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후배간 생활지도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한 또래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예비연구

        서인균 ( In Kyun Seo ),이연실 ( Yon Sil Lee ),서태균 ( Tae Kyun Se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학교생활의 부적응 문제를 겪고 있는 충남 대전의 한 소재 고등학교 1학년 80명을 대상으로 선후배간 생활지도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들은 각각 실험집단 40명과 통제집단 40명으로 구분하였으며, 실험집단 40명에게 멘토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고등학교 2학년 20명을 선정하여 멘토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10회기의 선후배간 생활지도 멘토링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총점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선후배간 생활지도 멘토링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좌우 학교생활적응 점수를 비교한 결과, 선후배간 생활지도 멘토링 프로그램은 학교생활적응 하위영역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전후 학교생활적응 점수를 비교한 결과, 선후배간 생활지도 멘토링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서만 효과가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 하위영역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후배간 생활지도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how a mentoring program influence on an adaptation to school life with 80 freshmen in highschool located in Dae-Jeon. 80 freshmen were divided into the test group(40) and control group(40). 20 senior were selected as a mentor for the test group and 10 mentoring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2014.5 to 2014.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 freshman`s adaptation to school life increased in the test group. therefore a mentoring program was verified be effective. Secondly, a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friend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school regulation. Finally, a mentoring program mainly effected on friendship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the test group. A practical and political method was discussed to improve an adaptation to school life with a mentoring program.

      • 메이커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창윤 ( Chang Youn Lee ),안재현 ( Jae-hyun Ahn ),서태균 ( Tae-kyun Seo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2 No.1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함께, 4차 산업 혁명에 관한 사회적 논의가 이슈화됨에 따라 교육 학계도 변화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식기반 사회에서 컴퓨터 활용 역량이 강조되면서, 코딩/소프트웨어 교육 등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학습이 교과목과 관계없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오픈소스를 만드는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생겨나면서부터, 그들을 메이커라 지칭하고 메이커를 양성하기 위한 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학계에서도 이 운동을 수용하려고 시도하였으나, 관련 연구에서는 기존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학습과 구분되는 특성을 명백하게 보여주지 못했다.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의 시론적 연구로서, 이재호와 장준형(2017)이 제안한 메이킹 역량을 중심으로 이를 키워줄 수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조사하였고, 동시에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초기에 제안된 교구의 활용방안은 현장 교사 3인의 전문가 검토를 받았으며, 그들이 제공한 조언을 참고하여 수정하였다. 보완된 활용방안은 메이킹 역량을 구성하는 분석역량, 설계역량, 구현역량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메이커 교육의 이론적 발전과 확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