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일ㆍ태평양 전쟁과 기독교

        서정민(Suh Jeong-Min),이상규(토론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1 No.-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the mainstream of both Korean and Japanese churches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war efforts. In Japan, it was strongly believed that national interests should have priority over ecclesiastical matters. This idea led to an ‘Imperial Church’, which became stronger during the war times. Similarly, the Korean churches could not but cooperate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because of harsh persecutions at the end of colonial period; Korean churche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sist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n conclusion, Christian churches in both countries showed a similar pattern of conduct during the wars, that is, cooperation. However, the Korean church experienced deeper disgrace because its cooperation with the Japanese war efforts stood against the tradition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re was a hu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solving their ‘wartime faults.’ Japanese churches maintained not only the unity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war, but also tried to recover the historical mind and reflect upon their faults. They recognized their faults and took the initiative in the restoring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re had been almost no change in the Korean Church. Unfortunately, most members who played an important pan and cooperated with Japan in the colonial period maintained their status quo in the post-war church. It was hard to expect any serious historical reappraisal in such a circumstance. The consequent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erious ideological conflict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made it even harder.

      • KCI등재

        해방 이후 4ㆍ19까지의 한국교회와 과거 청산 문제

        강인철(Kang In-Cheol),서정민(토론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4 No.-

        해방 이후 4ㆍ19까지의 한국 개신교교회를 다루는 이 글에서는 다음 두 가지를 과거 청신 의제의 설정을 위한 주요한 기준들로 삼았다. 첫째, 과거 청산이라는 문제상황이 과거 및 현재의 갈등과 불가피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갈등의 존재’가 과거 청산의 의제들을 설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특정한 쟁점 혹은 결정과 관련하여, 내부 혹은 외부로부터의 문제제기와 도진, 그리고 그로 인한 크고 작은 갈등이 있었는가? 의제 설정을 위한 두 번째 기준은 ‘영향의 지속성’이었다. 주어진 시기의 특정한 쟁점 혹은 결정이 과연 그 후 한국 개신교를 특징짓는 지속적 효과를 발휘했는가? ‘갈등의 존재’와 ‘영향의 지속성’이라는 두 기준을 적용하면, 1945~1960년 사이 과거 청산의 잠정적인 의제들은 대략 다음의 일곱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 (1) 일제 잔재의 청산 실패와 그로 인한 후유증, (2) 반공주의, 그것의 비인간성과 폭력성 문제, (3) 친미주의와 종교적 종속성 문제, (4) 민족 분단에 대한 기여와 북한교회의 소멸 조장 문제, (6) 전쟁 및 평화에 대한 태도와 행동 문제, (6) 정교유착과 독재정권 지지 문제, (7) 분열주의, 특히 1950년대 말의 교파 분열. 물론 이 다양한 의제 혹은 문제영역들은 상호연관되어 있고 또한 상호의존적이다. 특히 ‘반공주의’, ‘친미주의’, ‘정치권력에의 순응성’ 등은 일제시대 말엽에는 한국 개신교의 지배적인 특성으로 이미 자리 잡고 있던 상태였다. 따라서 이런 특성들은 ‘변수(variable)라기보다는 ‘상수’(constant)에 가까웠다고 말할 수 있고, 해방 후 한국 개신교 교회들의 역사적 선택을 중층적으로 결정지었다. 나아가 해방공간에서의 특정한 역사적 선택은 한국 개신교에 중요한 결과들을 낳았다. 이로 인해, (1) 한국 개신교가 냉전적 반공ㆍ친미ㆍ분단체제로 공고하게 편입되었다; (2) 개신교가 한국사회에서 특권적 사회세력으로 상승하게 되었다; (3) 종교적으로는, 지배적 종교로서의 입지를 구축했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의 결과, 교회는 이승만 체제와 운명을 같이하게 되었고, 정권이 지탱해준 지배적 종교의 입지도 함께 균열ㆍ위축되었고, 국제질서의 변동을 포함하여 외적인 상황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 받을 수밖에 없는 취약성을 노출하게 되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overcoming-the-past problems” in the post-liberation Korean Protestant Churches. Concretely, this period begins with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and ends with the 4ㆍ19 Student Revolution in 1960. The standards applied to sort out the agenda which we have to include in the work of overcoming the past were “the existence of serious conflicts” and “continuity of influences.” Using these two standards, we can identify the following seven agenda, which are all intimately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ant: (1) The failure in liquidating the negative remainders of colonial period, and its aftermath; (2) Anti-communism, and its inhumanness and violence; (3) The problems of pro-Americanism and religious dependancy on the American Churches; (4) The contribution to the nation’s division and to the perishment of the North Korean Churches; (5) Attitudes and activities concerning the war and peace; (6) The religio-political fusion and the support to the dictatorial Rhee regime; (7) Factionalism, especially the denominational divides in the late 1950s. Among these agenda or problem-areas, anti-communism, pro-Americanism, and the conformity to political authorities(whatever they may be) have already become the dominant feature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by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At that time, these three agenda seem to be “constants” rather than “variables”, thus they “overdeterminated” the historical choice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