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자살 사후개입 매뉴얼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서정,이동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ostvention manual for secondary schools in Korea in the event of a student suicide. Existing studies and manuals were reviewed to identify potential guideline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2 school staff members to identify the schools' current needs. Consequently, a draft manual with 33 postvention factors and 306 behavioral guidelines was created.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the preliminary guidelines. The expert panel of 16 people evaluated whether the suggested guidelines should be included in the manual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statements deemed necessary by 80% of the experts were selected. Finally, a postvention manual with five phases, 33 elements, and 277 items was developed. This study attempt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guidelines by using a systematic process, and contributed to more comprehensive postvention activities by augmenting strategies to manage SNS use and to support school staff. 본 연구는 학생 자살 발생 시 국내 중․고등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사후개입 매뉴얼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국내․외 연구 및 매뉴얼을 검토하였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행하여 중등 교직원 12명을 대상으로 현장 요구 사항과 기존 매뉴얼의 제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33개의 사후개입 요소와 306개의 행동 지침을 도출하여 매뉴얼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후 델파이 방법을 통해 사후개입 예비 지침에 대한 필요성 및 적절성을 2회에 거쳐 평가하였다.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은 16명으로, 각자 제시된 예비 지침이 매뉴얼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리커트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평정 결과 전문가들이 4점 이상으로 평가한 비율이 80% 이상인 항목을 최종 지침으로 채택하였다. 이를 통해 사건 직후부터 중장기까지 총 다섯 단계의 시기와 위기관리위원회 소집, 위기학생 파악과 지원,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모니터링 등 33개의 요소 및 277개의 행동 지침으로 이루어진 사후개입 매뉴얼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매뉴얼을 개발함으로써 지침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기존 매뉴얼에서 제한적이었던 소셜미디어 사용에 대한 대처와 교직원 지원 방안을 보완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사후개입 활동을 구안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생 자살 후 교사의 애도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어려움 및 도움 요인

        서정,이화연,김가연,이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8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helped and hindere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student suicide using the concept-mapping approach. Seven South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from which 113 core statements were elicited. The participants sorted these core statements into categories by mean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 teachers’ experiences. Four hindering factor clusters emerged: (1) regret over failing to prevent the suicide, (2) an apathetic atmosphere in the school, (3) a sense of helplessness related to suicide survivors, and (4) approach-avoidance conflicts related to suicide survivors. Six helpful factor clusters emerged: (1) cooperation and care offered between suicide survivors, (2) focusing on the present, busy life, (3) spiritual activity, (4) social support, (5) overcoming grief through altruistic behaviors, and (6) sympathy for the deceased. Two dimensions were found for both the hindering and helpful factors. The hindering factor dimensions were external systeminternal experiences and related to suicide survivorsrelated to suicide decedents. The helpful factor dimensions were distancing from the lossapproaching the loss and professional activitiespersonal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explored and described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eachers’ bereavement experiences after student suicides. 본 연구는 학생의 자살 이후,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상실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과 도움 요소를 경험하는지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의 자살을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 7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시행하였고, 진술 내용을 기초로 총 113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이 문장들은 참여자들에 의해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것끼리 분류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애도 과정에서의 어려움 요인은 ‘자살사별자 관련 및 자살 학생 관련’ 축과 ‘외부시스템 및 내적 경험’ 축의 2차원으로 구조화되었으며, 총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군집은 ‘자살을 예방하지 못한 후회,’ ‘자살 사건에 대한 학교의 무관심,’ ‘자살사별자 관련 무력감,’ ‘자살사별자 관련 접근-회피 갈등’으로 명명되었다. 교사들의 적응과정에서 도움 요인은 ‘직업적 활동 및 개인적 활동’ 축과 ‘상실 경험 분리 및 상실 경험 밀착’ 축의 2차원으로 구조화되었고, 총 6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군집은 ‘자살사별자 간 협조와 보살핌,’ ‘바쁜 일상과 현재에 집중,’ ‘영성 활동,’ ‘사회적 지지,’ ‘이타적 행동을 통한 애도,’ ‘고인에 대한 연민’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관심을 받지 못했던 교사 집단의 학생 상실 경험을 조명하고, 이들이 애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의 개념적 구조를 당사자의 관점에서 생생하게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