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들깨기름을 투여한 흰쥐의 혈액 지질량과 그외 혈액성분 변화 고찰

        서화중(Hwa-Jung S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4

        흰쥐를 4군으로 나누어 사료 중의 지방성분으로 들깨기름(PO군), 옥수수기름(CO군), 우지(BO군), 그리고 우지와 들깨기름 동량 혼합유지(BP군)를 각각 9.4%씩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한 후 체중 증가율과 사료 섭취량을 측정한 결과 들깨기름이 체중 증가율과 사료 섭취량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측정된 PO군의 혈액 중 중성지방량, 총 cholesterol 농도가 BO군 혹은 BP군보다 낮았다. PO군의 LDL-cholesterol은 실험군 중에서 가장 낮았다. PO군은 혈액 중 중성지방량, 총 cholesterol, HDL-cholesterol 농도에서 CO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BP군의 중성지방량, 총 cholesterol, LDL-cholesterol 농도는 BO군보다 각각 9.2%, 10.3%, 18.6% 낮았다. PO군의 GOT, ALP 활성값과 uric acid 농도는 다른 모든 실험군의 값들보다 높았고 정상 흰쥐의 기준치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들깨기름은 옥수수기름과 비슷한 수준의 혈액 중 지질량 감소 효과를 보였지만 4주간 계속 매일 들깨기름 12.5 g/b.w.kg을 섭취한 PO군의 흰쥐에서는 들깨기름 섭취로 인하여 간장 등의 장기에 가벼운 부담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To compare the hypolipidemic effects of perilla oil with different kinds of dietary fat and oil, forty eight, 20 days old, male Wistar rats were fed one of the following diets for 4 weeks: basal diet for control containing 9.4 w/w% corn oil (CO), 9.4 w/w% beef tallow (BO), 9.4 w/w% perilla oil (PO), and 4.7 w/w% beef tallow plus 4.7% perilla oil (BP). The amount of diet consumed and body weight gain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dietary groups. The levels of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PO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BO and BP groups. PO group also had significantly lower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than other groups. The levels of plasma triglyceride, tota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 BP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BO group, by 9.2%, 10.3%, and 18.6%, respectively. Plasma glutamic oxaloacetic transferase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and uric acid levels in PO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and were somewhat beyond the normal levels. These findings showed that perilla oil with hypolipidemic effects could have some adverse effects on hepatic and other organic functions in rats.

      • SCOPUSKCI등재

        남해안에서 서식하는 수산물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서화중(Hwa-Jung Sheo),홍성운(Sung-Wun Hong),최종환(Jong-Hwan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1

        광양만 여수만 순천만 보성만 거문도에서 어획한 수산물과 수질 및 sediment의 중금속 함유 실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지역별로는 광양만의 수산물에서 Cu를 최고 1.208ppm 그리고 sediment에서 Cu와 Pb를 각각 최고 2.13, 4.34ppm을 검출 하였다. 여수만의 수산물과 sediment에서 Hg을 각각 최고 0.102, 0.032ppm을 검출 하였다. 순천만의 수산물과 해수에서 Pb를 각각 최고 0.039ppm, 0.013㎍/L 검출하였다. 보성만의 수산물과 해수 및 sediment에서 Cd를 각각 최고 0.277ppm, 0.09㎍/L, 0.08ppm 검출 하였다. 거문도는 측정된 중금속 함량 수준이 제일 낮아 거의 청정해역이었다. 수산물 종류 별로는 민꽃게에서 Hg, Cu, Zn, Mn을 각각 최고 0.092, 1.905, 6.64, 46.34ppm을 검출하고 소라에서 Pb, Cd를 각각 최고 0.045, 0.38ppm을 검출하였다. 기타 꽃새우, 바지락, 청각, 톳은 중금속 함량수준이 낮았다. 조사한 5개지역의 수산물, 해수 및 sediment의 중금속 함량은 국내외의 중금속 허용 기준치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오염에 대한 우려는 없었다. In this survey the results showing the highest values among the analyzed data of all specimens are summarized as follow. At Kwangyang bay Cu in the fishery was detected up to 1.208ppm and the level of Cu and Pb in sediment of this area were 2.13 and 4.34ppm,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Hg in fishery and sediment of Yeosu bay were 0.102 and 0.032ppm. The levels of Pb in fishery and seawater of Sunchon bay were 0.039ppm and O.013㎍/L, respectively. At Posung bay the contents of Cd were 0.277ppm, 0.09㎍/L and 0.08ppm in the specimens of fishery, seawater and sediment, respectively. The analyzed data of all specimens at Keamundo were very low level or undetectable. Of the 6 fishery samples, Charybdis japonica showed the upper level of Hg, Cu, Zn, Mn as 0.092, 1.905, 6.64, and 46.34ppm,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Pb and Cd in Batillus cornatus were 0.045 and 0.38ppm respectively and other fishery had low level of heavy metal.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analyzed in all specimens showed nearly natural occurrence level which is under the legal limi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신축 인공호의 수질본태와 오화진행에 관한 위생화학적 연구 - 영산강 상류 , 광주호 , 나주호 , 장성호를 중심으로 -

        서화중 ( Hwa Jung Sheo ) 한국하천호수학회 1978 생태와 환경 Vol.11 No.3·4

        This study is about the initial survey of water quality, pollu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of surface drain type of the artificial lakes constructed recently only for short term irrigation. These lakes are Gwangju Lake, Damyang Lake, Naju Lake, and Jangseong Lake. According by this survey, the water of these lakes have similar to quality of natural lakes and also have thermocline zone. The surface layer water of these lakes have a little different to ingredients and physico-chemical condition compare to the bottom drain type lakes. The ingredients of these water of bottom layer is comparatively low value of DO and pH in October and heve a little precipitant. The precipitants may be originated from lake catchment or in stagnant state. In August and during summer, the water of the surface layer was fully saturated with DO, and pH value was increased, and are very poor ingredients. Perhaps these phenomena are caused by photosynthesis of a very small quantity of phytoplankton. The water of the four lakes are clean in present condition like the natural state and not yet affected by pollutants. Therefore these are suitable for the source of drinking water, but they may heve increased pollution level faster than the bottom drain type lakes because these four lakes are surfacc drain type and the term of drainage is short.

      • SCOPUSKCI등재

        불포화도가 다른 식물성 유지를 섭취시킨 흰쥐에서 정상적 간 및 지질대사변화의 고찰

        서화중(Hwa-Joong Sheo),김선희(Sun-Hee Kim),정두례(Du-Le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0 No.5

        Rat에 들깨유, 옥수수유, 올리브유를 28일간 매일 투여하여 rat성장율과 간대사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체중 증가율은 2주째까지는 대조군 11.72~23.07%에 비교한 실험군 모두 7.86~20.89%로 약간 둔화되나 대체로 정상으로 볼 수 있고 3, 4주째 들깨유 투여군(A군)이 7.57~8.63%로 대조군의 17.53~13.81%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고 기타 B, C군은 대조군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혈액의 생화학적 검사결과에서 GOT, GPT값은 전 4주간 대조군의 평균 158.8와 178.18u와 비교한 B, C군은 각각 148.1~72.5u와 153.71~83.58u로 별 영향을 없으나 들깨군(A군)은 GOT, GPT가 174.87과 93.46u로 대조군 보다 약간 증가된 값이다. Alk-P는 대조군의 58.5u에 비교한 전 실험군의 평균 58.62~61.95u는 별차이가 없다. Cholesterol과 triglyceride값은 시료의 불포화도 증대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이고 대조군의 cholesterol과 triglyceride값 60.33㎎/dl~50㎎/dl와 비교한 A, B, C군이 각각 54.6~36, 61.89~44, 63.71~51㎎/dl을 보여 큰 폭의 차이는 없었다. 간조직 검사 결과 A, B, C군 모두 4주째 1필에서 kupffer cell의 증식내지 활동도 증가를 보이고 특히 들깨유군의 경우는 담관의 팽대, 옥수수군은 vesicular nuclei의 관찰, 올리브유군은 mild fatty metamorphosis가 관찰되었으나 나머지는 대부분 정상이었다.<br/> 이상의 결과에서 들깨유, 옥수수유, 올리브유를 1개월간 rat ㎏당 1.57㎖을 매일 투여하니 유지의 불포화도의 증가에 따라 혈중 중성지방과 cholesterol 농도의 근소한 감소를 보였지만 들깨유의 4주간 투여군은 간기능에 다소 부담을 주는 것으로 보이나 대부분 실험군은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들깨유의 장기간 복용은 간기능에 다소 유해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nsaturated plant oil on the normal liver and lipid metabalism rats were fed the daily dose of 1.57㎖/㎏ body weight of perilla oil (Iodine value 190~207), corn oil (Iodine value 115~130) and olive oil (Iodine value 80~85) respectively for 28 da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or the 14 days all the test groups showed normal weight gain with 7.86~20.89% increase rate. In the period of the 3rd and the 4th week the increase rate of the perilla oil group was decreased significantly under 17.53~13.8% of control level, but the remainders(corn oil, olive oil) keep normal. The feeding of corn and olive oil for 28 days did not show any harmful effect on normal GOT, GPT activity, ALK-P, serum cholesterol and serum triglyceride value of rat. The perilla oil feeding for 21~28 days slightly increased the GOT, GPT activity as 174.87, 93.46u but decreased th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value as 54.6~0.36㎎/dl compared to control. In the pathological finding of test group liver some rats in 28days feeding group showed reactive change of kupffer cells, and were noted dilated bile duct in a rat of perilla group, and were seen vesicula nuclei in corn oil group and mild fatty metamorphosis in olive oil group. But most subjects did not show any characterized sign of acute or subacute liver damage.

      • SCOPUSKCI등재

        한국산 재래식 발효메주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서화중(Hwa-Jong Sheo),정두례(Doo-Le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0 No.1

        재래식 발효 메주의 수성 현탁질 Ex시료에 대한 실험 동물을 사용한 안전성 검사 결과, mouse의 경구 투여 급성독은 시료 10g/㎏체중까지는 48시간 내에 LD_(50)을 나타내지 않았다. Rat 3개군에 경구적으로 시료를 각각 0.308g/㎏, 3.08g/㎏, 9.24g/㎏를 투여한 4주간 평균 체중 증가율은 대조군의 19.08%에 비해 3.08g/㎏군이 다소 높은 21.95%이나 기타 군은 19.7~19.1%로 대조군과 비슷하여 거의 영향이 없었다. 실험 rat에 의한 시료 섭취 상태, 해부 소견에서도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br/> 실험 rat의 혈청의 생화학적 검사에서 전 실험기간 0.308g/㎏, 3.08g/㎏군은 GPT, GOT, alkaline phosphatase, BUN에서 거의 모두 대조군과 비슷하고 9.24g/㎏군은 모든 항목에서 대조군보다 약간 증가했다. 특히 4주째 대조군의 GPT 29u, GPT 104u, cholesterol 82.5㎎/dl, alkaline phosphatase 25.7u, BUN 4.5㎎/dl에 비하여 9.24g/㎏군은 각각 47.3u, 122u, 100㎎/dl 37.5u, 32㎎/dl값을 보이고 이중 cholesterol, alkaline phosphatase, BUN은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는 시료 중 mycotoxin류에 의한 중독보다는 시료의 과다한 투여에 의한 섭취 calory 증가에 의한 체내 cholesterol 합성증가와 단백질 질소의 과부하에 의한 신장배설 기능에 부담을 준 것으로 사료 된다. 장기조직 검사결과 9.24g/㎏군에서 4주째 채취한 1필의 간장에서 초기 지방간 증세가 관찰되었고 동군의 1필 소장점막이 가볍게 염증상을 보였으나 대부분 간장 소장 표본 조직 검사에서 거의 중독성 병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재래식 메주에는 실험 동물에 급성내지 아급성 중독을 일으키는 어떤 종류의 toxicant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For this experiment first the fermented Soybean Meju was prepared by domestic ordinary method of Korean, and concentrated Meju suspensoidal extract was made for toxicological test sample on mice and rat. Even the oral dose of 10q extract per ㎏ of mice had not any acute toxicity. So the median lethal dose(LD_(50)) is lilely to be much greater or not to be. In comparison of the average weight gain rate for 4 weeks the control and test groups of 0.308g Ex/rat ㎏ and 9.24g Ex/rat ㎏ daily were the much the same as about 19%, but 3.08g Ex/rat ㎏ group was exceptionally 2.7% higer than control. For this period all test groups did not show any abnormality in appearance and anatomic findings. In serum GPT, GOT, alkaline phosphatase, and blood urea nitrogen value there were no difference significantly between control and the test groups of 0.308g /rat ㎏ and 3.08g /rat ㎏, but 9.24 g /rat ㎏ group was some what higher than control. Especially in cholesterol, alkaline phosphatase, and blood urea nitrogen value, 9.24g /rat ㎏ group for 28days had 100㎎/dl, 37.5u, 32㎎/dl respectively which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pathological findings of all test groups, especially 9.24g /㎏ group, did not showed any characterized sign of acute or subacute liver damage or intestine lesion. So it is supposed that there is not any tocixants originated from some molds in fermented Korean domestic Meju which is prepared traditionally in winter.

      • SCOPUSKCI등재

        마늘, 양파, 생강, 고추즙의 항균작용

        서화중(Hwa-Jung S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1

        본 실험결과 마늘이 다른 시료에 비해 가장 큰 항균력을 보였고 그 중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시료 1% 이상 농도에서 거의 100% 항균효과를 보였고 다른 균에 대하여는 2.5% 농도에서 각 71.9~88.0%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양파의 항균력은 동속식물 마늘(Alliium sp.)에서 처럼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서는 비교적 약해 시료 2.5% 농도에서 불과 28.5% 항균력을 나타냈으나 Staphylococcus aureus와 Vibrio parahaemolyticus는 같은 농도에서 50% 이상 발육이 저지되었다. 생강의 항균력은 전반적으로 양파와 비슷한 수준이고 Staphylococcus aureus와 Enterobacter cloacae에 대해서는 비교적 약하나 Salmonella enteritidis와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50% 이상의 생육 저해 효과를 보였다. 고추의 항균효과는 전반적으로 매우 낮고 마늘, 양파의 경우와는 달리 다른 균에 비해 Salmonella enteritidis균에 대해서만 약간 높고 Vibrio parahaemolyticus나 Enterobacter cloacae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juice of gar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nterobacter cloacae which are food-born disease organisms. It was found that 1~2.5%(wt/vol.) garlic juice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on against growth of all test bacteria at 1/20×10^(-6) dilution. Especially 1% garlic juice completly inactivated Vibrio parahaemolyticus but approximately 71.9~88% of reduction at same concentration in other bacteria was occurred. 2.5% onion juice had 28.5% antimicrobial activity on Sal. enteritidis, but 50% reduction was occurred on St.aureus and V. parahaemolyticus at same concentration. Antibacterial activity of ginger juice was similar to that of onion juice. 2.5% ginger juice showed approximately 50% reduction on Sal. enteritidis and V.parahaemolyticus, but less antimicrobial activity was occured on St. aureus and E. cloacae. Red pepper juice showed the least antimicrobial activity on food-born disease organism compared to that of other juices. 2.5% red pepper juice showed 11.3%, 18.7% and 8.1% reduction on St. aureus, Sal. enteritidis and V.parahaemolyticus, respectively.

      • KCI등재

        납중독 흰쥐에서 식이 마늘 즙의 해독효과에 관한 연구

        서화중(Hwa-Jung Sheo),서유석(Yu-Seok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3

        마늘의 납 중독 해독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젊은 흰쥐를 사육한 4주간 실험에서 초산납 용액을 주 1회 투여(총 Pb 100 ㎎/㎏)와 함께 생마늘 즙을 사료 섭취량의 1%, 2%, 3% 수준으로 매일 투여한 실험군들의 체중 증가율이 납 단독 투여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그중 마늘 즙 2% 투여군이 가장 높은 9.8%의 순(net) 체중 증가를 보였으나 대조군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납 용액과 함께 마늘 즙을 투여한 실험군들에서 요와 변을 통한 납 배설량이 납 단독 투여군의 납 배설량보다 유의적,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되었고 그 중 마늘 3%군이 가장 높은 9.59%의 납 배설율 순(net) 증가를 보였다. 납 용액과 함께 마늘 즙을 투여한 실험군들의 Hb함량, Hct값, RBC count, MCV값, δ-ALAD활성이 납 단독 투여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그 중 마늘 즙 2%와 3%군의 값들이 거의 같은 수준으로 현저히 증가되었다. 납 단독 투여군과 비교한 납용액과 함께 마늘 즙을 투여한 실험군들의 ALT활성과 BUN 및 CR값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그 중 마늘 즙 2% 투여군의 값들이 마늘 즙 1% 및 3% 투여군의 값과 유의차를 가지고 현저히 가장 낮았다. 그 결과 사료의 2%~3%수준의 마늘 즙 투여가 납중독 흰쥐에서 납 배설 촉진으로 분명한 해독효과를 보였지만 마늘을 다량 투여한 3% 투여군에서는 신장과 간장에 약간의 부담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present work antidotal effect of dietary garlic was studied on lead-intoxicated rat. One of 5 groups of young Wistar sp. male rat, aged 4 weeks for control were fed only normal diet. Lead (25 ㎎/㎏.bw/week) was administered to other four groups for plumbism model over 4 weeks, of which three groups were supplemented with one of the following raw garlic juice: 1.10 (1% diet), 2.21 (2%) and 3.31 (3%) mL/㎏.bw/ day respectively. Body weight gain rates in all garlic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especially in 2% garlic group that showed 9.8% net gain, as compared with only-lead treated group but lower values than control. The fecal and urinary lead excretion in all garlic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fashion with highest value of 9.59% net gain in 3% garlic group as compared to lead treated control group. In comparison with lead treated control group, all garlic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hemoglobin contents, hematocrit values (Hct), red blood cell (RBC) count, mean corpuscular volume (MCV), and δ-amino levulinic acid dehydratase (δ-ALAD) activities. The values of 2% and 3% garlic groups remarkably increased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of 2% and 3% garlic groups was observed. The ALT activities,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CR) in all garlic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lead-treated control group. The values of 2% garlic group were the lowest and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values of 1% and 3% garlic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2%~3% garlic juice in diet had obviously antidotal effects in lead-poisoned rats by promoting lead excretion. However, mega dose garlic such as in 3% garlic group might have some adverse effects on hepatic and renal functions in rats. In conclusion, the dietary habit to take ordinary garlic sauce in appropriate amount, may be helpful for preventing lead or other heavy metal intoxication.

      • KCI등재

        배추김치즙의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Enterobacter cloacae에 대한 항균작용

        서화중(Hwa-Jung Sheo),서유석(Yu-Seok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8

        배추김치의 항균작용을 실험한 본 연구에서 1개월간 발효된 배추김치즙 시료(염분 2.8%, 산도 1.34%, PH 4.1)를 2% 함유한 보통 한천 배지에서 실험군의 집락수 억제율은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이 가장 낮은 63%이었고 Enterobacter cloacae ATCC 13047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은 각각 72%, 76%이었고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은 가장 높은 90%를 보였다.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는 배추김치즙 함량이 6%에서 100% 발육 억제효과를 보여 실험균 중 배추김치즙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약했으나 동일한 배추김치즙 시료농도(6%)에서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 Enterobacter cloacae ATCC 13047,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는 각각 89%, 90%, 91% 의 집락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배추김치즙 함량 10%에서 모든 실험군의 집락수가 100%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 실험결과 1개월간 충분히 발효된 배추김치에는 어떤 식중독균도 생존할 수 없을 것으로 밝혀졌다.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were determined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and Enterobater cloacae ATCC 13047. It was found out that 2% content of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reduced the colony numbers of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 Enterobater cloacae ATCC 13047,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by 63%, 72%, 76% and 90%, respectively. 6% content of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completly inactivated Vibrio parahaemoloyticus. But at the same content (6%) of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colony number of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 Enterobater cloacae ATCC 13047 and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were reduced to 11%, 10% & 9%, respectively. 10%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had 100% inhibitory effect on all test bacteria. Therefore, Chinese cabbage kimchi has effectiv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and Enterobacter cloacae ATCC 13047.

      • SCOPUSKCI등재

        마늘즙을 다량 투여한 흰쥐에서 체중과 장기 및 혈액 성분의 변화 고찰

        서화중(Hwa-Jung S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3

        흰쥐에 사료 섭취량의 3%(G₃군)와 5%(G_5군)인 과량의 생마늘(즙)을 1개월간 경구 투여하여 체중 증가율과 사료 섭취량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흰쥐 외관과 활동도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해부 검사에서 G₃군 흰쥐 일부와 G_5군 대부분의 흰쥐의 위벽점막에 홍반(erythema)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간조직의 현미경 검사에서 G₃군의 3마리 흰쥐에서 주로 간 실질세포의 퇴행성 변화와 염증세포의 침윤 등을 관찰했고 G_5군의 7마리 흰쥐는 주로 간실질세포의 염증성세포 침윤과 충혈및 경미한 간세포괴사를 보였다. GOT와 GPT및 alkaline phosphatase 활성과 BUN수준에서 G₃군과 G_5군은 dose dependent fashion으로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Total cholesterol수준과 hemoglobin함량은 G₃군과 G_5군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본 실험 결과를 보면 흰쥐에 과량의 마늘을 장기간 투여할 때 명백하게 독성이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In the present study toxic effects of megadose of dietary garlic were investigated in an experimental model consisted of 3 groups of Wistar rats : group CO received a basal diet. The diets were supplemented 3% (or 3.6g/kg.body wt.day)raw garlic (as juice) for group G3 and 5% (or 6.0g/kg. body wt. day) raw garlic for group G5 respectively and fed to rats over one month period of experimental time. There were no abnormality or apparent changes in the appearance and motility in all experimental groups. But some rats in group G3 and large parts of group G5 showed mild erythema on their mucosal membrane of stomach. The his- to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microscopic examination of 3 rats liver specimen of group G3 and 7 rats liver specimen of group G5. The histopathological signs were mainly consisted of degenerative change in hepatic parenchyme and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 in portal tract in group G3 rats, and dense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hepatic parenchyme with mild congestion and slight necrosis of interlobular hepatocyte in group G5. The large dose of dietary garlic up to 5%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n the body weight gain of rats. But the specific activites of GOT, GPT and alkaline phosphatase, and BUN levels in the serum of group G3 and G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dose dependent fashion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Total-cholesterol and hemoglobin levels were not affected by the administration of megadose of garlic. The results showed that large dose of dietary raw garlic with 3~5% had some toxic effects in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