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서 탈무기화 골 기질(DBM, Genesis$^{(R)}$)의 단기 결과

        서현제,정소학,Seo, Hyun Je,Chung, So Ha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2

        목적: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총 25예의 양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남자 15명, 여자 1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30.3세였다. 양성 골 종양의 종류별로 보면 고립성 골낭종이 9예, 비경화 섬유종 5예, 섬유성 이형성증 5예, 동맥류상골낭종 3예, 내연골종 3예였다. 부위별로 원위 대퇴골 5예, 근위 경골 4예, 근위 대퇴골 3예, 근위 상완골 3예, 수지골 3예, 원위 요골 2예, 골반골 2예, 종골 2예, 견갑골 1예였다. 자가골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6예, DBM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19예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6개월에서 최장 14개월로 평균 8.7개월이었다. 주기적인 추시에서 관찰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DBM의 이식물의 흡수 정도와 골 생성 정도를 술 후 사진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여 관찰하였다. 흡수 정도는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관찰할 수 있는 DBM의 부피의 변화로 측정하였고, 골 생성 정도는 결손부의 골 소주의 생성 정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총 25예 중 23예에서 골 유합(Bone union)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유합을 보인 23예는 술 후 평균 4.3개월에 98% 이상의 DBM 흡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술 후 평균 6.9개월에는 98% 이상의 골 생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결손의 양이 적은 경우 골 형성이 빨랐다(p=0.036). 하지만 그 외 환자의 성별, 나이, 자가골의 첨가 여부 등은 이식물의 흡수율이나 골 생성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모든 경우에서 최종 추시 상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의 치료제로서 탈무기화 골 기질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장기간의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Genesis$^{(R)}$) used for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aetment of benign bone tumors by clinical and radiological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DBM was used to treat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tumor from February 2012 to May 2013. Total 25 benign bone tumor cases (15 males, and 10 females) with mean age of 30.3 were studied. The diagnoses were solitary bone cyst in 9 cases, non ossifying fibroma in 5, fibrous dysplasia in 5, aneurysmal bone cyst in 3 and enchondroma in 3. In categorization by location of tumor, there were 5 cases of distal femur, 4 of proximal tibia, 3 of proximal femur, 3 of proximal humerus, 3 of phalanx, 2 of distal radius, 2 of hip bone, 2 of calcaneus, and 1 of scapula. Autogenous bone was used with DBM in 6 cases, and only DBM used in 19 cases. Mean periods of follow up were 8.7 months (range: 6 to 14 months). Amount of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was observed with compare of post operation radiograph and the difference was shown by percentage. Resorption level was measured by DBM level which could be observed from simple x-ray, and bone formation level by bone trabecular formation level at impaired site. Results: Twenty three cases of total 25 cases showed bone union. In the 23 cases, more than 98% DBM resorption was observed after mean 4.3 months, and more than 98% bone formation was observed after mean 6.9 months. Lesser bone defect sizes showed faster bone formation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6). But other comparative studies on other factors such as, sex, age of patients and combination of autogenous bon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mplication in periods of follow-up. Conclusion: 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 is thought to be useful treatment for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however longer follow-up periods appears to be needed.

      • KCI등재

        다채널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저 에너지성 전자부 골절의 분석: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위한 응용

        정구희 ( Gu Hee Jung ),허성근 ( Sung Keun Heo ),서현제 ( Hyun Je Seo ) 대한골절학회 2015 대한골절학회지 Vol.28 No.3

        목 적: 저 에너지성 전자부 골절에서 다채널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을 통한 방사선적 분석을 시행하여 골수강내 금속정을 위한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순 실족으로 단독 골절이 발생하여 다채널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한 117예(안정성 골절 39예, 불안정성골절 7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 78.4세(범위, 60-96세)였다.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으로 방사선적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골절의 위치 및 형태를 파악하였다. 결 과: 골절의 위치는 환자의 연령, 골밀도 및 기저 질환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며, 외측 부위는 대 전자 첨부에서 평균 원위 10.2 mm (범위, 1.0-22.2 mm)에 위치하였고 내측은 소 전자부 시작점에서 평균 원위 평균 8.1 mm (범위,0.0-18.3 mm)였다. 골절의 전내측 피질골 부위는 전 예에서 분쇄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내 외반 및 회전 변형에 따라 접촉소실이 발생하였다. 결 론: 전내측 피질골 부위는 분쇄성이 없어 접촉 회복을 통해 골절 변형의 회복 및 정복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외측골절 선은 대전자부 첨부에서 평균 원위 10.2 mm에 위치하여 첨부를 통한 골수정 삽입 시 근위 골편이 포함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adiologic study was to evaluate the geographic patterns of low-energy trochanteric fractures using multiplanar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for application of intramedullary nailing.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117 trochanteric fractures (stable fracture, 39 cases, unstable fractures, 78 cases) sustained from simple slip-down were assessed. The mean age was 78.4 years (range, 60-96 years). Multiplanar CT images were assessed for evaluation of geographic features of trochanteric fracture, and the fracture exit and geographic patterns were analyzed. Results: The medial and lateral exit of the trochanteric fracture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y age, bone density, and comorbid disease. The exit was located at an average distance of 10.2 mm (range, 1.0-22.2 mm) from the tip of the greater trochanter (GT), and the medial exit, average distance of 8.1 mm (range, 0.0-18.3 mm) from the tip of the lesser trochanter.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no comminution around the anteromedial cortex of the fracture, and its contact loss was from fracture deformity. Conclusion: Because of no comminution, the contact restoration of the anteromedial cortex resulted in correction of fracture deformity and reduction. Trochanteric nailing by GT tip could be fixed through the proximal fragment of the fracture because the lateral exit is placed at an average distance of 10.2 mm from the GT t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