptions and content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 analyze this difference in interest by gender and achievement leve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ransition period, have relatively high interest in themselves, such as youth development, compared to family needs or interest in family life.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tent interest depending on the level of achievement. This means that the content interest should be interpreted by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learners, the situation of learners in the school-level transition period, and the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s,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considerations, and will need to be carefully analyzed and utilized based on a learner-centered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